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90477Y1 -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 Google Patents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477Y1
KR200290477Y1 KR2020020020236U KR20020020236U KR200290477Y1 KR 200290477 Y1 KR200290477 Y1 KR 200290477Y1 KR 2020020020236 U KR2020020020236 U KR 2020020020236U KR 20020020236 U KR20020020236 U KR 20020020236U KR 200290477 Y1 KR200290477 Y1 KR 200290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traw
lid
floating
fl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아
Original Assignee
유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수아 filed Critical 유수아
Priority to KR2020020020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477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음료캔과 음료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로 제공되는 빨대(straw)가 음료캔 내부에 수용되어 부양력에 의해 음료캔의 두껑 개방시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음료캔의 음료 섭취시 별도의 빨대가 필요하지 않고, 두껑 개방에 의한 유출구에 입을 접촉시킬 필요가 없어 위생문제를 해결하며, 음료 섭취후 빨대와 음료캔을 분리하면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A DRINKING CAN WITH A FLOATABILITY STRAW}
본 고안은 음료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캔과 음료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로 제공되는 빨대(straw)가 음료캔 내부에 수용되어 부양력에 의해 음료캔의 두껑 개방시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한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캔은, 금속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의 상면에 개방을 위한 두껑이 마련되어 두껑 개방후 음료를 섭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료캔은 사용자의 음료 섭취시 음료캔의 상면에 제공된 두껑을 개방 시킨후 음료캔의 상면 일측 테두리에 입을 밀착시킨 후 섭취하게 되는데 이때 두껑 주변의 오염물질로 인해 청정한 음료를 섭취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음료캔과 별도로 제공된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를 섭취하거나 또는 음료캔의 외주면에 포장된 빨대를 부착시켜 사용시 포장된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빨대 또한 음료캔의 외주면에 부착 또는 별도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음료 섭취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왔고, 또한 부착된 빨대의 경우에는 음료캔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지 못하는 단점 및 빨대가 없는 경우의 음료 섭취시 유출구에 입을 접촉시키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음료가 채워진 음료캔의 내부에 캔두껑 개방시 하단에 구비되는 부양구의 부양으로 상승되어 돌출되는 빨대를 구비하여 음료캔의 두껑 개방후 식음자가 간편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양식 빨대가 다른 음료캔에 적용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음료캔 120: 두껑
200: 빨대 220: 부양구
300: 유도관체 320: 지지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료캔에 있어서, 음료가 채워진 음료캔의 내부에 상면 덮개에 구비된 두껑 개방시 하단에 구비되는 부양구의 부양으로 상승되어 돌출되는 빨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료캔의 내벽에 상기 빨대가 개방된 구멍을 통해 수직으로 상승되도록 빨대 안내를 위한 유도관체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도관체가 음료캔의 상면 덮개에 고정되어 빨대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양구는, 상기 빨대의 하단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감싸져 결합되고 그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특징에 따라 식음자가 음료캔의 두껑을 개방시키게 되면 빨대가 부양구의 부양력과 유도관체의 안내에 의해 수직 상승되어 개방구로부터 소정높이 돌출되고 식음자가 이를 통해 간편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캔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음료캔 내부에 구비된 빨대가 두껑 개방시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또는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음료캔(100)과, 음료캔(100)의 내부에 음료와 함께 수용되는 빨대(200)와, 빨대(200)를 상승시키는 부양구(220)와, 부양구(220)가 수직상태로 상승되도록 유도하는 유도관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료캔(100)은, 공지의 형상과 구조로 원통형이며 그 상하단에 상하면 덮개가 제공되고 상면 덮개의 일측에 당김시 유출구를 개방시키는 두껑(120)이 형성된다. 상기 음료캔(100)은 내부에 음료와 함께 빨대(200)와 이 빨대(200)의 안내를 위한 유도관체(300)가 제공된다.
상기 빨대(200)는, 합성수지재로 상하 연통홀을 가지며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 음료에의 저장시 부양되도록 부양구(220)가 구비된다.
상기 유도관체(300)는, 상기 빨대(200)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어 승하강 되도록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 일측에는 지지편(320)이 형성되어 상기 음료캔(100)의 내벽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유도관체(300)는 음료캔(100)의 제조시 또는 두껑(120)을 갖는 상면 덮개의 접합시에 각기 선택적으로 지지편(320)에 의해 용접 고정된다.
상기 부양구(220)는, 합성수지재로 상기 빨대(200)의 하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며, 그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음료에 수장된 경우 부력으로 상승되게 되고, 외주면을 감싼 유도관체(300)에 의해 수직 이동 및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부양구(220)의 외경은 상기 유도관체(300)의 내경보다 소정폭 만큼만 크게 형성시켜 빨대(200)의 사용후 당김시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분리수거가 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양구(220)는 상기 빨대(200)의 사용후 당김시에 상기 유도관체(300)에 걸림된 상태에서 압착되면서 이탈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료캔(100)의 상면 두껑(120)은 레버 당김시 유출구를 개방시키며 두껑(120)이 음료캔(10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구조, 또는 두껑(120)의 일측 레버의 당김시 개방구의 하측 방향으로 절개되면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에 모두 적용된다.
즉, 도 1 및 도 2는 유출구 개방시 음료캔(100)으로부터 두껑(120)이 이탈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유출구 개방시 음료캔(100)의 두껑(120)이 이탈되지 않고 일부분 절췌되면서 유출구를 개방시키는 구조이다.
다시말해, 두껑(120)의 절췌라인으로부터 완전 이탈되는 구조의 경우 빨대(200)의 상단을 두껑(120)의 저면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하면 되고, 두껑(120)이 절췌라인으로부터 완전 이탈되지 않고 하향 이동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절췌되는 라인에 빨대(200)의 상단을 위치시켜 두껑(120)의 하향 이동시 소정폭 하강됨과 동시에 부양력으로 상승되어 개방구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빨대(200)의 상단 위치에 절곡가능한 자바라식 절곡부를 소정구간 형성시켜 음료 섭취시 원하는 각도로 절곡시킨 후 음료를 섭취하도록 하고 또한 일정량 음료 섭취후 보관시 이를 절곡시켜 그 절곡단이 두껑(120) 개방구에 걸림되어 상기 빨대(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의 제작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제작시에는 음료캔(100)이 몸체부가 일체형인 경우에는 두껑(120)의 저면에 유도관체(300)의 지지편(320)을 일체로 고정시킨 후 유도관체(300)에 빨대(200)를결합시킨 다음 두껑(120)을 접합 고정하면 되고, 또 음료캔(100)의 몸체부가 말려져 용접된 후 두껑(120)을 접합시키는 경우에는 음료캔(100)의 몸체에 유도관체(300)의 지지편(320)을 일체형으로 고정시키며 연속해서 빨대(200)를 유도관체(300)에 슬라이드 결합시킨 다음 음료를 주입하고 두껑(120)을 접합시키면 된다.
사용시에는 식음자가 음료캔(100)의 두껑(120)을 개방시키게 되면 두껑(120)에 지지된 빨대(200)가 하단의 부양구(220)에 의해 수직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상승되는 부양구(220)는 빨대(200)를 감싼 유도관체(300)에 걸림되어 외부로의 이탈 또한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은 음료가 채워진 음료캔의 내부에 캔의 상면 덮개에 제공된 두껑 개방시 하단에 구비되는 부양구의 부양으로 상승되어 돌출되는 빨대를 구비하므로써 음료 섭취자가 음료캔의 두껑 개방과 함께 음료를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음료캔에 있어서,
    음료가 채워진 음료캔의 내부에, 상면 덮개의 일측에 제공되는 두껑 개방시 하단에 구비되는 부양구의 부양력으로 상승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빨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캔의 내벽에 상기 빨대가 개방된 구멍을 통해 수직으로 상승되도록 빨대 안내를 위한 유도관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체가 음료캔의 상면 덮개에 고정되어 빨대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구는
    상기 빨대의 하단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감싸져 결합되고 그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승시 상기 유도관체에 걸림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구는 상기 빨대의 사용후 당김시에 상기 유도관체에 걸림된 상태에서 압착되면서 이탈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의 상단 위치에 절곡가능한 자바라식 절곡부를 소정구간 형성시켜 음료 섭취시 원하는 각도로 절곡시킨 후 음료를 섭취하도록 하고 또한 일정량 음료 섭취후 보관시 이를 절곡시켜 그 절곡단이 두껑 개방구에 걸림되어 상기 빨대가 노출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KR2020020020236U 2002-07-05 2002-07-05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KR200290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36U KR200290477Y1 (ko) 2002-07-05 2002-07-05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236U KR200290477Y1 (ko) 2002-07-05 2002-07-05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477Y1 true KR200290477Y1 (ko) 2002-09-28

Family

ID=7312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236U KR200290477Y1 (ko) 2002-07-05 2002-07-05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4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6927A (en) Pop-up straw for beverage cans
KR101139832B1 (ko) 종이 뚜껑
US3774804A (en) Straw-forming structure for a beverage container
US20070056996A1 (en) Beverage container
GB2447932A (en) Beverage can with integral drinking straw
US6443324B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contained straw
KR200290477Y1 (ko) 부양식 빨대를 갖는 음료캔
KR20110011613U (ko) 차 물 내림 밸브컵
JP2004238024A (ja) 飲料容器用ストロー
EP2489607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drinking straw
CN214341544U (zh) 一种杯盖及奶茶杯
KR20120094658A (ko) 음료용 캔
CN2425881Y (zh) 方便卫生的内置吸管式液体易拉罐
KR950006723Y1 (ko) 음료수용 스트로
JPH09315461A (ja)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KR200216387Y1 (ko) 음료용 캔의 내장 빨대
CN209769913U (zh) 一种打翻不漏水的水杯
CN220905858U (zh) 一种瓶口不易变形的椰子汁包装盒
KR20180086091A (ko) 빨대 및 이를 이용한 캔용기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CN204297344U (zh) 一种内置吸管式易拉罐
CN2611315Y (zh) 吸管式卫生易拉罐
KR200165978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CN2573424Y (zh) 内置吸管式易拉罐
CN2583027Y (zh) 内置吸管易拉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7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9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