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2005Y1 - 냉장고의야채상자 - Google Patents

냉장고의야채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005Y1
KR200292005Y1 KR2019980017738U KR19980017738U KR200292005Y1 KR 200292005 Y1 KR200292005 Y1 KR 200292005Y1 KR 2019980017738 U KR2019980017738 U KR 2019980017738U KR 19980017738 U KR19980017738 U KR 19980017738U KR 200292005 Y1 KR200292005 Y1 KR 200292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box
vegetable
control member
refrigerator
humidit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567U (ko
Inventor
김봉구
장영기
고효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7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00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야채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냉기가 유통되는 통기부에 습도조절부재가 마련된 냉장고의 야채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상자는 덮개와 후면일측에 통기부가 마련되고, 이 통기부에는 흡습과 발습이 저절로 조절되는 셀룰로오스계 다공질폼으로 구성된 습도조절부재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야채의 온도에 의한 호흡량의 변화와 수납량에 따라 적절한 습도가 조절되고, 야채상자 내부에 결로가 방지되며, 야채상자 내부가 늘 고습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야채를 신선하게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야채상자
본 고안은 냉장고의 야채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냉기가 유통되는 통기부에 습도조절부재가 마련된 냉장고의 야채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본체의 내부가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냉장실의 하방에는 과일이나 채소등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 할 수 있도록 냉동실의 내부와 구획되는 야채 저장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이 야채 저장공간에는 야채가 담기는 야채상자가 구비되며, 야채상자는 수납과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야채상자의 내부에 저장되는 야채는 상자 내부의 온도와 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어야만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냉장고의 야채상자는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 일 예로 야채실의 냉기 유입량을 조절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2-7586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2-75867에 개시된 냉장고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채상자(5)의 전면측에 유입된 냉기가 야채상자(5)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셔터부(6)가 습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야채상자(5)에는 냉기송입공(5a)이 형성되며, 셔터부(6)에는 냉기송입공(5a)에 대응하는 냉기조절공(6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야채상자(5)는 셔터부(6)를 좌우로 미끄럼운동시켜 냉기송입공(5a)과 냉기조절공(6a)을 일치시키거나 또는 불일치 시킴으로써 냉기 유통로의 크기를 조절하여 야채실 내의 습도를 조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냉기송입공(5a)이 형성된 야채상자(5)에 냉기조절공(6a)이 형성된 셔터부(6)를 미끄럼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 및 형상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야채상자(5) 내부의 습도조절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셔터부(6)를 밀어서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습도조절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냉장실 내부조건의 변화에 따라 늘 변하게되는 야채상자 내부의 습도를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야채상자의 일측에 형성된 통기부에 습도조절부재를 마련하여, 내부의 습도가 높을 경우 흡습작용을 하여 야채상자 내부의 결로를 방지하고, 내부의 습도가 낮을 경우 발습작용을 하여 최적의 습도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야채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냉장고의 야채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의 종래 냉장고의 야채상자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야채상자 습도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야채상자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야채상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냉동실,
13: 냉장실, 14: 중간벽,
15: 냉동실도어, 16: 냉장실도어,
17: 증발기, 18: 송풍팬,
19: 안내덕트, 20: 복귀덕트,
30: 야채상자, 31,41: 통기부,
40: 덮개, 42: 상부판,
43: 하부판, 45: 기공,
50: 습도조절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내부에 냉장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형성된 야채저장공간과, 상기 야채저장공간에 수납되어 설치되며 그 내부에 야채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야채상자와, 상기 야채상자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공기와 상기 야채상자 내부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와 상기 야채상자의 일측에 형성된 통기부와, 상기 통기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야채상자 내부의 습도가 높을 때 흡습작용을 하고 상기 야채상자의 내부의 습도가 낮을 때에 발습작용을 하도록 셀룰로오스계 다공질폼으로 이루어진 습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야채상자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야채상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부의 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냉장고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실(12,13)이 구비된 본체(10)가 마련되고, 저장실(12,13)은 상부와 하부의 공간이 중간벽(14)에 의하여 구획되게 마련되며, 이들은 각각 냉동실(12)과 냉장실(13)을 이룬다. 그리고 본체(10)의 일측에는 냉동실(12)과 냉장실(13)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5)와 냉장실 도어(16)가 힌지 결합된다.
본체(10)의 뒷면 벽체에는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증발기(17)가 마련되고, 증발기(17)의 상측에는 증발기(17)에서 열교환이 된 냉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18)이 구비된다.
그리고 송풍팬(18)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냉기가 냉동실(12)과 냉장실(13)로 안내되도록 벽체의 내부에는 안내덕트(19)가 형성되고, 냉동실(12)과 냉장실(13)을 구획하는 중간벽(14)에는 냉동실(12)과 냉장실(13)을 지난 냉기가 증발기(17)로 복귀되도록 복귀덕트(20)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하부에는 그 외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압축기(21)와 응축기(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12)과 냉장실(13)에는 이들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선반(30)이 마련되고, 냉장실(13)의 내측 하부에는 청과물이나 야채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야채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야채 저장공간에는 야채가 담기는 야채상자(30)가 설치된다.
상기 야채상자(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방된 용기로 구성되며, 개방된 상부에는 야채상자(30) 내부가 적정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면을 덮는 덮개(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덮개(40)와 야채상자(30)의 후단부에는 야채상자(30) 내부로 냉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통기부(31,41)가 마련되고, 이 통기부(31,41)의 내측에는 야채상자(30)의 습도가 스스로 조절되어 최적의 보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습도조절부재(50)가 설치된다.
이 습도조절부재(50)는 셀룰로오스계의 다공질폼으로 마련되어 덮개(40) 및 야채상자(30)의 후단부에 형성된 통기부(31,41)에 끼워지게 되는데, 셀룰로오스계 다공질폼은 흡습 또는 발습작용을 하여 야채상자(30) 내부의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게 된다.
이때 통기부(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조절부재(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공간(44)이 형성되는데, 습도조절부재(5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판(43)과, 상부를 지지해주는 상부판(42)이 구비되며, 이 두판 사이에 공간(44)이 형성되어 습도조절부재(50)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42)과 하부판(43)에는야채상자(30) 내부로 냉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45)이 형성된다.
또한, 습도조절부재(50)를 형성하는 셀룰로오스계 다공질폼은 스폰지 형태의 많은 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분자를 만나면 분자사이의 간극이 넓어지고, 수분자의 확산이 용이하게 되어, 흡습을 하면서 2배정도 팽창을 하는 성질이 있고, 주위의 습도가 낮아지면 다시 발습을 하게 되면서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통기부(31,41)의 상부판(42)과 하부판(43) 사이의 공간부(44)는 습도조절부재(50)의 부피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습도조절부재(50)를 지지해주는 상부판(42)은 사용자가 습도조절부재(50)를 주기적으로 교환해 줄 수 있도록 일측이 덮개(40) 또는 야채상자(30)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한다.
냉장고가 가동되어 냉장실(13) 내부에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 냉기는 냉장실(13) 하부의 야채상자(30) 쪽으로 전달되어 야채상자(30)의 내부가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야채상자(30)에 형성된 통기부(31,41)로는 야채상자(30) 내부의 공기가 빠져 나오기도 하고, 냉장실(13)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기도 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야채상자(30)의 통기부(31,41)에는 다공질의 습도조절부재(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야채상자(30) 내부가 적절한 습도와 온도로 유지되게 된다.
즉, 야채상자(30) 내부에 다량의 야채가 보관될 경우, 야채의 호흡량이 많아지면서 야채상자 내부는 과습한 상태가 되게 되는데, 이때에는 습도조절부재(50)가 흡습작용을 하게 되어 내부가 적정습도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결로가 방지되게 된다.
또한, 야채상자(30) 내부에 소량의 야채가 보관되어 야채상자 내부습도가 적정습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습도조절부재(50)에 함유된 습분이 발습을 하게 되어 야채상자(30) 내부습도가 적절히 유지되게 된다. 즉, 습도조절부재(50)는 야채상자의 내부 조건의 변화에 따라 흡습과 발습을 반복하면서 야채가 보존되기 적합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상자는 덮개와 후면 일측에 통기부가 마련되고, 이 통기부에는 흡습과 발습이 저절로 조절되는 셀룰로오스계 다공질폼으로 구성된 습도조절부재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야채의 온도에 의한 호흡량의 변화와 수납량에 따라 적절한 습도가 조절되고, 야채상자 내부에 결로가 방지되며, 야채상자 내부가 늘 고습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야채를 신선하게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본체(10)의 내부에 냉장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13)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형성된 야채저장공간과, 상기 야채저장공간에 수납되어 설치되며 그 내부에 야채가 수납될 수 있도록 야채상자(30)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13)의 공기와 상기 야채상자(30) 내부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야채상자(30)에 형성된 통기부(31,41)와, 상기 통기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공질폼으로 이루어진 습도조절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야채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31,41)는 상기 습도조절부재(50)가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상부판(42)과 하부판(4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에는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도록 다수의 기공(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야채상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부재(50)가 수용되는 상기 통기부의 내측 공간(44)은 상기 습도조절부재(50)의 흡습작용시 습도조절부재가 팽창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습도조절부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야채상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42)은 개폐가 가능하여 상기 습도조절부재(50)를 교환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덮개(40) 및 상기 야채상자(3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야채상자.
KR2019980017738U 1998-09-17 1998-09-17 냉장고의야채상자 KR200292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738U KR200292005Y1 (ko) 1998-09-17 1998-09-17 냉장고의야채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738U KR200292005Y1 (ko) 1998-09-17 1998-09-17 냉장고의야채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567U KR20000006567U (ko) 2000-04-15
KR200292005Y1 true KR200292005Y1 (ko) 2003-01-30

Family

ID=4939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738U KR200292005Y1 (ko) 1998-09-17 1998-09-17 냉장고의야채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00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099A (ko) * 2012-06-22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채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US20170268816A1 (en) * 2014-12-26 2017-09-21 Qingdao Haier Joint Stock Co., Ltd Moisture permeable device,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91103A (ko) 2019-01-22 2020-07-30 정완식 야채 전용 냉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JP2021014983A (ja) * 2020-11-11 2021-02-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004B1 (ko) * 2011-03-31 2013-10-04 (주)엘지하우시스 성에 및 결로 방지용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 장치
CN112902545A (zh) * 2021-03-15 2021-06-04 中国制浆造纸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冷冰箱控露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099A (ko) * 2012-06-22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채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1923473B1 (ko) * 2012-06-22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채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US20170268816A1 (en) * 2014-12-26 2017-09-21 Qingdao Haier Joint Stock Co., Ltd Moisture permeable device,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948231B2 (en) * 2014-12-26 2021-03-16 Haier Smart Home Co., Ltd Moisture permeable device,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91103A (ko) 2019-01-22 2020-07-30 정완식 야채 전용 냉장고 및 그 온도제어방법
JP2021014983A (ja) * 2020-11-11 2021-02-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7038783B2 (ja) 2020-11-11 2022-03-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567U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377B2 (en) Electric refrigerator
KR100524785B1 (ko) 냉장고의 야채실 최적상태 보존 장치
US9841224B2 (en) Refrigerator appliances with passive storage compartments
KR20040036154A (ko) 냉장고의 야채실 최적상태 보존 장치
US6904761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humidity in a refrigerator
KR200292005Y1 (ko) 냉장고의야채상자
JP2019100654A (ja) 冷蔵庫
JP2002357385A (ja) 冷蔵庫の野菜室構成
JP2006010162A (ja) 冷蔵庫
CN102914113B (zh) 冰箱
JP7266624B2 (ja) 冷蔵庫
JPH0436576A (ja) 冷蔵庫
KR100835353B1 (ko) 냉장고
JP3527713B2 (ja) 冷蔵庫
JPH0719700A (ja) 冷蔵庫
TWI651504B (zh) 電冰箱
JP3478795B2 (ja) 冷蔵庫
KR100200895B1 (ko) 냉장고
JPH10153379A (ja) 冷蔵庫
JP3227961U (ja) 冷蔵庫及び冷蔵庫用加湿器
JPH10339549A (ja) 冷蔵庫
JP2004340449A (ja) 冷蔵庫
JPH10318650A (ja) 冷蔵庫
JP2005037125A (ja) 冷蔵庫
KR0162446B1 (ko) 냉장고용 선도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91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10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