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5281Y1 -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81Y1
KR200285281Y1 KR2020020014545U KR20020014545U KR200285281Y1 KR 200285281 Y1 KR200285281 Y1 KR 200285281Y1 KR 2020020014545 U KR2020020014545 U KR 2020020014545U KR 20020014545 U KR20020014545 U KR 20020014545U KR 200285281 Y1 KR200285281 Y1 KR 200285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concrete
formwork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수
Original Assignee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4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81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벽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관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며 가로 방향으로 제1통공부가 형성된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의 제1통공부와 대응하는 제2통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가 고정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지지대와 보강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거푸집과 지지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며, 다양한 거푸집의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호환성이 향상된 장착구조를 제공하게 되고, 다양한 장착 상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Supporting structure for concrete wall}
본 고안은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합벽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대에 의하여 고정시, 거푸집과 지지대의 결합에 있어서 호환성을 제공하며 용이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건출물의 경우에는 지층에 철근이 배설된후, 콘크리트 바닥면을 구축한 다음, 거푸집을 상기 바닥면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세워서 시멘트를 충진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건물을 축조하게 된다.
상기 벽체의 타설은 맞벽 또는 합벽이라 불리우는 방식으로 축조되며, 맞벽이라 함은 굴삭된 지하 공간에서 거푸집을 양쪽으로 타설하여, 상기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합벽이란 굴삭된 지하 공간의 지층에 의하여 한쪽이 지지되며, 다른 한 쪽은 지지대에 의하여 고정되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을 말하며, 합벽 방식보다 공정이 단순하여 단기간에 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합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거푸집을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에 박혀 있는 H-빔(beam) 파일에 폼타이를 용접하여 와셔와 윙 너트를 이용한 거푸집 지지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콘크리트 벽에 폼타이가 묻혀 있는 상태이므로 시공 후에 완벽하게 방수 처리를 할 수 없게 되며, 거푸집을 지지해 주는 폼타이를 일일이 용접하여 부착해야 하고, 상기 거푸집에도 대응하는 구멍을 뚫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 삼각 트러스 형상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바닥에 앵커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제작원가가 고가이며 무엇보다 상기 거푸집과 상기 지지대의 결합시 상기 지지대에 맞는 거푸집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에 많은 압력이 가해질 경우,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에 사용되는 관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재료비의 증가와 함께, 운송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열거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서 호환성을 갖게 되며, 용이한 장착구조를 갖게 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관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증가된 강성을 갖게 되며, 여러 장착 상황에도 적용 가능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3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제4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제5실시예에 의한 안전발판브라켓을 포함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제6실시예에 의한 하부지지대를 포함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 제7실시예에 의한 측면지지대를 포함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 제8실시예에 의한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116 :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2. 합벽
3 : 체결공 5 : 거푸집
7 : 지면 9 : 보강파이프
11 : 보강재 11a, 29 : 개방부
11b, 31 : 사각관 11c, 32 : 고정편
13 : 제1통공부 15 : 제2통공부
17 : 수직지지대 19 : 제1조절베이스
21 : 수평지지대 23 : 제2조절베이스
25 : 경사지지대 27 : 보강부재
34 : 볼트 36, 60 : 와셔
38, 62 : 너트 40, 64 : 고정수단
42 : 앙카고정부 44, 100 : 매립앙카
46 : 연결너트 48 : 디비닥볼트
50 : 조임판 52 : 조임너트
54 : 보강파이프 56 : 핀체결공
58 : 핀볼트 61 : 웨지핀
66: 수직지지대 66a : 하측
66b : 측면 70 : 연결부재
72 : 가이드부 74 : 연결공
76 : 접합부 80 : 보강목재
82 : 안전발판브라켓 83 : 안전수평부재
84 : 안전경사부재 85 : 안전수직부재
86 : 하부지지대 88 : 상부지지부
90 : 베이스 92 : 하부지지부
93 : 수직지지부 94 : 연결부재
102 : 상측지지부 104 : 측면지지부
106 : 볼트홈 110 : 디비딕볼트
112 : 체결고정너트 115 : 측면지지대
120 : 지지각재 130 : 하부서포트부
132 : 지지판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합벽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관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며 가로 방향으로 제1통공부가 형성된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의 제1통공부와 대응하는 제2통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가 고정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지지대와 보강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 볼트와, 상기 볼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와셔와, 상기 와셔가 상기 볼트를 따라서 상기 보강재와 수직지지대에 각각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제2통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핀체결공이 위치하도록 설치된 핀볼트와, 상기 거푸집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과 상기 핀체결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고정되는 웨지핀과, 상기 웨지핀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된 핀볼트의 타단에 설치된 와셔와, 상기 와셔가 상기 핀볼트를 따라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접하여 고정되게 하는 너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와 상기 수직지지대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관 2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통공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호 고정편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는, 사각형상의 중공부를 갖는 사각바와, 상기 사각바에 걸려서 접하도록 절곡된 형상의 판재로서 상기 보강재의 제1통공부와 연통하여 제2통공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 상측에 고정되며 작업자의 발판이 되는 안전수평부재와, 상기 안전수평부재와 수직으로 고정되며 클램프가 측면에 장착된 안전수직부재와, 상기 안전수직부재와 상기 안전수평부재가 접하는 곳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직지지대 상측에 고정되는 안전경사부재로 구성된 안전발판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단에서 결합되며 측면은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과 결합되며 지면에 고정된 앙카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부지지부로 구성된 하부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합벽의 측면에 고정된 앙카고정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지지대의 하측과 체결된 상측지지부와, 상기 합벽의 측면에 고정된 측면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와 상기 측면지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측면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합벽의 측면에 고정된 앙카고정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상호 직각을 이루며 설치된 지지각재와, 상기 지지각재를 일단에 구비된 지지판에 의하여 고정시키며 타단의 지지판은 지층에 접하여 고정되는 하부서포트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거푸집과 지지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며, 다양한 거푸집의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호환성이 향상된 장착구조를 제공하게 되고, 다양한 장착 상태에도 적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1)는 합벽(2)을 만들기 위하여 양단부가 절곡되어 체결공(3)이 형성된 거푸집(5)이 지면(7)과 직각을 이루며 설치되고, 보강파이프(9)도 상기 지면(7)과 수직을 이루며 상기 거푸집(5)에 접합되어 상기 거푸집(5)의 강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파이프(9)에는 보강재(11)가 수직을 이루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하여 접합 고정된다.
상기 보강재(11)는 일측에 개방부(11a)가 형성된 사각관(11b)이 한쌍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가 상호 마주보게 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통공부(13)를 형성하도록 한 뒤에 소정 위치에 고정편(11c)으로 상호 고정시킨다.
상기 보강재(11)의 제1통공부(13)와 대응하도록 제2통공부(15)가 형성된 수직지지대(17)가 상기 보강재(11)와 수직으로 접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수직지지대(17) 하단에는 제1조절베이스(19)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7) 하측과 일단이 고정된 수평지지대(21)의 타단에는 제2베이스(23)가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1)의 미세 위치 조정을 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대(21)에 일단이 고정되는 경사지지대(25)가 상기 수직지지대(17)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보강부재(27)가 상기 지지대(17,21,25)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지지대(25) 일측에 원형 파이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클램프(28)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7)와 경사지지대(25)와 수평지지대(21)에는 상기 보강재(11)와 마찬가지로 일측에 개방부(29)가 형성된 사각관(31)이 한쌍 구비되나, 상기 개방부(29)가 상호 맞은편을 보도록 하여서, 일정 간격 이격시킨 후에, 소정 위치에 고정편(32)으로 상호 고정시킨다.
상기 수직지지대(17)에는 상기 보강재(11)의 제1통공부(13)와 대응하도록 상기 한쌍의 사각관(31) 사이에 제2통공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7)와상기 보강재(11)를 상호 결합하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11)의 제1통공부(13)와 상기 수직지지대(17)의 제2통공부(15)를 관통하여 볼트(3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11)와 상기 수직지지대(17)에 돌출되어 장착된 볼트(34)에 와셔(36)를 끼우고 너트(38)로 상호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볼트(34)와 와셔(36)와 너트(38)는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40)이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앙카고정부(42)는 지면(7)에 일정 각도 절곡되어 매설된 매립앙카(44)와 일단에 연결된 연결너트(46)와 이에 연장 연결된 디비딕볼트(48)와 이를 상기 수평지지대(21)에 고정하기 위한 조임판(50)과 조임너트(52)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푸집(5)의 체결공(3)을 이용한 체결방법도 사용하게 되며, 이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5)의 형상이 단일 형상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작은 단위로 구분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형상을 갖는 거푸집(5)을 당업계에서는 유로폼이라 한다.
이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5)에 보강파이프(54)가 접합되어 강성을 증가시켜주며, 상기 수직지지대(17)의 제2통공부(15)를 통과하여 일단에 구비된 핀체결공(56)이 상기 거푸집(5)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3)과 연통하도록 핀볼트(58)를 설치한다.
상기 체결공(3)과 핀체결공(56)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웨지핀(61)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공(3)과 핀볼트(58)를 상호 결합하는 기술 사상안에서 다른 핀도 본고안 실시예로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지지대(17)의 외측으로 돌출된 핀볼트(58)에는 와셔(60)와 너트(62)가 차례로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5)과 수직지지대(17)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며,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64)이 된다.
본 고안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66)에 한개의 사각관을 사용하게 되며, 이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70)가 사용된다.
상기 연결부재(70)는 일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가이드부(72)와 연결공(74)이 형성된 접합부(76)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지지대(66)에 장착시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 형상의 수직지지대(66)의 하측(66a)과 측면(66b) 일부를 감싼 상태로 상기 보강재(11)의 제1통공부(13)와 연결공(74)이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강재(11)는 도1에 도시된 것과 동일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40)인 볼트(34)가 상기 보강재(11)의 제1통공부와 상기 연결공(74)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한 후에 와셔(36)가 상기 볼트(34) 양측에 끼워지고 이를 상기 보강재(11)와 연결부재(70)에 각각 접하여 고정되도록 너트(38)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푸집(5)에 유로폼을 사용할 경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66)에 연결부재(70)를 안착시킨 후 연결공(74)을 통하여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64)인 핀볼트(58)가 관통하여 일단에 구비된 핀체결공(56)과 상기 거푸집(5)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3)이 연통된 위치에 놓이게 한후에 웨지핀(61)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게 된다.
상기 거푸집(5)에 유로폼이 사용될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의 강성 증가를 위하여 보강파이프(54)가 사용되기도 하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목재(80)가 사용되기도 한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7) 상단부에 안전발판 브라켓(82)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7) 상측에 안전수평부재(83)와 안전경사부재(84)가 고정되며, 상기 안전수평부재(83)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안전수평부재(83)와 안전경사부재(84)에 의하여 수직으로 지지되는 안전수직부재(85)는 일측에 클램프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콘크리트 합벽(2)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 상기 거푸집(5)의 높이 역시 높아지게 되며, 이 경우,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86)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대(86)는 수평지지대(21)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88)와 지층에 접하는 베이스(90)가 하측에 구비된 하부지지부(92)와 상기 거푸집(5)의 보강재와 접하여 고정되는 수직지지부(93)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94)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지지부(88)와 하부지지부(92)와 수직지지부(93)의 형상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7)와 동일하게 일측에 개방부(11a)가 형성된 사각관(11b)이 일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나, 이는 실시예에 의한 것일 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의 단일 사용등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지지대(86)에는 앙카고정부(42)가 결합되어 상기 하부지지부(92)를 포함한 하부지지대(86)를 지면(7)에 고정하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7)와 상기 하부지지대(86)의 일측에 구비된 수직지지부(93)에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40,64)에 의하여 상기 거푸집(5)과 상호 결합된다.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의하면, 합벽(2)이 상기 하부지지대(86)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높이 만들어지거나, 교량등의 상부를 만들 경우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고정부에서 매립앙카(100)가 합벽(2)에 삽입 고정되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측인 수평지지대(21)를 상기 합벽(2)에 고정시키게 한다.
상기 수평지지대 하측에는 볼트 체결되는 상측지지부(102)가 설치되며, 상기 상측지지부(102)와 직각을 이루며 측면지지부(104)가 상기 합벽(2)에 고정된다.
상기 측면지지부(104)와 대응하는 합벽(2)에는 볼트홈(106)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홈(106)과 측면지지부(104) 사이에는 사각목재인 비계목(108)이 설치되고 봉에 나사홈이 형성된 디비딕볼트(110)가 상기 측면지지부(104)를 거쳐 상기 볼트홈(106)에 장착되며, 체결고정 너트(112)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상측지지부(102)와 측면지지부(104) 사이에는 지지부재(114)가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되어 측면지지대(115)를 구성하며,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116)의 강성을 증가시켜 준다.
그리고,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 환경을 위하여, 상기 수평지지대(21) 상측에판재 형상의 작업발판(109)이 설치되며,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안전가이드(111)가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지지부(104) 하단에도 안전발판브라켓(82)이 추가로 설치된다.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의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실시예와 동일하게 합벽에 고정된 매립앙카(100)로 구성된 앙카고정부가 수평지지대(21)를 합벽(2)의 측면에 고정시킨다.
상기 수평지지대(21)의 하측에는 지지각재(120)가 상호 직각을 이루며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각재(120)의 하측에는 하부서포트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서포트부(130)의 양단에는 사각판재 형상의 지지판(132)이 구비되어서, 일단은 상기 지지각재(120)에 타단은 지면에 접하여 고정되며, 하측에 구비된 높이조절잭에 의하여 상기 하부서포트부(130)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게 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높이조절잭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장착구조 및 동작상태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5)에 보강파이프(9)를 용접에 의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보강파이프(9)와 직각을 이루도록 보강재(11)를 상기 보강파이프(9)에 고정한다.
상기 보강재(11)가 고정된 거푸집(5)을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17)와 수평지지대(21)와 경사지지대(25)가 삼각 트러스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수평지지대(2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고정부(42)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앙카고정부(42)는 공지된 기술로서, 지면(7)에 일부가 매설되는 매립앙카(44)의 돌출된 일단에 연결너트(46)가 체결되며, 상기 연결너트(46) 타측에는 디비딕볼트(48)가 체결되고 상기 디비딕볼트(48) 일단에 삽입되는 조임판(50)을 조임너트(52)에 의하여 조이게 되어, 상기 수평지지대(21)가 지면(7)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부재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지지대(25) 일측에 설치된 클램프(28)에 파이프가 결합되어 장착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7)와 상기 보강재(11)의 결합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가 적용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7)와 거푸집(5)의 형상에 따라 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17)의 형상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방부(11a)가 형성된 사각관(11b)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굽힘응력에 대한 강성이 증가하게 되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40,64)이 적용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사각바 형상일 경우에는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는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 의하여 연결부재(70)를 사용한 고정수단(40,64)이 적용된다.
본 고안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4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4)가 상기 수직지지대(17)에 형성된 제2통공부와 보강재(11)에 형성된 제1통공부(13)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양단에 와셔(36)가 끼워지고 너트(38)를 돌려 고정시키는 작업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대(17)와 보강재(11)가 상호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64)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5)에 있어서, 비교적 작은 단위 면적을 가지는 유로폼을 채용할 경우, 수직지지대(17)에 형성된 제2통공부를 통하여 거푸집(5)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3)과 연통하는 위치에 핀체결공(56)이 위치하도록 핀볼트(5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3)과 핀체결공(56)에 웨지핀(61)을 관통시켜 상호 고정되게 하며, 수직지지대(17) 외측으로 나온 핀볼트(58)에는 와셔(60)와 너트(62)를 장착시켜 상기 수직지지대(17)와 상기 거푸집(5)이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지지대(17)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관 형상을 가지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경우, 도8에 도시된 연결부재(70)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66)에 걸쳐서 장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부(72)는 수직지지대의 측면(66b) 일부에 걸치고, 접합부(76)는 하측(66a)에 접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공(74)을 통하여 볼트(34)를 삽입시켜 보강재(11)의 제1통공부를 통하여 볼트(34)가 위치하도록 한 후에, 각 양단에 와셔(36)를 끼우고 너트(38)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폼이 거푸집(5)으로 채용되며, 수직지지대(66)가 단일개의 사각관이 사용될 경우,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70)가 수직지지대(66)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공(74)을 통하여 핀볼트(58)가 삽입되어 일단에 구비된 핀체결공(56)과 거푸집 체결공(3)이 연통되도록 위치하게 한 후, 웨지핀(61)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핀볼트(58)의 타단은 와셔(60)와 너트(62)에 의하여 고정되며, 제3, 제4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70)의 채용에 의하여 관 부재를 두개 구비할 필요 없이 한개만 구비하여도 중공부 역할을 하게 되는 연결공(74)을 갖게 되어, 용이한 고정구조를 제공하게 되며, 재료비의 절감과 제품의 경량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제1,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조는 비교적 압력을 많이 받는 곳에 사용하며, 제3, 제4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조는 비교적 압력을 적게 받으며, 경량화를 요하는 곳에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수직지지대(17) 상측에 안전발판브라켓(82)이 고정되는 구조로서, 안전수평부재(83)와 안전경사부재(84)가 수직지지대(17) 상측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안전수평부재(83)에 작업자가 올라가, 상기 콘크리트 합벽(2)을 만들기 위한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안전수직부재(85)는 작업자의 추락등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안전발판브라켓(82)의 채용에 의하여, 별도의 작업브라켓을 만드는 것에 비하여 재료비의 절감과 함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의하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에 합벽(2)을 높이 올려야 할 경우, 상기 거푸집(5)의 높이도 높아지게 되며, 이 경우,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하부지지대(86)를 구비하여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지지대(86)는 상부지지부(88)와 하부지지부(92)와 수직지지부(93)로 이루어지며, 연결부재(94)에 의하여 상호 고정된다.
상기 하부지지부(92)는 앙카고정부(42)에 의하여 지면(7)에 고정되며, 베이스(90)에 의하여 미세 높이 조절을 하게 되며, 수직지지부(93)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보강재(11)에 고정된 상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부(88)는 수평지지대(21)와 볼트 조립되어 상기 수평지지대(21)를 지지하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대(17)와 수직지지부(93)의 형상에 따라서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5)의 형상에 따라서 제2실시예와 제4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이 상기 거푸집(5)과 상기 수직지지대(17)와 수직지지부(93)의 고정수단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의하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높은 위치에 콘크리트 합벽(2)을 축조할 경우, 상측지지부(102)와 측면지지부(104)와 지지부재(114)로 구성된 측면지지대(115)가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지지부(104)는 합벽에 형성된 볼트홈(106)에 나사산이 형성된 디비딕볼트(110)가 체결되며 상기 측면지지부(104)와 상기 합벽(2) 사이에는 강성을 높여주기 위한 비계목(108)이 설치되고, 상기 측면지지부(104)에 돌출된 디비딕볼트(110)에 체결고정너트(112)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지지부(104)가 상기 합벽(2)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상측지지부(102)는 볼트 체결에 의하여 상기 상평지지대(21)를 지지하게 되며, 매립앙카(100)가 합벽(2)에 고정되는 앙카고정부(42)도 상기 수평지지대(21)를 합벽(2)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7) 상단과, 상기 측면지지부(104) 하단에 설치된 안전발판브라켓(82)과 상기 수평지지대(21) 상측에 설치된 작업발판(109)과 안전가이드 (111)에 의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 확보와 함께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의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비교적 근접한 상측부에 합벽(2)을 축조할 경우, 상기 수평지지대(21)의 하부에는 사각바 형상의 지지각재(120)가 서로 직각을 이루며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기 하부서포트부(130)에 의하여 상기 지지각재(120)가 지면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서포트부(130)의 구성은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지지판(132)과, 미세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잭과 상호 연결을 위한 연결봉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7실시예에 의한 것보다, 시공작업이 더 간편해지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에 의하면, 거푸집의 종류에 따라서 장착할 수 있으며, 비교적 단순한 작업만으로도 체결이 이루어 지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게 되어 작업공정의 단축 및 용이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의 사용에 의하여 단일개의 사각관에도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고정수단을 적용하게 되어 호환성이 증가되며, 제품이 경량화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전발판브라켓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별도의 장비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위치에 합벽을 축조할 경우 이에 맞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를 제공하게 되어, 다양한 작업 환경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향상된 작업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합벽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관이 결합되어 형성된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며 가로 방향으로 제1통공부가 형성된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의 제1통공부와 대응하는 제2통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가 고정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직지지대와 보강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 볼트와,
    상기 볼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와셔와,
    상기 와셔가 상기 볼트를 따라서 상기 보강재와 수직지지대에 각각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직지지대의 제2통공부를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핀체결공이 위치하도록 설치된 핀볼트와,
    상기 거푸집 측면에 구비된 체결공과 상기 핀체결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고정되는 웨지핀과,
    상기 웨지핀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된 핀볼트의 타단에 설치된 와셔와,
    상기 와셔가 상기 핀볼트를 따라서 상기 수직지지대에 접하여 고정되게 하는 너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와 상기 수직지지대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관 2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통공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호 고정편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사각형상의 중공부를 갖는 사각바와,
    상기 사각바에 걸려서 접하도록 절곡된 형상의 판재로서 상기 보강재의 제1통공부와 연통하여 제2통공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 상측에 고정되며 작업자의 발판이 되는 안전수평부재와,
    상기 안전수평부재와 수직으로 고정되며 클램프가 측면에 장착된 안전수직부재와,
    상기 안전수직부재와 상기 안전수평부재가 접하는 곳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수직지지대 상측에 고정되는 안전경사부재로 구성된 안전발판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단에서 결합되며 측면은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과 결합되며 지면에 고정된 앙카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부지지부로 구성된 하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벽의 측면에 고정된 앙카고정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지지대의 하측과 체결된 상측지지부와,
    상기 합벽의 측면에 고정된 측면 고정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상측지지부와 상기 측면지지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측면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벽의 측면에 고정된 앙카고정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상호 직각을 이루며 설치된 지지각재와,
    상기 지지각재를 일단에 구비된 지지판에 의하여 고정시키며 타단의 지지판은 지층에 접하여 고정되는 하부서포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2020020014545U 2002-05-13 2002-05-13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200285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545U KR200285281Y1 (ko) 2002-05-13 2002-05-13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545U KR200285281Y1 (ko) 2002-05-13 2002-05-13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81Y1 true KR200285281Y1 (ko) 2002-08-13

Family

ID=7305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545U KR200285281Y1 (ko) 2002-05-13 2002-05-13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441B1 (ko) * 2015-03-23 2016-05-10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 고정장치
KR20220112054A (ko) 2021-02-03 2022-08-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접속구가 구비된 벽체 거푸집 수직도 조절용 파이프 서포트 조립체
KR20230026787A (ko) *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원격시공용 거더의 전도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441B1 (ko) * 2015-03-23 2016-05-10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 고정장치
KR20220112054A (ko) 2021-02-03 2022-08-10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접속구가 구비된 벽체 거푸집 수직도 조절용 파이프 서포트 조립체
KR20230026787A (ko) * 2021-08-18 2023-02-27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원격시공용 거더의 전도방지장치
KR102612270B1 (ko) 2021-08-18 2023-12-11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원격시공용 거더의 전도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38735A1 (en) Connector system for securing an end portion of a steel structural member to a vertical cast concrete member
US20110107711A1 (en) Connector system for securing an end portion of a steel structural member to a vertical cast concrete member
JP5020163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US20110107716A1 (en) Connector system for securing an end portion of a steel structural member to a vertical cast concrete member
KR101713863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711614B1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1995496B1 (ko)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0770023B1 (ko) 전단머리를 이용한 콘크리트충전 강관기둥과 철근콘크리트무량판의 접합구조
KR102252648B1 (ko) 철골구조물용 빔의 조립구조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180122152A (ko) 플레이트를 구비한 상하 pc기둥 간 강접합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101766810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766809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1766808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101766811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0383309Y1 (ko) 슬러리 벽이 적용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구조체
KR200285282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AU2016203317A1 (en) Ground Engaging Construction Support
KR200298098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190123408A (ko) 합벽지지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5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5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513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7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