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5888Y1 - 유리용융로 - Google Patents

유리용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888Y1
KR200285888Y1 KR2020020015439U KR20020015439U KR200285888Y1 KR 200285888 Y1 KR200285888 Y1 KR 200285888Y1 KR 2020020015439 U KR2020020015439 U KR 2020020015439U KR 20020015439 U KR20020015439 U KR 20020015439U KR 200285888 Y1 KR200285888 Y1 KR 200285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ner
molten glass
bottleneck
glass
mel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붕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5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88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멜터와, 상기 용융유리를 청징하는 리파이너와, 상기 멜터와 상기 리파이너를 연결하는 병목연결부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상기 병목연결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병목연결부 내의 용융유리물을 상기 리파이너로 상향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병목연결부 벽면이 침식되는 것을 최소로 억제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용융유리물에 함유되었을 경우 발생가능한 유리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용융로{GLASS FURNACE}
본 고안은,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병목연결부 벽면이 침식되는 것을 최소로 억제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용융유리물에 함유되었을 경우 발생가능한 유리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리용융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용융로는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하여 용융유리물로 만들고 용융유리물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공정으로 제공하기 전까지의 모든 공정을 일컫는다.
즉, 멜터 내에서 용융유리물이 성형되면, 이는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병목연결부를 통해 용융유리물 속의 기포를 제거하는 리파이너로 제공되게 되며, 리파이너에서 기포가 제거된 양질의 용융유리물은 유리공급부를 통해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성형장치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유리용융로에 있어서는, 멜터와 리파이너를 연결하는 병목연결부가, 상부벽 저부벽 및 측벽을 가지며 멜터 내에서 성형된 고온의 용융유리물을 리파이너로 제공하는 용융유리물의 이동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용융유리물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용융유리물이 수용공간이 큰 멜터로부터 이동하여 현격히 좁아지는 병목연결부를 지나 다시 수용공간이 큰 리파이너로 제공되므로, 멜터에서 병목연결부로 향하는 용융유리물의 유동속도는 감소되지 못한 채, 리파이너로 흐르게 된다.
결국, 이러한 유속을 갖는 용융유리물은 병목연결부의 벽면을 침식을 가속화시키게 되며, 특히, 병목연결부의 상부벽을 흐르던 용융유리물이 리파이너로 공급될 때, 좁은 공간을 벗어나 갑자기 수용공간이 넓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향으로 치솟게 되므로 병목연결부에서 리파이너와 연접하는 일측 상부벽의 침식이 더욱 가속화 된다.
이와 같이, 병목연결부를 통과하여 리파이너로 제공되는 용융유리물 내에는,병목연결부의 벽면 침식으로 인한 다량의 불순물이 함유되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양산되는 유리제품에 치명적인 결점을 발생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병목연결부 벽면의 침식되는 것을 최소로 억제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용융유리물에 함유되었을 경우 발생가능한 유리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리용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용융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병목연결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병목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멜터 20 : 병목연결부
26: 리파이너 40 : 상부벽
41 : 저부벽 42 : 측벽
43a,43b : 안내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멜터와, 상기 용융유리를 청징하는 리파이너와, 상기 멜터와 상기 리파이너를 연결하는 병목연결부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상기 병목연결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병목연결부 내의 용융유리물을 상기 리파이너로 상향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상부 단부면에 상기 용융유리물의 유동방향을 향해 상향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만곡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병목연결부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용융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병목연결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병목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용융로는 고상의 유리원료를 공급받아 가열시켜 액상의 용융유리물을 성형하는 멜터(10)(Melter)와, 용융유리물 속의 기포를 제거시켜 양질의 용융유리물을 성형하는 리파이너(26)(Refiner)와, 멜터(10)와 리파이너(26) 사이에 상호 이격배치되어 멜터(10) 내의 용융유리물을 소정의 온도범위 내로 냉각시켜 리파이너(26)로 제공하도록 상호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병목연결부(20)(Throat)와, 리파이너(26)와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어 성형작업조건에 적합한 유리상태가 되도록 유리를 보온 및 교반하여 압축성형장치(30)로 제공하는 유리공급부(28)를 갖는다.
여기서, 멜터(10), 리파이너(26) 및 병목연결부(20) 등은 고온의 용융유리물로 인해 침식되지 않도록 주로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다.
멜터(10)의 일측에는 도시 않은 원료공급통(Batch Buncker)과 연통되는 유리원료투입부(12)가 마련되어 있으며, 멜터(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벽(42)의 상부영역에는 유리원료투입부(12)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 용융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가열포트(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가열포트(16)에는 고상의 유리원료를 가열하여 용융시킬 수 있도록 가열버너(14)가 설치되어 있으며, 멜터(10)의 양측에는 가열버너(14)의 점화시 가열포트(16)로 연소용 산소를 공급하고, 또한, 멜터(10) 내에서 발생된 폐가스를 배출시키는 한 쌍의 축열실(18)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3의 병목연결부(20)는, 내화물로 이루어진 상부벽(40), 저부벽(41) 및 측벽(42)을 가지며 멜터(10) 내에서 성형된 고온의 용융유리물이 리파이너(26)로 이동할 수 있는 용융유리물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부벽(40), 저부벽(41) 및 측벽(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연결부(20)가 멜터(10)와 리파이너(26)에 비해 그 높이 및 넓이가 비교적 낮게 축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는, 멜터(10) 내에서 성형된 용융유리물은 그 하층에 비해 상층의 표면에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게 되므로, 이 같은 상층의 용융유리물이 리파이너(26)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부벽(40)의 양 단부영역 중 리파이너(26)와 접촉되는 일측 단부영역에는, 상부벽(40)과 인접하게 흐르던 병목연결부(20) 내의 용융유리물을 리파이너(26)로 상향 안내하는 안내부(43a)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부(43a)는, 상부벽(40)과 일체로 형성되어 리파이너(26) 내부로 노출되고, 상향되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판면으로부터 용융유리물의 유동방향을 향해 만곡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리원료투입부(12)를 통해 멜터(10) 내로 고상의 유리원료가 제공되면, 멜터(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된 다수의 가열버너(14)에 의해 고상의 유리원료는 용융되어 약 1500??정도의 온도를 갖는 용융유리물로 성형되게 되는데, 멜터(10) 내에서 성형된 용융유리물은, 내부에 기포 및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멜터(10) 내의 용융유리물은 복수의 병목연결부(20)를 통해 약 1150??정도의 온도로 급격히 냉각되면서 균질화되고, 이어 리파이너(26) 내에서 기포가 제거되면서 적절하게 보온됨으로써 용융유리물 내의 불순물은 제거되게 된다.
이에 멜터(10) 내에 용융유리물이 멜터(10)로부터 병목연결부(20)를 통해 리파이너(26)에 도달하게 되는 순간에 병목연결부(20)의 상부영역을 흐르던 용융유리물이 리파이너(26)의 내부로 노출된 병목연결부(20)의 안내부(43a)에 의해 용융유리물의 유동방향에 대해 상향으로 안내되어 리파이너(26)에 제공된다.
결국, 병목연결부(20)로부터 리파이너(26)에 도달하는 순간 안내부(43a)에 의해 도 3과 같이 상향으로 치솟는 형태로 안내됨으로써, 리파이너(26)와 인접되는 병목연결부(20)의 상부벽(40) 면이 침식되는 정도가 종래에 비해 현격히 줄어들게 되어 용융유리물에 함유되는 불순물의 양 또한 현격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43b)는 리파이너(26)와 인접한 측 병목연결부(20)의 상부벽(40)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리파이너(26)와 인접되는 병목연결부(20)의 일단부측에 용융유리물을 상향 안내하는 안내부(43a,43b)를 형성함으로써, 수용공간이 큰 멜터(10)로부터 이동공간이 좁은 병목연결부(20)를 나와 상대적으로 큰 수용공간을 갖는 리파이너(26)로 용융유리물이 제공될 때 병목연결부(20)의 벽면 침식을 감소시켜 병목연결부(20)의 침식으로 인해 용융유리물 내에 불순물이 함유되는 것을 최소한도로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병목연결부 벽면의 침식되는 것을 최소로 억제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용융유리물에 함유되었을경우 발생가능한 유리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용융유리를 형성하는 멜터와, 상기 용융유리를 청징하는 리파이너와, 상기 멜터와 상기 리파이너를 연결하는 병목연결부를 갖는 유리용융로에 있어서,
    상기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상기 병목연결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병목연결부 내의 용융유리물을 상기 리파이너로 상향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리파이너와 접촉되는 상부 단부면에 상기 용융유리물의 유동방향을 향해 상향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만곡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병목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용융로.
KR2020020015439U 2002-05-21 2002-05-21 유리용융로 Expired - Fee Related KR200285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39U KR200285888Y1 (ko) 2002-05-21 2002-05-21 유리용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39U KR200285888Y1 (ko) 2002-05-21 2002-05-21 유리용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888Y1 true KR200285888Y1 (ko) 2002-08-16

Family

ID=7312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43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5888Y1 (ko) 2002-05-21 2002-05-21 유리용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8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212B1 (ko) 유리질재료를용융하기위한장치
JP2583101B2 (ja) ガラス溶融炉およびガラス製造法
US4764198A (en) Glass melting tanks and refractory material therefor
JPS6325226A (ja) ガラス材料の真空清澄のための気泡制御方法
KR20000050572A (ko) 유리용해로의 냉각장치
KR200285888Y1 (ko) 유리용융로
US2068925A (en) Glass ma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414175B1 (ko) 유리용융로
US4317669A (en) Glass melting furnace having a submerged weir
KR200285890Y1 (ko) 유리용융로
KR200285893Y1 (ko) 유리용융로
KR200174270Y1 (ko) 유리용융로용 멜터
KR200285895Y1 (ko) 유리용융로용 멜터
KR200174268Y1 (ko) 유리용융로
KR20010010923A (ko) 유리용융로용 멜터
KR200285891Y1 (ko) 유리용융로
KR100400688B1 (ko) 용융유리 피더용 냉각장치
KR200228948Y1 (ko) 음극선관용 유리용융설비
KR200228950Y1 (ko) 유리용융로용 피더
KR100400689B1 (ko) 용융유리 피더용 냉각장치
US2780891A (en) Apparatus for melting glass
KR100355536B1 (ko) 유리용융로용피더
KR200285889Y1 (ko) 유리용융로용 멜터
KR20010037221A (ko) 유리용융로용 축열실
KR200285894Y1 (ko) 유리용융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5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5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