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1931Y1 -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931Y1
KR200281931Y1 KR2020020011477U KR20020011477U KR200281931Y1 KR 200281931 Y1 KR200281931 Y1 KR 200281931Y1 KR 2020020011477 U KR2020020011477 U KR 2020020011477U KR 20020011477 U KR20020011477 U KR 20020011477U KR 200281931 Y1 KR200281931 Y1 KR 200281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astened
fixed
horizontal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일
Original Assignee
오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일 filed Critical 오승일
Priority to KR2020020011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93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 내경에는 주름관이 체결 고정되고, 타측 내경에는 스프링쿨러 헤드가 체결 고정된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원형의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편의 끼움공과 연통되게 삽입공이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형의 삽입부와, 상기 밀착편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고정수단으로써 체결되는 수평장공이 형성된 수평편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 헤드가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고정브라켓과 고정수단으로써 천정에 매달이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높이조절 및 좌우이동을 할 수 있어 위치 설정이 용이하여 좁은 공간에서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또한 완료된 다음에도 재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FIXING BRACKET FOR SPRINGKLER HEAD}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쿨러 헤드가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고정브라켓과 고정수단으로써 천정에 매달이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높이조절 및 좌우이동을 할 수 있어 위치 설정이 용이하게 되어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또한 완료된 다음에도 재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쿨러 헤드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재는 천정 내부에서 각종배선을 취부하기 위하여 구비된 다수의 사각파이프 외경에 삽입 고정되는 브라켓으로써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브라켓은 상기한 사각파이프 외경에 삽입 고정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쿨러 헤드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재 외경이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쿨러용 주름관(200)은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져 그 일측이 주배관(100)의 티형 연결구(101)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은 스프링쿨러 헤드(300)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재(40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재(4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그 일측 내경에는 주름관(200)의 타측이 미도시된 체결수단으로써 체결 고정되고, 타측내경에는 스프링쿨러 헤드(300)가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부재(400)는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브라켓(500)으로써 천정 프레임(120)에 고정되어 내부에 각종 배선이 내장되는 사각지지 프레임(130)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500)은 박판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측 영역에 사각지지 프레임(130)의 외경이 삽입되는 삽입공(510)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타측 영역에는 대응되게 나사공(520)이 형성된 한쌍의 고정편(530)(531)과, 고정편(530)(531)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편(5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편(530)(531)의 타측 영역을 양내측으로 맞닿도록 만곡지게 접어 내부에 원통형의 결합부재(400) 외경이 삽입되도록 만곡삽입부(533)가 형성되고, 나사공(520)이 상호 맞닿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편(530)(531)의 나사공(520)을 통하여 나비볼트(600)를 체결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4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스프링쿨러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진 주름관(200)의 그 일측을 미도시된 체결수단으로써 천정에 배관된 주배관(100)의 티형 연결구(101)에 체결 고정시킨 다음, 타측을 원통형의 일측 내경에 결합부재(400)에 체결수단으로써 각각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00)의 타측 내경을 통하여 스프링쿨러 헤드(300)를 체결 고정시킨 다음, 결합부재(400) 외경에 마감편(540)으로써 연결된고정편(530)(531) 타측 내부의 만곡삽입부(533)를 삽입시킨 후, 고정편(530)(531) 타측의 나사공(520)을 통하여 나비너트(600)를 체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브라켓(500) 내부의 만곡삽입부(533)에 삽입된 결합부재(400)가 체결 고정된다.
그 다음으로는 브라켓(500)의 고정편(530)(531)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510)을 통하여 천정 프레임(120)에 고정되고 각종 배선이 내장되는 사각지지 프레임(130) 외경에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브라켓(500)이 사각지지 프레임(130) 외경에 고정되어 스프링쿨러 헤드(300)가 삽입된 결합부재(40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프링쿨러 헤드 고정용 결합부재는 각종 배선 등이 내장되도록 건물의 천정에 배관된 사각지지 프레임 외경에 삽입되는 브라켓으로써 고정됨으로써, 즉 천정에 배관된 사각지지 프레임에 브라켓을 삽입시켜 스프링쿨러 헤드가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천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또한 천정에 배관된 사각지지 프레임 외경에 삽입됨으로써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따른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주름관 30 : 스프링쿨러 헤드
40 : 결합부재 50 : 브라켓
51 : 끼움공 52 : 밀착편
53 : 삽입공 54 : 나사공
55 : 삽입부 57 : 수직편
58 : 수평장공 59 : 수평편
60 : 보강돌기 70 : 체결부재
80 : 앙카볼트 81 : 천정
82 : 체결너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일측 내경에는 주름관이 체결 고정되고, 타측 내경에는 스프링쿨러 헤드가 체결 고정된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원형의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편의 끼움공과 연통되게 삽입공이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형의 삽입부와, 상기 밀착편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고정수단으로써 체결되는 수평장공이 형성된 수평편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에 따른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쿨러용 주름관(20)은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져 그 일측이 주배관(10)의 티형 연결구(11)에 체결 고정되고, 타측은 스프링쿨러 헤드(30)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재(40)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재(40)는 원통형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제작되어 그 일측 내경에는 주름관(20)의 타측이 미도시된 체결수단으로써 체결 고정되고, 타측 내경에는 스프링쿨러 헤드(30)가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결합부재(40)는 브라켓(50)에 그 외경이 삽입되고, 브라켓(50)은 고정수단으로써 천정에 매달려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50)은 결합부재(40) 외경이 삽입되는 끼움공(51)이 형성된 원형의 밀착편(52)과, 밀착편(52)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밀착편(52)의 끼움공(51)과 연통되게 삽입공(53)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사공(54)이 형성된 원통형의 삽입부(55)와, 밀착편(52)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편(57)과, 수직편(57)의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수평장공(58)이 형성된 수평편(59)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삽입부(55)의 나사공(54)에 체결부재(70)로써 체결하여 결합부재(4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70)는 작업자가 손쉽게 체결력을 유지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나비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라켓(50)의 밀착편(52)의 끼움공(51)과 삽입부(55)의 삽입공(53)을 통하여 삽입되는 결합부재(4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브라켓(50)의 밀착편(52)과 수직편(57) 및 수평편(59) 일측면으로는 보강돌기(60)가 연장 형성되어 자체 강도를 보강시키게 된다.
또한, 밀착편(52)과 수직편(57) 사이와 수직편(57)과 수평편(59) 사이에는 보강리브(62)가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브라켓(50)의 수평편(59)에 관통된 수평장공(58)을 통하여 삽입되고,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단부가 천정(8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80)와, 앙카볼트(80)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8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프링쿨러가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자체가 플렉시블하게 이루어진 주름관(20)의 일측은 미도시된 체결수단으로써 천정에 배관된 주배관(10)의 티형 연결구(11)에 체결 고정시킨 다음, 타측은 일측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원통형의 결합부재(40) 일측 내경에 체결수단으로써 각각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0)의 외경을 브라켓(50)의 밀착편(52)의 끼움공(51)과 삽입부(55)의 삽입공(53)을 통하여 삽입시킨 다음, 삽입부(55)의 나사공(54)을 통하여 나비볼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70)를 체결하여 결합부재(4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브라켓(50)의 수평편(59)에 관통된 수평장공(58)을 통하여 앙카볼트(80)를 삽입시키고, 단부를 천정(81)에 고정시킨 다음, 브라켓(50)의 수평편(59) 하부에 밀착되도록 외경의 나사부에 체결너트(82)를 체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0) 타단 내경에 스프링쿨러 헤드(30)를 체결 고정시키면, 스프링쿨러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이와 같이 스프링쿨러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삽입부(55)의 나사공(54)을 통하여 체결된 나비볼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70)의 체결력을 이완시킨 다음, 브라켓(50)의 밀착편(52)의 끼움공(51)과 삽입부(55)의 삽입공(53)을 통하여 결합부재(40)를 상하로 적절하게 이동시킨 다음, 체결부재(70)를 체결시키면, 간단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수단의 체결너트(82)의 체결력을 이완시킨 다음, 브라켓(50)을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평편(59)의 수평장공(58)을 통하여 삽입되고, 단부가 천정(81)에 고정된 앙카볼트(80)를 따라 수평편(59)의 수평장공(58)이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브라켓(50)이 좌우로 이동되어 스프링쿨러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브라켓(50)의 밀착편(52)과 수직편(57) 및 수평편(59)의 일측에는 보강돌기(60)가 연장 형성되어 자체 강도를 보강시키게 되고, 밀착편(52)과 수직편(57) 사이와 수직편(57)과 수평편(59) 사이에는 보강리브(62)가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스프링쿨러 헤드가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고정브라켓과 고정수단으로써 천정에 매달이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높이조절 및 좌우로 이동을 할 수 있어 위치 설정이 용이하여 좁은 공간에서 조립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또한 완료된 다음에도 재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3)

  1. 일측 내경에는 주름관(20)이 체결 고정되고, 타측 내경에는 스프링쿨러 헤드(30)가 체결 고정된 결합부재(40)가 삽입되는 끼움공(51)이 형성된 원형의 밀착편(52)과,
    상기 밀착편(52)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밀착편(52)의 끼움공(51)과 연통되게 삽입공(53)이 형성되며, 체결부재(70)가 체결되는 나사공(54)이 외주연에 형성된 원통형의 삽입부(55)와,
    상기 밀착편(52)의 외주연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직편(57)과,
    상기 수직편(57)의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고정수단으로써 체결되는 수평장공(58)이 형성된 수평편(5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의 밀착편(52)과 수직편(57) 및 수평편(59)에는 일측면으로 보강돌기(60)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브라켓(50)의 수평편(59)에 관통된 수평장공(58)을 통하여 삽입되고,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단부가 천정(81)에 고정되는 앙카볼트(80)와,
    상기 앙카볼트(80)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8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20020011477U 2002-04-16 2002-04-16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Expired - Lifetime KR200281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477U KR200281931Y1 (ko) 2002-04-16 2002-04-16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477U KR200281931Y1 (ko) 2002-04-16 2002-04-16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931Y1 true KR200281931Y1 (ko) 2002-07-13

Family

ID=7312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477U Expired - Lifetime KR200281931Y1 (ko) 2002-04-16 2002-04-16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9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8B1 (ko) 2005-02-25 2007-08-02 주식회사 코뿔소 스프링쿨러의 장착구조
KR102298210B1 (ko) * 2021-01-05 2021-09-06 (주)부흥이앤씨 길이와 폭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클램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8B1 (ko) 2005-02-25 2007-08-02 주식회사 코뿔소 스프링쿨러의 장착구조
KR102298210B1 (ko) * 2021-01-05 2021-09-06 (주)부흥이앤씨 길이와 폭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클램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3852A1 (en) Snap clamp for mounting sprinkler
RU2466305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репежная деталь с уплотнительной шайбой
KR200281931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0300646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JP2020173019A (ja) 長尺体カバー固定具
KR20200095776A (ko) 파이프 행거용 클램프
KR20036080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케트
KR200300647Y1 (ko)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지지구조
KR100535234B1 (ko) 건축 설비 방진용 스프링 행거
KR200369350Y1 (ko) 스프링쿨러헤드의 장착 장치
KR101122349B1 (ko) 배관 고정장치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KR200371633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101174387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바에 사용되는 티볼트
KR101186501B1 (ko) 배관 고정장치
JP4940459B2 (ja) ケーブル受金物の固定方法及び固定器具
KR20090008585U (ko) 배관 고정 장치
CN113833733B (zh) 一种快接一体式螺母
KR200207355Y1 (ko) 천정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한 행거 구조물
KR102559393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용 보강대
KR200336138Y1 (ko) 천정부재 고정용 힌지식 행거
KR20200002133U (ko) 덕트지지행거
CN113969641B (zh) 一种斜向型钢混凝土柱结构
KR200296090Y1 (ko) 슬래브용 행거의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4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4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0803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2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