[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2131Y1 - 실린더 캡 텐션 - Google Patents

실린더 캡 텐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131Y1
KR200292131Y1 KR2020020014845U KR20020014845U KR200292131Y1 KR 200292131 Y1 KR200292131 Y1 KR 200292131Y1 KR 2020020014845 U KR2020020014845 U KR 2020020014845U KR 20020014845 U KR20020014845 U KR 20020014845U KR 200292131 Y1 KR200292131 Y1 KR 200292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tension
main body
cylinder cap
cap ten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진
Original Assignee
정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진 filed Critical 정철진
Priority to KR2020020014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13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린더 캡 텐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개의 실린더 캡 텐션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실린더에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면에 삽입부(115)가 형성된 본체(110) 상에 덮개(120)를 안치하고, 본체(110) 저면 중앙에 체결구(150)를 결합하여 체결구(150)에 구성된 체결나봉(151)이 덮개(120) 위로 관통되게 한 다음 체결너트(130)로 체결 고정되게 한 통상의 실린더 캡 탠션을 구성하되, 상기 체결구(150)의 저면에 실린더의 권취부 내경에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원판(152)이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실린더 캡 텐션{Cylinder cap tension}
본 고안은 실린더캡 텐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개의 실린더캡을 이용하여 플랜지의 외경이 다른 여러종류의 실린더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는 제직 준비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실린더에 권취된 실은 적절한 장력으로 해사되게 하면서 위사 준비의 한 공정인 점보보빈에 권취되게 하거나, 경사준비의 한 공정인 경사빔에 권취되게 하는 등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실린더에 권취된 실이 풀려나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조건은 항상 적절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풀려나가게 하여야 한다는 것과, 실린더에 권취된 실이 풀려나가면서 외부 요인에 의해 해사작업이 잠시 멈추었을 경우에 실에 가해진 꼬임에 의해 헛풀림이 발생하거나 실이 서로 꼬이면서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텐션판이 결합된 실린더캡을 실린더 플랜지 상에 장착, 사용하므로서 풀려나가는 실에 적절한 장력을 부여하고, 해사작업중 작업이 중지되었을 때 텐션사에 의해 풀려나가던 실이 그자리에서 멈춰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실린더캡 텐션은 실린더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규격의 캡 텐션을 사용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실린더의 규격이나 용량이 달리지면 실린더에 구성된 플랜지의 직경이 달라지게 되고, 따라서 달라진 플랜지의 직경에 맞게 켑텐션의 규격이 달라져야 하므로 그에 따른 여러규격의 캡 텐션을 준비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을뿐 아니라, 규격이 바뀔때마다 많은 개수의 캡 텐션을 모두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한 규격의 실린더캡 텐션을 이용하여 플랜지의 직경이 다른 여러규격의 실린더에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의 편리성과 많은 종류의 캡 텐션을 준비하는데 따른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린더 캡 텐션을 구성함에 있어서, 실린더 캡 텐션을 구성하는 본체 저면에 덮개 체결용 체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체결구의 아랫쪽에는 실린더 내경과 일치하는 지지원판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에서 본체 저면에 구성된 삽입부의 내경은 사용하고자 하는 실린더 중 규격이 큰 실린더 플렌지와 일치되게 하고, 본체 저면에 결합되는 체결구의 지지원판 외경은 규격이 작은 실린더의 권취부 내경과 일체되게 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실린더 캡 텐션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 저면에 결합되는 체결구의 지지원판만 교체하면 한 규격의 캡 텐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규격과 용량의 실린더에 장착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2 :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 구성도
도 4 :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캡 텐션 (110)--본체
(115)--삽입부 (120)--덮개
(130)--체결너트 (140)--텐션판
(150)--체결구 (152)--지지원판
(153)--오링 (154)--요입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실린더 캡 텐션(100)의 단면구성도이고, 도2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실린더 캡 텐션(100) 역시 종래와 같이 저면에 삽입부(115)가 형성된 본체(110)상에 덮개(120)가 체결너트(130)로 체결고정되게 하되 본체(110)와 덮개(120)사이에는 다수의 텐션사(141)가 방사선상으로 돌출 구성된 텐션판(140)이 결합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실린더 캡 텐션(100)의 기술요지는 본체(110) 저면중앙에 결합되는 체결구(150)의 아랫쪽에 실린더의 권취부 내경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지지원판(152)을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원판(152) 외면에는 요입홈(154)이 구성되어 있고, 요입홈(154)에는 오링(153)이 끼워져 결합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11)은 테두리, (112)는 걸림턱, (151)은 체결나봉, (200)은 실린더, (210)은 권취부내경, (220)은 플랜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하나의 캡 텐션(100)을 이용하여 용량이 다른, 즉 플랜지(220)의 직경이 다른 실린더(20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3에서와 같이 플랜지(220)의 직경이 큰 실린더(200)에 캡 텐션(100)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 텐션(100)을 실린더(200)의 플랜지(220) 외면에 씌우면 본체(110)의 테두리(111) 저면에 구성된 삽입부(115)가 실린더(200)에 구성된 플랜지(220) 외면에 씌워지면서 캡 텐션(100)이 실린더(200)에 장착 완료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실린더(200)에 권취된 실이 풀려나가게 하므로서 플려나가는 실에 적절한 장력이 부여되게 함과 동시에 해사작업의 일시정지시에는 풀려나가던 실이 텐션사(141)에 걸려 지지되므로 헛풀림 및 꼬임에 의한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는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캡 텐션(100)은 본체(110)의 테두리 (111) 내측에 구성된 삽입부(115)의 내경보다 작은 플랜지(220)로 구성된 실린더 (200)에 캡 텐션(100)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실린더 캡 텐션을 교체할 필요없이 상기에서 사용하였던 캡탠션(100)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4에서와 같이 실린더(200)에 구성된 플랜지(220)상에 캡 텐션(100)을 씌우면 본체(110)저면에 결합구성된 체결구(150)의 지지원판(152)이 실린더(200)의 권취부 내경(210)에 끼워지게 되면서 유동없이 지지되며, 이때 지지원판(152) 외면에 끼워진 오링(153)이 이들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200)에 구성된 플랜지(220) 직경보다 캡 텐션(100)의 본체(110) 저면에 구성된 삽입부(115)의 내경이 크게 구성되어 있어도 캡 텐션(100)의 유동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체결구에 구성된 지지원판(152)이 도4에서와 같이 실린더(200)의 권취부내경(210)과 일치하는 것은 모든 실린더는 규격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생산현장에서 사용하는 실린더의 종류는 거의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용하고자 하는 실린더의 용량이나 규격이 맞게 본체(110) 및 체결구(150)에 구성된 지지원판(152)의 크기를 달리하면 조정이 된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잇어서, 캡 텐션(100)의 본체(110) 저면에 결합되는 체결구(150)는 생산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실린더(200)의 종류에 따라 선별하여 사용하면 여러 규격의 실린더에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린더 캡 텐션을 구성함에 있어서, 캡 텐션을 구성하는 본체 저면에 체결구를 결합 구성하되, 체결구 아랫쪽에 지지원판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게 하므로서 캡 텐션의 사용시 실린더에 구성된 플랜지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캡 텐션을 구성하는 본체의 저면 삽입부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본체에 구성된 삽입부의 내경보다 실린더 플랜지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체결구의 구성된 지지원판이 실린더의 권취부 내경에 삽입되게 하여 범용성이 있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결국 한 개의 실린더 캡 텐션을 이용하여 플랜지 규격이 다른 여러 종류의 실린더에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저면에 삽입부(115)가 형성된 본체(110)상에 덮개(120)가 씌워지고, 본체(110) 중앙 저면에 결합된 체결구(150)의 체결나봉(151)이 덮개(120)상으로 돌출되게 한 다음 체결너트(130)로 체결고정되게 한 통상의 실린더 캡 텐션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10) 저면에 결합된 체결구(150)의 저면에 지지원판(152)이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원판(152)이 실린더의 권취부 내경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캡 텐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원판(152)의 외면에 요입홈(154)을 구성하고, 상기 요입홈(154)에 오링(153)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캡 텐션.
KR2020020014845U 2002-05-15 2002-05-15 실린더 캡 텐션 Expired - Fee Related KR200292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845U KR200292131Y1 (ko) 2002-05-15 2002-05-15 실린더 캡 텐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845U KR200292131Y1 (ko) 2002-05-15 2002-05-15 실린더 캡 텐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131Y1 true KR200292131Y1 (ko) 2002-10-14

Family

ID=7307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84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2131Y1 (ko) 2002-05-15 2002-05-15 실린더 캡 텐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1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52Y1 (ko) 2013-11-07 2014-01-27 백효원 보빈용 캡텐션
KR200474028Y1 (ko) 2014-01-29 2014-08-14 김경준 보빈용 캡텐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52Y1 (ko) 2013-11-07 2014-01-27 백효원 보빈용 캡텐션
KR200474028Y1 (ko) 2014-01-29 2014-08-14 김경준 보빈용 캡텐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603B2 (en) Thread stand for sewing machine
US3854673A (en) Bobbin holder for attachment of different sized bobbins to a spool
KR200292131Y1 (ko) 실린더 캡 텐션
US6513742B2 (en) Thread cassette
US3612427A (en) Filament dispenser
US3502281A (en) Thread canister
US2305896A (en) Florentine flask
JP2543573B2 (ja) ミシン用巻糸の型くずれ防止構造
US3493192A (en) Spooled thread retainer
US2757882A (en) Tensioning device
KR200204954Y1 (ko) 낚시줄 풀림 방지용 밴드
KR200167622Y1 (ko) 해사용 스날방지구
JPH08282919A (ja) ダブルツイスターのテンサー
GB2352953A (en) Angling pole bung
KR200245681Y1 (ko) 강연사로된 원사 보빈의 해사용 캡텐션
US3913864A (en) Holder for fishing leaders and the like
JP2005000151A (ja) 釣糸用スプール
KR200181997Y1 (ko) 해사용 텐션기
US4824043A (en) Yarn tensioning device
KR920008313Y1 (ko) 실린더 캡 텐션
JPH10195724A (ja) 撚糸のスナール防止装置
KR200283246Y1 (ko) 낚시 줄 보관 케이스
JP3076872U (ja) 紙管レスバンドの解れ防止治具
JPH0338219Y2 (ko)
KR200268031Y1 (ko) 낚시 대의 분실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5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5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