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6981Y1 - 절첩식 의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981Y1
KR200286981Y1 KR2020020017513U KR20020017513U KR200286981Y1 KR 200286981 Y1 KR200286981 Y1 KR 200286981Y1 KR 2020020017513 U KR2020020017513 U KR 2020020017513U KR 20020017513 U KR20020017513 U KR 20020017513U KR 200286981 Y1 KR200286981 Y1 KR 200286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hair
seat plate
hole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무길
Original Assignee
한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무길 filed Critical 한무길
Priority to KR2020020017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98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앞다리와 뒷다리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좌판이 구비되는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앞다리 사이에 횡방향으로 절첩봉을 앞다리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절첩봉의 양측에는 절첩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좌판을 절첩구에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설치한 것이며, 상기 절첩구는 절첩봉이 통과되는 반원형의 통과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좌판이 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통과공 상측에서 결합되는 반원형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절첩봉에 고정시키는 고정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절첩봉에는 절첩구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절첩구의 몸체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내되는 반원형의 이동로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의자는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의자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좌판의 절첩 동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의자{A FOLDING CHAIR}
본 고안은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첩식 의자의 제조공정을 간소화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의자의 내구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한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절첩식 의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앞다리와 뒷다리의 상단부가 링크와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있고. 의자의 좌판(3)이 앞다리(1)와 뒷다리(2)에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절첩식 의자는 의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링크(4)의 양측단에 설치된 힌지축(5)과 좌판(3)이 결합된 힌지축(6)을 중심으로 각각의 다리(1)(2)와 좌판(3)을 절첩시켜 의자의 부피를 최소로 줄인 상태로 이를 적층시켜 운반하거나 보관시키고,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대의 동작으로 각각의 다리(1)(2)와 의자의 좌판(3)을 펼쳐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절첩식 의자는 의자의 앞다리와 좌판 및 뒷다리가 관절링크와 다수의 힌지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됨에 따라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절첩식 의자는 앞다리와 뒷다리가 관절링크와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절첩되기 때문에 의자를 반복하여 절첩시키는 동작시 다수의 힌지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제조공정을 간소화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도록 한 절첩식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의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절첩식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의자의 좌판의 절첩동작을 간편하게 실시하도록 한 절첩식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절첩식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첩식 의자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앞다리 12 ; 뒷다리
13 ; 좌판 14 ; 절첩봉
15 ; 스토퍼 20 ; 절첩구
21 ; 절첩구의 몸체 21a ; 몸체의 통과공
21b ; 체결공 21c ; 이동로
22 ; 절첩구의 고정편 22a ; 고정편의 통과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의자의 앞다리와 뒷다리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좌판이 구비되는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앞다리 사이에 횡방향으로 절첩봉을 앞다리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절첩봉의 양측에는 절첩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좌판을 절첩구에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첩구는 상기 절첩봉이 통과되는 반원형의 통과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좌판이 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통과공 상측에서 결합되는 반원형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절첩봉에 고정시키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첩봉에는 상기 절첩구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절첩구의 몸체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내되는 반원형의 이동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절첩식 의자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구가 절첩봉에 결합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는 한 쌍의 앞다리(11)의 양측에 뒷다리(12)가 결합되어 있고, 앞다리(11)에는 좌판(13)이 결합되어 있다.
한 쌍의 앞다리(11) 사이에는 절첩봉(14)이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어 이 절첩봉(14)에 좌판(13)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절첩봉(14)은 전면으로 돌출되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절첩봉(14)의 양측에는 스토퍼(15)가 구비되어 있다.
절첩봉(14)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5)에는 절첩구(2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절첩구(20)는 절첩봉(14)이 통과되는 반원형의 통과공(21a)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단에는 좌판(13)을 고정시키기 위해 스크류(16)가 체결되는 체결공(21b)이 형성된 몸체(21)와, 몸체(21)를 절첩봉(1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몸체(21)의 통과공(21a)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반원형 통과공(22a)이 하단에 개구되게 형성된 고정편(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절첩구(20)의 몸체(21)의 내부에는 절첩봉(14)에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15)가 결합되어 안내되는 이동로(21c)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7은 고정편(22)을 몸체(21)에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이고, 22b는 체결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의자의 좌판을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스토퍼(15)가 절첩구(20)의 몸체(21)에 형성된 이동로(21c)에 삽입되도록 절첩구(20)의 몸체(21)를 위치시키면서 동시에 몸체(21)의 통과공(21a)을 통해 절첩봉(14)이 통과되는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그 상측에서 고정편(22)을 위치시켜 절첩봉(14)이 몸체(21)의 통과공(21a)과 고정편(22)의 통과공(22a) 사이를 통과되도록 한 후에, 고정편(22)의 체결공(22b)을 통해 스크류(17)를 체결하여 고정편(22)을 몸체(21)에 조립하면 절첩구(20)는 절첩봉(14)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좌판(13)을 절첩구(20)에 밀착시키고 절첩구 몸체(21)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21b)을 통해 스크류(16)를 체결하면 좌판(13)이 절첩구(20)에 지지된 고정된 상태로 절첩봉(14)에 결합된다.
이처럼 조립이 완료된 절첩식 의자는 펼침동작에 의해 뒷다리(12)가 앞다리(11)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면서 양측 다리(11)(12)가 지면을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좌판(13)을 펼쳐주는 동작은 좌판(13)을 절첩봉(14)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판(13)의 하면을 지지한 상태로 절첩봉(14)에 결합되어 있는 절첩구(20)가 절첩봉(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절첩구(20)의 내부에서 절첩봉(14)에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15)는 몸체(21)의 이동로(21c)에 안내되면서 이동되다가 도 2에서와 같이, 좌판(13)이 절첩봉(1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선회된 상태에 도달되면, 스토퍼(15)에 의해 절첩구(20)의 회전이 규제됨으로써 좌판(13)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좌판(13)을 접어주는 동작은 좌판(13)을 펼쳐준 방향과 반대방향인 접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절첩구(20)가 절첩봉(14)을 중심으로 회전되다가 스토퍼(15)에 의해 규제되는 범위에 이르는 상태 즉, 앞다리(11)와 평행한 상태까지 회전된 후에 정지되므로 좌판(13)이 접힌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의자는 좌판(13)을 절첩봉(14)을 중심으로 단순히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좌판(13)이 펼쳐지고,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 간편하게 의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앞다리(11)와 일체로 형성된 절첩봉(14)을 중심으로 절첩구(20)에 의해 지지된 좌판(13)이 회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절첩 동작시 절첩봉(14)이 하중을 견디게 되므로 의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의자의 앞다리에 일체로 형성된 절첩봉에 절첩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이러한 절첩구에 좌판을 절첩구에 체결하는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판이 앞다리에 일체로 형성된 절첩봉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의자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의자는 좌판을 펼쳐주고, 접는 동작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어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에도 의자를 사용하기에 편리하므로 소비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의자의 앞다리와 뒷다리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좌판이 구비되는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앞다리 사이에 횡방향의 절첩봉을 앞다리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절첩봉의 양측에는 절첩구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좌판을 절첩구에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구는 상기 절첩봉이 통과되는 반원형의 통과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단에는 상기 좌판이 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통과공 상측에서 결합되는 반원형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절첩봉에 고정시키는 고정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의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봉에는 상기 절첩구의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절첩구에는 상기 스토퍼가 안내되는 이동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의자.
KR2020020017513U 2002-06-08 2002-06-08 절첩식 의자 Expired - Lifetime KR200286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513U KR200286981Y1 (ko) 2002-06-08 2002-06-08 절첩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513U KR200286981Y1 (ko) 2002-06-08 2002-06-08 절첩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981Y1 true KR200286981Y1 (ko) 2002-08-24

Family

ID=7307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513U Expired - Lifetime KR200286981Y1 (ko) 2002-06-08 2002-06-08 절첩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9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0530C (en) Folding table leg apparatus
US20070060449A1 (en) Foldable elliptical fitness machine
US6618879B1 (en) Portable bed frame
JP2023162339A (ja) 子供用ストローラーフレーム
US5803650A (en) Joint structure of collapsible playpen
KR890003846Y1 (ko) 접는 유모차용 연결 구조물
CA1294312C (en) Table with folding leg
US20030025361A1 (en) Chair folding structure
KR200286981Y1 (ko) 절첩식 의자
JP2003175876A (ja) 折畳み三輪車
JPH02270673A (ja) 折り畳み式台車
US20050178419A1 (en) Tent frame assembly
JP3599724B2 (ja) 屋外用いす及び屋外用テーブルセット
JPH1094449A (ja) 折り畳み式支持面付き着座器具
JPH08280446A (ja) 伸張可能テーブル
KR200428328Y1 (ko) 접이식 탁자
JP3696658B2 (ja) 折り畳み式ブランコ
CN211215189U (zh) 一键折叠跑步机的连杆机构及其跑步机
KR200178811Y1 (ko) 유모차의 안전 잠금장치
JP4514281B2 (ja) 折畳みテーブル
KR970036494A (ko) 접이식 어린이 시트(A open and cross type child seat)
GB2380520A (en) Stroller with a string actuating unit
JP2003310381A (ja) 肘掛付き折り畳み椅子
KR20080010892A (ko) 탁자 절첩구 및 그 절첩구를 이용한 접이식 탁자
KR100513554B1 (ko) 시트용 사이드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6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6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0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