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4241Y1 - 케이블 절단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241Y1
KR200284241Y1 KR2020020007105U KR20020007105U KR200284241Y1 KR 200284241 Y1 KR200284241 Y1 KR 200284241Y1 KR 2020020007105 U KR2020020007105 U KR 2020020007105U KR 20020007105 U KR20020007105 U KR 20020007105U KR 200284241 Y1 KR200284241 Y1 KR 200284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able
cylinder body
shears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석
Original Assignee
산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일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산일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7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241Y1/ko

Links

Landscapes

  • Shearing Machin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부측과 하부측에 절단가위(32)(34)를 각각의 힌지(36)(3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유압실린더 본체(10)에서 인출되는 피스톤 로드(12)의 선단에는 상기 상,하부 절단가위(32)(34)를 회동시키는 가압구(40)를 구비하여 솔레노이드밸브(18)에 의해 절환되는 작동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 본체(10)에서 피스톤 로드(12)가 인출되는 상태에서는 가압구(40)의 상하 경사면(42)(44)을 타고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후단에 구비된 베어링(52)(54)이 구름접촉되면서 상,하부 절단가위(32)(34)를 절단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블을 절단시키고, 피스톤 로드(12)가 유압실린더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후에는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후단 외측에 탄지되어 있는 토션스프링(56)(58)에 의해 상,하부 절단가위(32)(34)를 본래의 위치로 회전복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절단날(32a)(34a)에 동일한 절단력이 작용되어 절단날(32a)(34a)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하부 절단가위(32)(34)가 각각의 힌지(36)(38)에 의해 회동되기 때문에 보다 큰 절단력으로 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절단기 {Cable cutter}
본 고안은 전화케이블, 광축케이블 및 전류가 흐르는 도선케이블 등을 절단하기 위한 케이블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절단가위를 각각의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유압에 의해 절단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유압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한 케이블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종류는 피복된 구리선을 일정량 모아서 다시 피복시킨 전화케이블과, 전화케이블의 대체품으로 최근 각광받는 광섬유가 피복된 광케이블, 또는 다수의 구리선을 꼬아서 외부를 수지로 감싸 제조한 도선케이블 등이 있다.
이러한 케이블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게 되는데 케이블의 두께는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어 절단 작업에 따른 상당한 크기의 절단력이 요구되어 통상적으로 유압을 이용한 케이블 절단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을 이용한 케이블 절단기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고정절단날에 대하여 유압으로 직선운동되는 가동절단날이 케이블을 절단하는 케이블 절단기와, 두 개의 절단가위를 힌지를 중심으로 유압에 의해 회전시켜 케이블을 절단하는 케이블 절단기가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고정절단날이 고정된 상태에서 가동절단날 부분만이 직선왕복운동을 하여 절단을 실시하기 때문에 가동절단날에서 받는 충격이 커져 절단날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양쪽 절단가위가 회전되면서 절삭되기 때문에 케이블의 강성이 큰 경우에는 절단가위의 회전중심부인 힌지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압에 의해 회동되는 한 쌍의 절단가위에 동일한 절단력을 케이블에 작용하면서 절단을 실시하도록 하여 일방의 절단날에 충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케이블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절단가위를 각각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절단가위의 결합부위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각각의 절단가위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절단력을 극대화시킨 케이블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을 작동시키는 조작스위치와 인접된 위치에 파지부를 구비하여 절단기를 취급하기에 편리하도록 한 케이블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절단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절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2는 상,하부 절단가위가 벌어져 있는 상태도.
도 3은 상,하부 절단가위가 절단방향으로 회동되어 오무려진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압실린더 본체 12 ; 피스톤 로드
14,16 ; 유압라인 18 ; 솔레노이드밸브
20 ; 조작스위치 22,24 ; 고정브라켓
26 ; 지지대 28,30 ; 스토퍼
32,34 ; 상,하부 절단가위 36,38 ; 상,하부 힌지
40 ; 가압구 42,44 ; 상하 경사면
52,54 ; 베어링 56,58 ; 토션스프링
60 ; 파지봉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스톤 로드가 인입출가능하게 내장된 유압실린더본체와; 상기 유압실린더본체측에 작동유를 절환시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는 조작스위치와; 상기 유압실린더본체의 전방에 상호 분리된 상태로 각각의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을 절단하는 한 쌍의 절단가위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스톤 로드의 인출시 상기 한 쌍의 절단가위를 각각의 힌지를 중심으로 절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구와; 상기 한 쌍의 절단가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구의 힘이 제거되면 절단가위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구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하 경사면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절단가위의 단부에는 상기 상하 경사면에서 각각 구름접촉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조작스위치의 후방에 파지봉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절단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절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는 피스톤 로드(12)가 내장되어 유압에 의해 외부로 왕복운동되는 유압실린더 본체(10)의 전방으로 한 쌍의 좌,우 고정브라켓(22)(24)이 설치되고, 좌,우 고정브라켓(22)(24)의 단부에는 상,하부 절단가위(32)(34)가 상부 힌지(36)와 하부 힌지(38)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 고정브라켓(22)(24) 중 일측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10)와 유압라인(14)(16)으로 연결되어 유압실린더 본체(10)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방향을 절환하는 솔레노이드밸브(1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브라켓(22)(24)의 상면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8)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스위치(20)가 지지대(26)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는 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오일펌프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10)에서 인출되는 피스톤 로드(12)의 단부에는 종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상하 경사면(42)(44)을 갖는 가압구(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후단에는 상기 가압구의 상,하 경사면(42)(44)에 각각 구름접촉되는 베어링(52)(5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후단부 외측에는 상기 좌우 고정브라켓(22)(24)의 내측면 상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8)(30)에 일단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상,하부 절단가위(32)(34)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상,하부 토션스프링(56)(5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 본체(10)의 상면에 조작스위치(20)가 구비된 지지대(26)에는 파지봉(60)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작업자가 절단기를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케이블 절단기에 의한 케이블의 절단동작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유압실린더 본체(10)의 파지봉(6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절단날(32a)(34a) 사이에 케이블(미도시)을 위치시킨 후에 조작스위치(20)를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밸브(18)가 작동되어 유압라인(14)을 통해 피스톤 로드(12)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작동유의 방향이 절환되어 유압실린더 본체(10) 내부에서 유압이 발생된다.
발생된 유압에 의해 유압실린더 본체(10)에서 피스톤 로드(12)가 인출되면, 피스톤 로드(12)의 단부에 구비된 가압구(40)가 전방으로 진행되어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단부에 구비된 베어링(52)(54)이 가압구의 상,하 경사면(42)(44)에 각각 구름접촉되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절단가위(32)는 상부힌지(36)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부 절단가위(34)는 하부힌지(38)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절단날(32a)(34a)이 오무려지면서 케이블이 절단된다.
이때, 상,하부 절단가위(32)(34)는 각각의 힌지(36)(38)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지렛대의 원리와 같은 작용으로 케이블에 보다 큰 절단력을 작용하며, 상,하부 절단가위(32)(34)는 서로 하나의 힌지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각각의 힌지(36)(38)는 케이블의 강성에 의한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하부 절단가위(32)(34)는 가압구(40)가 진행되는 방향으로 상하 경사면(42)(44)에 의해 힘을 받기 때문에 보다 큰 절단력을 발휘하게 된다.
케이블 절단 후에 다시 조작스위치(20)를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밸브(18)는 유압라인(16)을 통해 피스톤 로드(12)가 유압실린더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작동유를 절환시킴으로써 피스톤 로드(12)가 인입되면서 가압구(40)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외면을 탄력지지하고 있는 상,하부 토션스프링(56)(58)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부 절단가위(32)(34)의 후단에 구비된 베어링(52)(54)이 가압구의 상,하 경사면(42)(44)을 타고 내려오면서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절단가위(32)는 상부 힌지(3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하부 절단가위(34)는 하부 힌지(38)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하부 절단가위는 절단날(32a)(34a)이 벌어지는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절단기는 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상하측에 각각의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절단가위를 구비하여 유압에 의해 절단가위를 회동시켜 케이블을 절단하도록 하고, 유압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절단가위가 회동되어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상하부 절단가위에 동일한 절단력이 작용됨으로써 절단날의 손상을 줄일 수 있고, 보다 큰 절단력으로 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피스톤 로드가 인입출가능하게 내장된 유압실린더본체와;
    상기 유압실린더본체의 전방에 상호 분리된 상태로 각각의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을 절단하는 한 쌍의 절단가위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어 피스톤 로드의 인출시 상기 한 쌍의 절단가위를 각각의 힌지를 중심으로 절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구와;
    상기 한 쌍의 절단가위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구의 힘이 제거되면 절단가위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케이블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는 선단으로 폭이 좁아지는 상하 경사면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절단가위의 단부에는 상기 상하 경사면에서 각각 구름접촉되는 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절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조작스위치의 후방에 파지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절단기.
KR2020020007105U 2002-03-11 2002-03-11 케이블 절단기 KR200284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05U KR200284241Y1 (ko) 2002-03-11 2002-03-11 케이블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105U KR200284241Y1 (ko) 2002-03-11 2002-03-11 케이블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241Y1 true KR200284241Y1 (ko) 2002-08-10

Family

ID=7311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105U KR200284241Y1 (ko) 2002-03-11 2002-03-11 케이블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2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405B1 (ko) * 2018-10-04 2019-04-22 오택상 절단된 케이블을 즉시 파지하는 케이블 절단기
CN111823298A (zh) * 2020-06-10 2020-10-27 无锡双益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口罩机耳带剪刀
CN116352162A (zh) * 2023-06-02 2023-06-30 长垣方元橡塑有限公司 一种气动加压剪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405B1 (ko) * 2018-10-04 2019-04-22 오택상 절단된 케이블을 즉시 파지하는 케이블 절단기
CN111823298A (zh) * 2020-06-10 2020-10-27 无锡双益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口罩机耳带剪刀
CN116352162A (zh) * 2023-06-02 2023-06-30 长垣方元橡塑有限公司 一种气动加压剪刀
CN116352162B (zh) * 2023-06-02 2023-08-11 长垣方元橡塑有限公司 一种气动加压剪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0480B (zh) 用于加工光波导体的工具
EP2315649B1 (de) Elektrisches kleingerät zum entfernen von haaren
EP0751260B1 (fr) Dispositif de cisaillement, notamment pour la coupe de métaux ou de béton
CN101653948B (zh) 切割工具
CN106169719B (zh) 剥线钳
KR200284241Y1 (ko) 케이블 절단기
JP2011223875A (ja) 電線中間部の皮剥ぎ工具
US6311581B1 (en) Automatic optical fiber stripping machine with stripping length control means
GB2083400A (en) A hand tool for removing insulation from the end of cables
EP1932162B1 (de) Mechanischer schaltkontakt
KR101971405B1 (ko) 절단된 케이블을 즉시 파지하는 케이블 절단기
AU706709B2 (en) Wire stripper
EP1236255B1 (en) Wire stripper
CN1480303A (zh) 大剪刀
CN1171103C (zh) 用于断开至少一根光导纤维的装置
EP2371494B1 (en) Manually operated cable cutting tool
US3964350A (en) Cable stripper
US6220119B1 (en) Wire stripper for sheathed electrical cables
EP1125687B1 (fr) Ecrou de serrage et de blocage d'un outil, tel qu'un disque d'une machine d'usinage sur l'arbre de ladite machine
CN212085422U (zh) 带电装换电能表辅助夹线工具
KR20050033893A (ko) 부스바 트위스팅 머신
CN215299989U (zh) 一种剥线钳
KR200336820Y1 (ko) 유리절단기
CN206541945U (zh) 一种10kV线路带电作业的引线夹
CN100474722C (zh) 具有绝缘层剥除装置的钳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3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