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5300Y1 -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300Y1
KR200285300Y1 KR2020020014755U KR20020014755U KR200285300Y1 KR 200285300 Y1 KR200285300 Y1 KR 200285300Y1 KR 2020020014755 U KR2020020014755 U KR 2020020014755U KR 20020014755 U KR20020014755 U KR 20020014755U KR 200285300 Y1 KR200285300 Y1 KR 200285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eat dissipation
cylinder head
mounting plate
compres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현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4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30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의 밸브 플레이트와 실린더 헤드 사이에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그 장착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돌출형성되어 실린더 조립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가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압축기의 구동시 전동구동부로부터 발생되는 구동열이 토출되는 냉매를 가열하여 토출냉매의 비체적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압축기의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Radiating device for hermetic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실린더 헤드의 방열을 위해 실린더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밀폐형 압축기(100)는, 케이스(110)와, 그 케이스(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전동구동부(120) 및 실린더 조립체(150)를 구비한다. 상기 전동구동부(120)는 고정자(121)와, 그 고정자(121) 내에서 상기 고정자(121)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자(123) 및 그 회전자(123)에 압입되며 하단에 편심부(130)가 마련된 회전축(125)을 포함한다. 상기 편심부(130)의 일측에는 회전축(125)의 회전시 상기 실린더 조립체(150)의 실린더(151a) 내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40)이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 조립체(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유입, 압축 및 토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린더(151a)가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 블록(151)과, 그 실린더(151a)의 개방부를 덮도록 실린더 블록(151)의 일측에 체결부재(S)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 헤드(153)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헤드(153)와 실린더 블록(151)의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155)와, 실린더(151a)로 유입되는 냉매를 단속하는 흡입밸브(152a)를 가지는 흡입밸브 시트(152)와, 실린더(151a)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단속하는 토출밸브 조립체(156)와, 각 플레이트들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기 위한 가스켓(157)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실린더 헤드(153)는 격벽(153a)을 구비하여 그 실린더 헤드(153)의 결합시 실린더 블록(151)과의 사이에 냉매흡입방(158) 및 냉매토출방(159)을 구획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100)는 그 구동시 전기모터의 원리를 이용하는 전동구동부(120)로부터 구동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구동열은 전동구동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블록(151)에 전달된 후 흡입밸브 시트(152), 밸브 플레이트(155), 가스켓(157)을 통해 실린더 헤드(153)에 전달된다.
상기 실린더 헤드(153)에까지 전달된 전동구동부(120)의 구동열은 실린더 헤드(153)의 냉매토출방(159)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냉매를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에 의해 토출냉매의 비체적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압축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전동구동부에서 발생된 열이 실린더 헤드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린더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방열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실린더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압축기 150' : 실린더 조립체
151 : 실린더 블록 151a : 실린더
152 : 흡입밸브 시트 153 : 실린더 헤드
155 : 밸브 플레이트 157 : 가스켓
200 : 방열장치 210 : 장착 플레이트
220 : 방열판 230 : 방열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는, 냉매가 압축되는 공간인 실린더가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실린더 블록의 일측에 장착되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실린더 헤드와 상기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린더 조립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플레이트와 실린더 헤드 사이에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기 실린더 조립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복수의 방열핀이 소정패턴으로 형성된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압축기의 구동시 전동구동부에서 발생되는 구동열이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실린더 헤드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됨에 따라, 실린더에서 압축된 후 토출되는 토출냉매가 상기 구동열에 의해 가열되어 비체적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압축기의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상기 실린더 헤드의 접촉면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고정되는 상기 실린더 헤드에 의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측으로 압착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은, 그 끝단부가 상기 실린더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압축기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100;도 1참조)의 실린더 조립체(150')는 실린더 블록(151)과, 실린더 헤드(153)를 포함하며, 실린더 블록(151)과 실린더 헤드(153) 사이에는 흡입밸브 시트(152)와, 밸브 플레이트(155)와, 가스켓(157) 및 방열장치(2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155)에는 냉매흡입공(155a)과, 냉매토출공(155b)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토출공(155b)을 통해 토출되는 냉매를 단속하는 토출밸브 조립체(156)가 설치된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153)는 그 내측에 형성된 격벽(153a;도 1참조)을 가지며, 그 격벽(153a)에 의해 실린더 블록(151)과 실린더 헤드(153)의 결합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냉매흡입공(155a)과 연결되는 냉매흡입방(158;도 1참조)과, 냉매토출공(155b)과 연결되는 냉매토출방(159;도 2참조)이 각각 구획형성된다.
상기 방열장치(200)는 압축기(100)의 구동시 전동구동부(120;도 1참조)에서 발생되는 구동열이 실린더 헤드(153)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열장치(200)는 플레이트 형상의 장착 플레이트(210)와, 그 장착 플레이트(210)의 테두리로부터 돌출형성된 방열판(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장착 플레이트(210)는 밸브 플레이트(155)와 실린더 헤드(153) 사이에 설치되며, 가스켓(157)이 밸브 플레이트(155)와 실린더 헤드(153)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가스켓(157)과 실린더 헤드(153)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210)는 상기 가스켓(157) 또는 밸브 플레이트(155)와 접촉되는 실린더 헤드(153)의 접촉면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 헤드(153)의 접촉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하면, 압축기(100)의 구동시 전동구동부(120)로부터 발생된 구동열이 밸브 플레이트(155)와 가스켓(157)을 통해 실린더 헤드(153)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 플레이트(210)는 상기 실린더 헤드(153)의 장착공(153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공(210a)을 가진다. 이에 의하면, 장착 플레이트(210)는 밸브 플레이트(155)와, 가스켓(157)과, 실린더 헤드(153)와 함께 체결부재(S)에 의해 실린더 블록(151)에 고정되며, 장착된 상태에서는 실린더 헤드(153)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155)측으로 압착된다.
상기 방열판(220)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210)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게 돌출형성되어 실린더 조립체(150')의 외측에 노출되며, 그 노출된 외주면상에는 복수의 방열핀(230)이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220)은 장착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장착 플레이트(210)의 열을 실린더 헤드(153)보다 쉽게 전달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밸브 플레이트(155)로부터 전달된 구동열이 장착 플레이트(210)에 전달되면, 상기 방열핀(230)은 그 장착 플레이트(21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방열핀(230)을 통해 실린더 조립체(150')의 외부로 열을 발산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열핀(230)을 통한 열의 발산 효과는 방열판(220)의 면적이 넓을수록 향상된다. 그러나, 방열장치(200)는 압축기(100)의 케이스(110) 내부에 형성된 일정 공간내에 설치되는 설치공간의 제약때문에, 실린더 조립체(150')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열판(220)의 돌출길이는 소정 길이이내로 형성되도록 제한되어야 한다. 이렇게, 설치길이의 제한을 받는 방열판(220)의 노출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의 방열판(220)은 그 끝단부가 실린더 조립체(15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향하도록 그 중앙부가 수직하게 절곡된다. 이에 의하면, 방열판(220)이 실린더 조립체(15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방열판(220)의 설치시 문제될 수 있는 설치공간의 부족함을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220)은 주위의 온도보다 비교적 높은 전동구동부(120)보다는 비교적 주위온도가 낮은 실린더 헤드(153)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방열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의 실린더 조립체(15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압축기(100)의 구동시 전동구동부(120)에서 발생된 구동열이 실린더 블록(151) 및 밸브 플레이트(155)등을 통해 실린더 헤드(153)로 전달되려 하지만, 장착 플레이트(210)에 의해 실린더 헤드(153)까지 전달되지 못한다. 이렇게 장착 플레이트(210)에 의해 차단된 구동열은 방열판(220)으로 전달되어 방열핀(230)을 통해 실린더 조립체(150') 외부로 발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실린더 조립체에 방열장치가 더 설치됨으로써 압축기의 구동시 전동구동부에서 발생되는 구동열이 실린더 헤드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헤드와 실린더 블록 사이에 구획형성되는 냉매토출방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냉매로의 열전달이 억제되어 토출냉매의 비체적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어, 결국, 압축기의 냉매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과 수정 및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냉매가 압축되는 공간인 실린더가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의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실린더 블록의 일측에 장착되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실린더 헤드와 상기 실린더 블록의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실린더 조립체에 설치되는 방열장치로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와 실린더 헤드 사이에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 및
    상기 장착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기 실린더 조립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복수의 방열핀이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상기 실린더 헤드의 접촉면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 블록에 고정되는 상기 실린더 헤드에 의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측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그 끝단부가 상기 실린더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KR2020020014755U 2002-05-15 2002-05-15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85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755U KR200285300Y1 (ko) 2002-05-15 2002-05-15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755U KR200285300Y1 (ko) 2002-05-15 2002-05-15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300Y1 true KR200285300Y1 (ko) 2002-08-13

Family

ID=7307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75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5300Y1 (ko) 2002-05-15 2002-05-15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00B1 (ko) * 2006-03-02 2012-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00B1 (ko) * 2006-03-02 2012-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축기의 밸브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8311B2 (ja) 電動圧縮機
KR101279091B1 (ko) 내부 단열을 갖춘 밀폐형 압축기
JP2021120542A (ja) 電動圧縮機
JP4369176B2 (ja) 無電極照明システムの冷却装置
KR20060081482A (ko) 리니어 압축기
KR20028530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장치
WO2016121382A1 (ja) 電動圧縮機および電子部品
KR100368843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장치
US20050281691A1 (en) Compressor
JP4219160B2 (ja) 電動圧縮機
CN220646139U (zh) 一种低噪音的压缩机的箱体结构
CN117662427A (zh) 一种散热效果好的空气压缩机
KR100996961B1 (ko) 공기압축기용 엔진
KR100480094B1 (ko) 듀얼형 리니어 압축기의 냉각장치
JP2009036042A (ja) 電動コンプレッサ
KR102191125B1 (ko) 방열 부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KR100273449B1 (ko) 리니어 압축기의 토출커버 방열구조_
KR20070022948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KR100199966B1 (ko) 방열핀이 형성된 실린더 헤드를 갖는 왕복동식 밀폐형 압축기
KR200354654Y1 (ko) 로터리 베인형 진공펌프 장치
JP2004324635A (ja) 密閉型圧縮機
KR200401343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냉각구조
KR101313068B1 (ko) 압축기용 밸브유닛
KR101437989B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336349Y1 (ko) 공기 압축기의 실린더 방열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5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5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