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1148Y1 -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 - Google Patents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148Y1
KR200291148Y1 KR2020020020210U KR20020020210U KR200291148Y1 KR 200291148 Y1 KR200291148 Y1 KR 200291148Y1 KR 2020020020210 U KR2020020020210 U KR 2020020020210U KR 20020020210 U KR20020020210 U KR 20020020210U KR 200291148 Y1 KR200291148 Y1 KR 200291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ing
cap
fixing
bott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수
Original Assignee
안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수 filed Critical 안영수
Priority to KR2020020020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14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캡에 덮개컵을 결합시키고, 메인캡의 내주연에는 밸브의 테두리를 이루는 밸브링을 밸브고정링으로 고정하되 밸브고정링을 아래에서 목부의 절곡부에 닿도록 위로 밀어 고정하고 밸브는 아래로 만곡한 밸브체를 가지는 병마개에 있어서,
테두리(41)를 기역자형으로 형성하고 밸브 기능을 하는 중앙의 밸브체(42)를 위로 만곡한 막곡부 형태로 형성한 밸브(40)와;
밸브(40)의 테두리(41) 내주연에 끼움 당접 하도록 단면이 대략 기역자 형상을 하고, 병 목부(2)의 절곡부(2-1)와, 절곡부(2-1)의 일정거리 하부 위치의 병 목부(2) 내주연에 돌출한 고정링 고정돌기(2-2)사이에 고정되어, 밸브를 병목부(2) 내주연에 고정시키는 밸브 고정링(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이다.

Description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Bottle cap with one way valve}
본 고안은 일 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병마개의 밸브 구조를 상부로 볼록한 밸브체 구성을 이루도록 하여 이물질의 주입을 차단하고, 테두리 내주연에 고정링을 끼워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룬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개를 이중 구조로 하여 상단의 마개를 위로 당겨 생기는 공간으로 내용물을 출수 토록 하는 푸시풀 구조의 병마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내용물이 상단 마개와의 틈새를 통하여 병 안으로 들어가기도 하여 위생상의 문제가 있어 일 방향 밸브를 추가 설치하는 방식의 마개가 개발되었다.
이는 도 1 과 같이 예시할 수 있는바, 병의 목부와 결합하는 메인캡(1)과, 메인캡(1)의 목부(2) 및 출수구(3)를 덮는 덮개컵(5)과, 메인컵(1)의 목부(2) 내면의 지지링 고정후크(4)에 고정되는 밸브 고정링(6)과, 밸브고정링(6)의 결합홈(7)에 끼움 고정 결합되어 밸브 기능을 하는 밸브(8)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고정링(6)은 외주연에 링상의 밸브결합 고정구(9)가 결합홈(7)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밸브고정링(6)이 결합홈(7)에 일체로 결합한 상태에서 목부(2)의 높이 중간에 직경이 작아지도록 절곡한 절곡부(2-1)내면과 상기 지지링 고정후크(4)사이에 끼움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밸브 고정링(6)의 내주연은 일종의 원통을 이루도록 연장된 밸브 보호링(10)을 이루는바, 이는 밸브(8)의 저면이 밸브 보호링(10)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벽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8)는 결합홈(7)에 끼움 결합하는 밸브링(8-1)과, 밸브링(8-1)의 내주연을 연장하여 아래로 만곡한 용기 형상을 한 밸브체(8-2)와, 밸브체(8-2)의 중앙을 절개하여 압력을 가할 때 벌어지는 틈새로 내용물이 통과토록 하는밸브공(8-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컵(1)과 덮개컵(5)은 상호 얇은 힌지(1-1)로 연결할 수도 있고 분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캡을 사용할 때는 병에 채운 내용물을 먹기 위하여 덮개컵(5)을 벗긴다(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힌지(1-1)를 중심으로 열어지고 출수구(3)가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출수구(3)를 입에 대고 빨거나 병의 몸체를 누르면 내부 압력으로 밸브공(8-3)이 점선과 같이 열리고 그 틈새로 내용물이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아이들이 과자 등의 음식을 먹다가 병의 내용물을 섭취하는 경우 내용물이 출수구(3)를 통하여 밸브(8)의 밸브체(8-2)내로 들어가기도 하며, 이는 오목한 공간이기에 밸브공(8-3)으로 함께 들어가기도 하여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조립에 있어서도 밸브고정링(6)의 결합홈(7)에 밸브링(8-1)을 끼움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곡부(2-1)내주연 부위에 안치 결합시키므로, 미리 끼움 고정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워 조립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밸브를 사용하는 병마개의 밸브에 오목부가 아닌 볼록부를 두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이물질의 접근을 막아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병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메인캡의 내주연에 밸브를 결합시키되 밸브의 형상이 위로 만곡 되도록 하고 만곡부에 밸브 기능을 하는 밸브공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병마개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절곡부 2-2;고정링 고정돌기
2-3;고정돌륜 3;출수구
20;메인캡 30;덮개캡
31;고정돌륜 40;밸브
41;테두리 42;밸브체
43;밸브공
즉 본 고안은 메인캡에 덮개컵을 결합시키고, 메인캡의 내주연에는 밸브의 테두리를 이루는 밸브링을 밸브고정링으로 고정하되 밸브고정링을 아래에서 목부의 절곡부에 닿도록 위로 밀어 고정하고 밸브는 아래로 만곡한 밸브체를 가지는 병마개에 있어서,
테두리를 기역자형으로 형성하고 밸브 기능을 하는 중앙의 밸브체를 위로 만곡한 막곡부 형태로 형성한 밸브와;
밸브의 테두리 내주연에 당접하고 단면이 대략 기역자 형상을 하고, 병목부의 절곡부와, 절곡부의 일정거리 하부 위치의 병목부 내주연에 돌출한 고정링 고정돌기사이에 고정되는 밸브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한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고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면으로,
병의 목부에 결합하는 메인컵(20)과, 메인컵(20)을 덮는 덮개컵(30)과, 메인컵(20)의 내주연에 설치되는 밸브(40)와, 밸브(40)를 고정시키는 밸브고정링(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40)는 테두리(41)를 기역자형으로 형성하고 밸브 기능을 하는 중앙의 밸브체(42)를 위로 만곡한 막곡부 형태로 형성한다. 막곡 밸브체(42)의 중앙에는 밸브 기능을 하는 밸브공(43)을 형성한다.
상기 밸브고정링(50)은 밸브(40)의 테두리(41) 내주연에 당접하고 단면이 대략 기역자 형상을 하고, 병 목부(2)의 절곡부(2-1)와, 절곡부(2-1)의 일정거리 하부 위치의 병 목부(2) 내주연에 돌출한 고정링 고정돌기(2-2)사이에 고정되는 밸브 고정링(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밸브 고정링(50)의 기역자 형상 중 높이 부분이 짧은 형태를 이룬 것으로 소형의 목부를 가지는 병 등에 적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조립시 밸브(40)의 테두리(41) 내주연에 밸브고정링(50)의 외주연이 들어가도록 끼우고, 함께 메인캡(20)의 저면에서 위로 끼운다. 그러면 밸브 고정링(50)의 외주연에 끼워 고정된 밸브(40)의 테두리(41)가 절곡부(2-1)내주연과 고정링 고정돌기(2-2)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하게 된다. 즉, 밸브(40)가 밸브고정링(50)에 의하여 병 목부(200의 내주연에 끼움 고정된다. 그리고 덮개캡(30)을 병목부(2)에 형성한 고정돌륜(2-3)과 결합하도록 덮개캡(30)의 대응 부위에 형성한 고정돌륜(31)과 결합하도록 캐핑 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밸브고정링(50)의 높이를 도 3 과 같이 낮게 할 수도 있는바, 이는 밸브(40)를 이루는 밸브체(42)가 본 고안은 위로 만곡하는 형상을 이루므로 결합 시 손상될 우려가 없어 밸브 고정링(50)의 높이를 낮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한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 상태에서, 사용자가 병에든 내용물을 마시려면 덮개캡(30)을 열고(잡아 당기면 돌륜(2-3)(31)이 분리되어 열린다), 출수구(3)에 입을 대고 빨면 위로 볼록한 밸브체(42)의 밸브공(43)이 점선과 같이 열림과 동시에 병에 채워진 내용물이 빨려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본 고안은 밸브체(42)가 위로 볼록하기에 설사 입안에 있던 과자 등의 내용물이 들어간다 하여도 밸브공(43)을 통하여 들어갈 수 없어 위생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밸브체(42)가 위로 볼록하는 형상을 이루므로, 테두리(41) 부분을 잡아주는 밸브고정링(50)의 높이가 높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높이가 낮은 만큼 재료비도 낮아지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의 밸브공(43)은 일자형이나 십자형 등 다양하게 변형시켜 구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에서, 밸브의 형상을 위로 볼고한 형상으로 구현하여 입을 통하여 들어가는 불순물의 주입을 차단하고, 밸브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의 형상도 간단하고 높이를 낮도록 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원가도 절감된다.

Claims (1)

  1. 메인캡에 덮개컵을 결합시키고, 메인캡의 내주연에는 밸브의 테두리를 이루는 밸브링을 밸브고정링으로 고정하되 밸브고정링을 아래에서 목부의 절곡부에 닿도록 위로 밀어 고정하고 밸브는 아래로 만곡한 밸브체를 가지는 병마개에 있어서,
    테두리(41)를 기역자형으로 형성하고 밸브 기능을 하는 중앙의 밸브체(42)를 위로 만곡한 막곡부 형태로 형성한 밸브(40)와;
    밸브(40)의 테두리(41) 내주연에 끼움 당접 하도록 단면이 대략 기역자 형상을 하고, 병 목부(2)의 절곡부(2-1)와, 절곡부(2-1)의 일정거리 하부 위치의 병 목부(2) 내주연에 돌출한 고정링 고정돌기(2-2)사이에 고정되어, 밸브를 병목부(2) 내주연에 고정시키는 밸브 고정링(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
KR2020020020210U 2002-07-05 2002-07-05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 Expired - Fee Related KR200291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10U KR200291148Y1 (ko) 2002-07-05 2002-07-05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10U KR200291148Y1 (ko) 2002-07-05 2002-07-05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148Y1 true KR200291148Y1 (ko) 2002-10-11

Family

ID=7312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21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1148Y1 (ko) 2002-07-05 2002-07-05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14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402B1 (ko) * 2002-11-08 2005-08-30 넥솔테크(주) 일방향 밸브가 부착된 음료포장용 위생밀봉용기
KR100737283B1 (ko) 2005-11-11 2007-07-09 안종원 펌프 디스펜서
WO2012024668A3 (en) * 2010-08-20 2012-05-10 Joseph Amin Dosage dispensing cap system
CN111361165A (zh) * 2020-04-03 2020-07-03 广东长能包装实业有限公司 瓶盖上膜自动生产设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402B1 (ko) * 2002-11-08 2005-08-30 넥솔테크(주) 일방향 밸브가 부착된 음료포장용 위생밀봉용기
KR100737283B1 (ko) 2005-11-11 2007-07-09 안종원 펌프 디스펜서
WO2012024668A3 (en) * 2010-08-20 2012-05-10 Joseph Amin Dosage dispensing cap system
US9056700B2 (en) 2010-08-20 2015-06-16 Joseph Amin Dosage dispensing cap system
CN111361165A (zh) * 2020-04-03 2020-07-03 广东长能包装实业有限公司 瓶盖上膜自动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8172A1 (en) Baby bottles with integral handles
EP0634922B2 (en) Drinking vessel suitable for use as a trainer cup or the like
EP3381333B1 (en) Two-piece spill proof open cup
ES2632061T3 (es) Recipiente, cierre y envase
US20040256386A1 (en) Beverage can cover and seal combination
US7661546B2 (en) Switch cap for drinking bottle
US20110068113A1 (en) Sanitary Cup Lids
EA01317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тия бутылок,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бутылок с алкогольными напитками или со спиртосодержащими жидкостями
TW201429817A (zh) 容器、用於容器的把手以及把手容器總成
JP2008511506A (ja) 密封装置、密封装置を備えた容器及び容器を密封する方法
US3201011A (en) Pouring spout and cover therefor
US20080023502A1 (en) Closure Cap
KR200291148Y1 (ko) 일방향 밸브를 가지는 병마개
US7878373B2 (en) Dispensing cap
RU226884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ориентации укупо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носительно контейнера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20060090211A (ko) 병뚜껑의 이탈방지구조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US6311864B1 (en) Universal sanitary shield for media dispensers
KR200430763Y1 (ko)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병뚜껑
JPWO2020138262A1 (ja) 水筒用蓋体
KR200171247Y1 (ko) 캔 결합체
US20220400879A1 (en) Transitional Sippy Cup
JPH0620468Y2 (ja) 2重筒コップ
US20090159551A1 (en) Universal Adapter for Baby Nipple/Pac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7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7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3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