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1824Y1 - 일회용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824Y1
KR200281824Y1 KR2020020009304U KR20020009304U KR200281824Y1 KR 200281824 Y1 KR200281824 Y1 KR 200281824Y1 KR 2020020009304 U KR2020020009304 U KR 2020020009304U KR 20020009304 U KR20020009304 U KR 20020009304U KR 200281824 Y1 KR200281824 Y1 KR 200281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noodles
outlet
hot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Priority to KR2020020009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8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는, 종래 공지의 일회용 용기(1)를 개선하여 차가운 국물이 필요한 면 종류에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면을 익히고 난 더운물은 용이하게 배출하고 면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배출구를 손잡이가 형성된 커버의 반대측 위치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기는 면을 충분히 익힌 후, 커버(4)에 구비된 배출구를 손이나 젓가락으로 눌러 상기 배출구 커버의 파단선 절개부가 찢어지면서 미절개 부분에서 접혀지면서 배출구 커버부분이 용기의 내부로 젖혀지게 되어 컵을 기울일 때, 배출구 구멍(11)을 통하여 뜨거운 물은 배출되는 반면, 용기의 내부로 젖혀진 배출구 커버(10) 부분으로 인하여 내용물(면)은 흘러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포장 용기{RECEPTACLE FOR INSTANT NOODLE}
본 고안은 라면 등을 담을 수 있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성형되는 컵 타입의 용기에 라면, 우동, 냉면 등과 같이 각종의 면 종류가 내장되는 일회용 용기를 개선하여 냉면이나 비빔면을 용이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용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포장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과 같은 재질로 컵 타입으로 성형되는 용기(1)의 내부에 더운물에 의하여 쉽게 익혀질 수 있도록 한 면과 분말 스프가 내장되고, 상부는 알루미늄(은박) 코팅 처리되고 일부분에는 손잡이부(5)가 구비된 커버(4)에 의하여 밀봉된다.
상기와 같은 일회용 용기에 내장된 면류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축필름을 제거하고 커버를 일부 개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말 스프와 뜨거운 물을 함께 주입한 후 커버를 덮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면이 익게됨으로서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섭취할 수 있는 것은 라면이나 우동 종류와 같이 뜨거운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는 면 종류에 한하나, 냉국수나 냉면 또는 비빔국수 등과 같은 하절기에 특히 선호되는 면 종류의 경우에는 먼저 뜨거운 물을 부어 면을 익히고 나서, 뜨거운 물을 버린 후 다시 차가운 물을 붓거나 아니면, 비빔 양념을 넣어 섭취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일회용 라면 용기에 있어서는 면을 익힌 후 뜨거운 물만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면서도 내용물(라면 등)은 버려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고안의 용도와 같이 면을 익힌 후 뜨거운 물을 버릴 때 익혀진 면이 뜨거운 물과 함께 버려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뜨거운 물을 버리는 과정에서 내용물(면)(3)이 함께 버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젓가락 등을 이용하여 면이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는 등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일회용 용기를 개선하여 면을 익힌 후, 뜨거운 물을 쉽게 버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면)은 쏟아지지 않도록 일회용 용기를 구성함으로써, 차가운 물을 이용한 냉면 또는 차가운 물 없이 비벼서 섭취할 수 있는 비빔면 등으로 조리하기 쉬운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는, 종래 공지의 일회용 용기(1)를 개선하여 차가운 국물이 필요한 면 종류에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면을 익히고 난 더운물은 용이하게 배출하고 면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배출구를 손잡이가 형성된 커버의 반대측 위치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일회용 컵라면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포장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4: 커버
5: 손잡이부 10: 배출구 커버
11: 배출구멍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용기의 외관을 도시한 시사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회용 컵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는, 더운물은 용이하게 배출하고 면(내용물)은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더운 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커버의 손잡이 부분과 반대되는 위치의 커버 상에 부분 절개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배출구 커버(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를 커버의 손잡이 반대측에 형성하는 이유로서, 면을 익히기 위하여 뜨거운 물을 용기 내부에 부어 넣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4) 일부분을 뜯어야 하므로 면을 완전히 익힌 후 물을 버릴 때, 이 뜯겨진 부분에 전혀 지장을 받지 않으면서도 용이하게 물을 배출구를 이용하여 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와 접착되는 커버의 외주면 부분의 배출구 부분은 부분절개하지 않으며,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절개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분 절개되지 않은 위치에서 접혀지도록 하고, 나머지 배출구 커버(10)는 용기 안으로 접혀 들어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내부로 접혀 들어간 배출구 커버(10)는 상기 용기 내부에 있는 내용물(면)이 배출구멍(11)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걸름판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회용 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용기의 상단부와 접착되어 있는 커버의 일부를 뜯어내고, 그 내부에 있는 스프 봉지를 꺼낸 다음, 뜨거운 물을 부어넣어 면을 익힌다.
면이 충분히 익은 경우, 상기 배출구 커버(10)를 손이나 젓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배출구 커버의 부분 절개선이 형성된 부분은 커버(4)에서 분리되고 부분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접혀지면서 배출구 커버부분이 용기의 내부로 젖혀지게 된다.
이렇게 배출구 커버(10)가 용기 내부로 젖혀진 부분에 배출구멍(11)이 형성되며, 이 상태에서 컵을 기울이면 상기 배출구멍(11)을 통하여 뜨거운 물은 배출되는 반면, 용기의 내부로 젖혀진 배출구 커버(10) 부분으로 인하여 내용물(면)은 흘러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배출구의 형상을 변경하여 실시하거나, 그 위치를 이동하여 변형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를 개선하여 면을 익힌 후 뜨거운 물을 버릴 때, 뜨거운 물을 쉽게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반면 그 내용물(면)은 쏟아지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차가운 물을 이용한 냉면 또는 차가운 물 없이 비벼서 섭취할 수 있는 비빔면 등으로 조리하기 용이하여 사용자들의 편익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일회용 용기(1)와; 손잡이부(5)가 형성된 커버(4)에 의하여 상기 용기의 상부에 접착되어 구성되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형성된 손잡이부(5)에 반대되는 용기 상단부에 인접한 위치의 커버 상에, 파단선 방식으로 부분 절개되어 형성되는 배출구 커버(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구 커버(10)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와 접착되는 외주면 부분은 절개되지 않으며,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 절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포장용기.
KR2020020009304U 2002-03-28 2002-03-28 일회용 포장 용기 Ceased KR200281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304U KR200281824Y1 (ko) 2002-03-28 2002-03-28 일회용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304U KR200281824Y1 (ko) 2002-03-28 2002-03-28 일회용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824Y1 true KR200281824Y1 (ko) 2002-07-13

Family

ID=7307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304U Ceased KR200281824Y1 (ko) 2002-03-28 2002-03-28 일회용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82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49A (ko) 2016-12-05 2018-06-14 유동현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KR20200001047U (ko) * 2018-11-15 2020-05-25 (주)이루미소프트 조리 용기
KR20200109859A (ko) * 2019-03-15 2020-09-23 (주)느루 일회용 조리 용기
WO2020189889A1 (ko) * 2019-03-15 2020-09-24 (주)느루 일회용 조리 용기
KR20220001545U (ko) 2020-12-22 2022-06-29 소윤섭 물배출 기능을 갖는 컵라면 용기용 리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49A (ko) 2016-12-05 2018-06-14 유동현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KR20200001047U (ko) * 2018-11-15 2020-05-25 (주)이루미소프트 조리 용기
KR200493249Y1 (ko) * 2018-11-15 2021-02-26 (주)이루미소프트 조리 용기
KR20200109859A (ko) * 2019-03-15 2020-09-23 (주)느루 일회용 조리 용기
WO2020189889A1 (ko) * 2019-03-15 2020-09-24 (주)느루 일회용 조리 용기
KR102212471B1 (ko) * 2019-03-15 2021-02-04 (주)느루 일회용 조리 용기
KR20220001545U (ko) 2020-12-22 2022-06-29 소윤섭 물배출 기능을 갖는 컵라면 용기용 리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V20030058A1 (it) Capsula monodose in plastica per caffe&#39; in polvere e simili.
KR200281824Y1 (ko) 일회용 포장 용기
JP2002249172A (ja) ストロー
CN218878160U (zh) 一种包装结构
KR101838195B1 (ko) 편리한 비빔컵라면 용기
KR102190969B1 (ko) 식품 포장용기
JP2006168796A (ja) 容器入り食品及び食品用容器
KR101152745B1 (ko) 포장용기
KR200210249Y1 (ko) 일회용 면용기구조
JP2002037350A (ja) 2室分離式携帯用容器
JP2002160777A (ja) 排湯機能を有する即席食品用容器
KR20090007671U (ko) 물에 용해되는 스프 봉투를 구비한 컵 라면
JP3085274U (ja) 溶解包装袋
KR200180988Y1 (ko) 액체식품 포장대
JP2003095330A (ja) ドリップ式飲料用パック
JP3256193B2 (ja) 包装用容器
JP2000313435A (ja) パック容器
KR20180064249A (ko) 컵라면 용기의 물 배출구조
JP3744755B2 (ja) 即席食品等の容器
KR200231345Y1 (ko) 커피믹스
JPH1080350A (ja) 液状添加物入りスプーン
KR200268551Y1 (ko) 물 배출 구조를 갖는 즉석 라면용기
JP2006143268A (ja) 複室構造の食品容器
JP3841865B2 (ja) 湯切り口付容器
JPS6447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3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UJ0210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UJ02102R02D

Patent event date: 20040319

Request date: 2004031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Appeal identifier: 2004103000059

Decision date: 2005062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319

Effective date: 20050629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tent event code: UJ13011S10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4103000059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Decision date: 20050629

Request date: 200403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U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5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8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