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437Y1 - 다중 채널 접속 무선송신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채널 접속 무선송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9437Y1 KR200289437Y1 KR2020020017907U KR20020017907U KR200289437Y1 KR 200289437 Y1 KR200289437 Y1 KR 200289437Y1 KR 2020020017907 U KR2020020017907 U KR 2020020017907U KR 20020017907 U KR20020017907 U KR 20020017907U KR 200289437 Y1 KR200289437 Y1 KR 2002894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jack
- radio
- built
- sou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즈프리와 함께 개인휴대음향출력장치(ex:CD,MD,MP3 등)를 공유할 수 있게 하여 차량용 또는 일반오디오, 라디오에서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다중접속 잭과 라디오주파수를 이용한 무선송출방식으로 응용시킨 것으로 지역의 조건이나 전파환경에 따라 라디오 전파의 간섭이 많아 음질이 떨어지는 곳에서도 깨끗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기변환출력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마이크, 통화와 절환스위치, 이어폰 접속소켓을 내장한 내장형과 마이크와 통화스위치가 내장될 필요 없이 간결하게 별도로 구비된 이어핸즈프리를 연결할 수 있는 외장형으로 구성하였으며 이어핸즈프리 다중접속장치를 결합 효율적으로 활용토록 개인휴대음향장치 등을 번거롭게 바꿔 끼워 주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키며 부가적으로 연결하는 개인휴대음향출력장치와 핸드폰의 별도의 전원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주 전원(MAIN POWER)에서 전압조절출력부에서 분배하는 출력을 기기에 알맞은 전원으로 선택 공급받도록 해 복잡한 전원잭을 간소화시키고 통화와 개인휴대음향기기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구성 형태를 가진 제품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기존에는 차량용 거치대, 아답터, 핸즈프리, 무선송신기, 이모든 것을 별도로 구입하고 장착하여야 하였으므로 막대한 비용이 들었으며 차안에 설치할 경우 여러 개의 전원이 필요해 멀티소켓을 구입하는 추가비용이들며 전깃줄들이 치렁치렁 널려있는 복잡하게 보기 흉한 구조를 이루어 간편하면서 다양하게 사용하기가 어려웠었다. 무선송신기의 경우 주변지역의 간섭전파로 인한 교란, 송신기기의 고장, 시가잭에 공급되는 차량의 퓨즈가 끊어져 전기가 끊겨 나가는 등의 상황이 되면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호환이 잘 되지 않아 개별적으로 구입 설치하던 모든 기능을 한 기기에서 처리해서 다양한 구성을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사용필요에 맞게 세팅할 수 있도록 부수적 들어가는 케이블은 별도로 필요에 따라 구입하거나 추가연결이 가능하게 하고 공급되는 전원이 없이도 어떠한 조건에서든지 최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도 1,2,3,4,5 은 본 고안의 구성과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절환스위치(버튼) 2: 전압선택스위치
3: 입력(In put)잭소켓 4: 출력(Out put)잭소켓
5: 주파수변환라디오무선송신출력부 6: 휴대폰 접속 잭
7: 충전 잭소켓 8: 메인 전원 소켓
9: 차량용 시가 전원잭 10: 충전 컨넥터잭
11: 통화스위치(버튼) 12: 마이크
13: 절환스위치(비밀통화) 14: 자기변환출력장치
15: 외부입력 케이블 잭 16: 충전상태지시LED
17: 전원상태지시LED 18: 조절전압외부출력전원잭소켓
19: 이어폰 20: 다중전압조절출력부
21: 이어핸즈프리 22: 이어 마이크폰
본 고안은 상기의 솔루션으로서 전원이 입력되어 분배시키는 다중전압조절출력부에서 외부출력전원을 분배하여 외부 기기의 전원을 공급하게되고 절환스위치(버튼)에 의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출력음을 선택하여 공급하여 핸즈프리기능까지 겸하게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보면 외부입력(In put)잭소켓(3) a와 b를 통해 외부 음원인 외부음향출력장치에서 나오는 출력음을 받아들이게 된다. 여기서 받아들인 출력음 a 와 b중 하나를 오른쪽의 절환스위치(1)를 통해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선택되어진 출력음과 휴대폰접속잭(6)에 연결되어 들어오는 핸드폰의 출력음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왼쪽의 절환스위치(1)에서 사용자의 누름에 따라 선택되어 주파수변환라디오무선송신출력부(5)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출력(Out put)잭소켓(4)에 외부 잭이 삽입되면 주파수변환라디오무선송신출력부(5)로의 출력 음은 차단되고 출력 음은 출력(Out put)잭소켓(4)의 잭으로 전달되어진다. 다중전압조절출력부(20)에서는 Main power인 주 전원(8)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주파수변환라디오무선송신출력부(5)와 충전잭소켓(7)에 보내고 외부음향출력장치의 전원에 알맞은 전압으로 전압선택스위치(2a, b)에 의해 전압을 선택하여 각각 외부 기기에 맞는 전원을 조절전압 외부출력잭소켓(18a, b)에 공급한다. 충전 잭소켓(7)에 충전 컨넥터잭(10)을 꼽아 휴대전화를 연결하여 충전할 때 충전상태지시LED(16)가 점등된다. 그 옆의 전원상태지시LED(17)는 전원이 최초 공급되면서 전원이 ON상태에 있을 땐 항상 점등되어있게 된다. 각각의 연결부위가 소켓으로 접속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와 취향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구성되도록 만들었다. 통화스위치(11)이나 마이크(12)등은 고장이나 손상될 시 간편하게 신품으로 언제든지 바꾸어 끼울 수 있도록 소켓형으로 만들었으며 전선을 길게 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마이크(12)와 통화스위치(11)를 최적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출력(Out put)잭소켓(4)에 이어폰(19)이나 카세트형 자기변환출력장치(14)의 잭을 꼽으면 각각 외부에서 들어오는 출력음을절환스위치(1)를 거쳐 선택되어진 출력음을 전달하게 된다.
도 2는 별도의 핸드폰잭이나 마이크(12), 통화스위치(11)없이 외부출력음을 받아들이는 입력(In put)잭소켓(3)을 추가 장착하여 세 가지 음원을 선택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이어핸즈프리(21)를 결합하여 핸즈프리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도 3은 통화버튼(11)을 내장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출력음과 핸드폰에서 출력되는 출력음을 절환스위치(1)에 의해 선택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4는 핸즈프리기능을 겸하면서 비밀통화를 위해 핸드폰에서 출력되고 입력되어지는 신호를 절환스위치인 비밀통화스위치(13)를 누르면 핸드폰용 이어마이크폰(22)을 삽입할 수 있는 잭으로 신호를 보내어 이어폰으로 직접 통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5는 통화스위치(11)를 내장하고 복수개의 외부음원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지정된 송신주파수와 타 송신신호와 중첩이 되는 지역처럼 전파간섭이 많거나 송신기기의 고장이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출력잭에 자기변환출력장치(일명:카팩)를 연결하여 어느 지역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깨끗한 음질로 원음을 즐길 수 있으며 여러 전원장치를 추가 장착할 필요 없이 하나로 가능하기에 복잡한 전깃줄이 난립하는 현상을 해소시키게 되므로 여러전원잭을 꼽을 멀티소켓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액세서리 추가 구입비용을 줄여 가계의 지출을 줄여준다. 핸즈프리기능으로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며 본 기기 위에 CDP같은 개인휴대음향기기를 얹으면 훌륭한 거치대 기능도 제공한다.
Claims (1)
- 전원을 공급하고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압선택스위치(2)로 공급출력을 조절하는 내외부 다중전압조절공급출력부(20)와 전원충전상태지시LED(16,17)를 장착하고 외부음원을 입력받는 입력잭소켓(3)에서 입력받은 출력음을 절환하여 선택하는 절환스위치(1)와 핸드폰접속잭(6), 마이크(12), 통화스위치(11), 충전잭(7)이 잭소켓형으로 내외장으로 분리결합이 되고 전달되어지는 외부에서 입력된 출력음이 내부에서 절환스위치(1)에 의해 선택 절환되는 출력음을 외부로 전달하는 출력(Output)잭소켓(4)을 구비하고 주파수변환라디오무선송신부(5)에 입력되어 라디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접속 무선 송신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7907U KR200289437Y1 (ko) | 2002-06-12 | 2002-06-12 | 다중 채널 접속 무선송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7907U KR200289437Y1 (ko) | 2002-06-12 | 2002-06-12 | 다중 채널 접속 무선송신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9437Y1 true KR200289437Y1 (ko) | 2002-09-16 |
Family
ID=7312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1790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9437Y1 (ko) | 2002-06-12 | 2002-06-12 | 다중 채널 접속 무선송신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9437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9691A (ko) * | 2002-09-19 | 2002-10-19 | 박성범 | 다중 접속이 가능한 핸드프리 어댑터 |
KR101396447B1 (ko) * | 2012-02-07 | 2014-05-2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무선 오디오 장치 |
-
2002
- 2002-06-12 KR KR2020020017907U patent/KR200289437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9691A (ko) * | 2002-09-19 | 2002-10-19 | 박성범 | 다중 접속이 가능한 핸드프리 어댑터 |
KR101396447B1 (ko) * | 2012-02-07 | 2014-05-2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용 무선 오디오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1909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quipment with configurable audio path circuitry | |
CN102792713B (zh) | 个人音频设备 | |
US8150460B1 (en) | Wireless speakers and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040045841A (ko) | 셀폰 또는 엠피쓰리 플레이어용 모듈러 헤드셋 | |
US20090046869A1 (en) | Wireless audio receivers | |
US20070097689A1 (en) | Docking station lamp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20030125075A1 (en) | Desktop stand and mobile phone | |
US20200196055A1 (en) | System and method of use of connecting wireless speakers | |
US6091225A (en) | Battery charging system having a speaker and a mode changing switch | |
US20060148405A1 (en) | Bluetooth audio relay | |
KR200416690Y1 (ko) | 휴대폰용 젠더체인저 유니트 | |
US6076000A (en) | Mobile telephone battery charger | |
KR200289437Y1 (ko) | 다중 채널 접속 무선송신장치 | |
US8655417B2 (en) | Video/audio playing apparatus wit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wireless video/audio transmission module thereof | |
KR200397845Y1 (ko) |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 | |
US8160643B2 (en) | Radio accessory having pass through connector | |
KR100804745B1 (ko) | 복합 기능을 갖는 외장형 스피커 | |
JPH099382A (ja) | 電池式ステレオ音響再生装置用の無線イヤホーン装置 | |
US20060141925A1 (en) | Hands-free adaptor | |
CN209748558U (zh) | 蓝牙无线收发分享系统及其蓝牙无线收发分享盒 | |
KR101561782B1 (ko) | 분리형 도킹 스피커 | |
CN219086405U (zh) | 一种音频转换设备 | |
KR200279640Y1 (ko) | 다중접속 핸즈프리 | |
KR200412452Y1 (ko) |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 | |
KR100733485B1 (ko) | 유에스비 커넥터 내장된 이어폰형 에프엠 트랜스미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612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209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6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