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1822Y1 - 볼라드 - Google Patents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822Y1
KR200281822Y1 KR2020020009192U KR20020009192U KR200281822Y1 KR 200281822 Y1 KR200281822 Y1 KR 200281822Y1 KR 2020020009192 U KR2020020009192 U KR 2020020009192U KR 20020009192 U KR20020009192 U KR 20020009192U KR 200281822 Y1 KR200281822 Y1 KR 200281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transparent cap
night
light emitting
steel colum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식
강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20009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82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이나 비 또는 눈 등에 의한 기상 악화시에 운전자나 보행자가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볼라드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가공이 용이하며 강도가 뛰어난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부가 매설되어 세워지는 스틸지주와, 상기 스틸지주의 상측에 씌워지는 투명캡과, 상기 투명캡의 하측 둘레에 부착되는 반사시트와, 상기 투명캡 내에 위치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부에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틸지주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는 충전용 배터리와, 발광다이오드와, 주야간을 감지하는 광전도셀과, 상기 광전도셀이 야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라드 { Bollard }
본 고안은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 부분이나 보행자용 도로의 입구 등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볼라드는 목재를 가공하여 제조하였는데, 상기 목재로 이루어진 볼라드는 목재가 간직한 자체적인 특성상 강도가 취약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즉 차량의 충돌 등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이 가해지지 아니하더라도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습기 등의 수분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식이 발생되어 도시의 미관을 저해시킴과 아울러 볼라드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재로 이루어진 볼라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로 이루어진 볼라드(51)가 안출되었는데, 상기 석재로 이루어진 볼라드(51)는 통상적으로 화강석을 채취하여 가공한 후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모르타르층(53)으로써 볼라드(51)의 하부를 매설하는데, 이러한 석재로 이루어진 볼라드(51)는 석재가 간직하고 있는 자체적인 특성상 가공이 용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중량이어서 운반이 힘들어 비교적 생산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라드(51)는 야간에 차량이나 보행자가 볼라드(51)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반사시트(55)가 둘레 방향을 따라 부착되는데, 이러한 반사시트(55)는 기후나 온도의 차이에 의해 볼라드(51)로부터 쉽게 떨어지거나 부식되어 다시 신규 반사시트(55)로 교체하기 위한 유지 빛 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볼라드(51)는 반사시트(55)가 벗겨지거나 부식되지 아니하더라도차량의 전조등과 광원에서 투사되는 빛의 반사에 의해 볼라드(5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 등이 위험을 인지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 사고의 위험에 충분히 대처할 수 없고, 비나 눈에 의해 빛의 반사효과가 떨어지거나 먼지 등이 반사시트(55)에 쌓일 경우 볼라드(51)로서의 역할이 극히 취약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야간이나 비 또는 눈 등에 의한 기상 악화시에 운전자나 보행자가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볼라드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게가 비교적 가벼워 운반이 편리하고, 가공이 용이하여 생산단가가 저렴하며, 강도가 뛰어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손상이 적은 볼라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석재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볼라드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작동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스틸지주 4 : 투명캡
6 : 반사시트 11 : 태양전지판
12 : 인쇄회로기판(PCB) 13 : 충전용 배터리
14 : 발광다이오드(LED) 15 : 광전도셀(CDS)
16 : 트랜지스터(TR)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가 매설되어 세워지는 스틸지주와, 상기 스틸지주의 상측에 씌워지는 투명캡과, 상기 투명캡의 하측 둘레에 부착되는 반사시트와, 상기 투명캡 내에 위치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부에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상기 스틸지주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는 충전용 배터리와, 발광다이오드와, 주야간을 감지하는 광전도셀과, 상기 광전도셀이 야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볼라드는 차도와 인도의 경계 부분이나 보행자용 도로의 입구 등의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고자 하는 위치에 하부가 매설되어 수직하게 세워지는 스틸지주(2)와, 상기 스틸지주(2)의 상측 둘레에 씌워져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볼록한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된 투명캡(4)과, 상기 투명캡(4)의 하단 둘레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반사시트(6)와, 상기 투명캡(4)의 내에 장착되고 야간에 점등되어 운전자 또는 보행자에게 볼라드의 위치를 명확하게 인식시켜 주는 조명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틸지주(2)는 상부가 막힌 기다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상측의 둘레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스틸지주(2)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진 턱부(3)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캡(4)은 스틸지주(2)의 턱부(3)에 끼워져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투명캡(4)은 일정 깊이로 끼워지면 하단이 턱부(3)에 걸림되기 때문에 상기 스틸지주(2)에 과도하게 끼워짐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투명캡(4)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휨강도 그리고 충격강도가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조되는데, 이는 투명캡(4)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가격 방향으로 그 형상이 변형되었다가 충격이 해제되면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투명캡(4) 내부에 장착된 점등장치와 투명캡(4) 둘 다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반사시트(6)는 야간 주행하는 차량의 전조등과 같은 외부의 불빛을 반사하는 초고휘도 반사시트이다.
특히 상기 조명장치는 외부의 전원 없이 영구적으로, 그리고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적으로 점등 및 소등되는 것으로서,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판(solar cell)(11)과,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함)(12)과, 상기 태양전지판(11)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충전용 배터리(13)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13)의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14)와, 주야간을 감지하는 광전도셀(이하 CDS라 함)(15)과, 상기 CDS(15)가 야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13)의 전기에너지가 상기 LED(14)에 흐르도록 하여 LED(14)를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transistor, 이하 TR이라 함)(1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13)는 통상적으로 1개당 약 0.5볼트의 전압이발생되는 태양전지판(11)의 전기에너지를 주간에 충전하여 야간 내내 모자람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1개당 약 1.2볼트의 전압으로 충전시키는 니켈-카드뮴(Ni-Cd) 배터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니켈-카드뮴(Ni-Cd) 배터리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상기 CDS(15)는 조도에 따라 작동되는 바, 예를 들면 주간에서와 같이 조도가 크면 저항치가 낮아지고 야간에서와 같이 조도가 낮으면 저항치가 커지도록 작동된다.
한편 상기 PCB(12) 회로의 구성은 CDS(15) 및 TR(16)에 의해 주간에는 충전용 배터리(13)에 전기에너지가 충전됨과 아울러 LED(14)를 통하여 방전되지 아니하고, 야간에는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LED(14)를 통하여 방전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된 것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PCB(13)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한편 상기 충전용 배터리(13)는 스틸지주(2)의 상부에 스크류 등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13)의 상부에는 PCB(12)가 연결되며, 상기 PCB(12)의 상부에는 태양전지판(11)이 연결되고, 상기 LED(14)는 PCB(12)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태양전지판(11)을 관통하여 투명캡(4) 내의 중앙 부위에 위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작동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주간에서의 작동을 살펴보면, 태양의 빛에너지는 태양전지판(11)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고, 이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PCB(12)를 통하여 충전용 배터리(13)에 충전된다.
이때 CDS(15)는 주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16)는 충전용 배터리(1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LED(14)로 흐르는 것이 차단되도록 작동하여 충전용 배터리(13)의 전기에너지가 불필요하게 방전됨을 방지한다.
따라서 LED(14)는 주간에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야간에서의 작동을 살펴보면, CDS(15)는 야간에 대응하는 신호가 출력하고, 이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16)는 주간에 태양전지판(11)에 의해 충전용 배터리(1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LED(14)로 흐르도록 하여 LED(14)를 점등시킨다.
이때 운전자 및 보행자는 원거리에서도 볼라드의 위치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는 주간에 태양의 빛에너지를 태양전지판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 다음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시킨 후 야간에 광전도셀(CDS)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가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발광다이오드(LED)로 흐르도록 작동되어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기 때문에 운전자나 보행자가 야간이나 비 또는 눈 등에 의한 기상 악화시에도 볼라드의 위치를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태양전지판에 의해 태양의 빛에너지로써 발광다이오드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때문에 외부의 전원 또는 별도의 배터리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볼라드의 외관이 스틸지주와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 투명캡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형상에 따른 가공이 용이하여 미관이 수려하며 강도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하여 투명캡이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투명캡 및 투명캡 내에 장착된 조명장치 둘 모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하부가 매설되어 세워지는 스틸지주(2)와; 상기 스틸지주(2)의 상측에 씌워지는 투명캡(4)과; 상기 투명캡(4)의 하측 둘레에 부착되는 반사시트(6)와; 상기 투명캡(4) 내에 위치되는 태양전지판(11)과; 상기 태양전지판(11)의 하부에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2)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틸지주(2)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태양전지판(11)의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는 충전용 배터리(13)와; 발광다이오드(14)와; 주야간을 감지하는 광전도셀(15)과; 상기 광전도셀(15)이 야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13)의 전원이 상기 발광다이오드(14)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14)를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1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4)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13)는 니켈-카드뮴(Ni-Cd)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라드.
KR2020020009192U 2002-03-28 2002-03-28 볼라드 Expired - Fee Related KR200281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92U KR200281822Y1 (ko) 2002-03-28 2002-03-28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192U KR200281822Y1 (ko) 2002-03-28 2002-03-28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822Y1 true KR200281822Y1 (ko) 2002-07-13

Family

ID=7312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19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1822Y1 (ko) 2002-03-28 2002-03-28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8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68Y1 (ko) * 2009-04-06 2011-04-15 율진이앤씨(주) 쏠라 볼라드
KR101037196B1 (ko) 2009-05-06 2011-05-26 최진선 조명 안내용 볼라드
KR200454625Y1 (ko) * 2010-08-27 2011-07-15 이재용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옥을 구비한 볼라드형 조명 장치
KR102093768B1 (ko) * 2019-06-07 2020-03-26 (주)예술과공간 게이트 시설물
KR102227584B1 (ko) * 2020-03-03 2021-03-12 심동순 조명 안전 볼라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268Y1 (ko) * 2009-04-06 2011-04-15 율진이앤씨(주) 쏠라 볼라드
KR101037196B1 (ko) 2009-05-06 2011-05-26 최진선 조명 안내용 볼라드
KR200454625Y1 (ko) * 2010-08-27 2011-07-15 이재용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옥을 구비한 볼라드형 조명 장치
KR102093768B1 (ko) * 2019-06-07 2020-03-26 (주)예술과공간 게이트 시설물
KR102227584B1 (ko) * 2020-03-03 2021-03-12 심동순 조명 안전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016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의 점등제어장치
KR100729910B1 (ko) 일체형 솔라 델리네이터
KR101943016B1 (ko) 도로 표지병 제어 장치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20160000660A (ko) 주·야간 충전이 가능한 태양광 가로등 시스템
KR101074214B1 (ko) 볼라드
KR200451384Y1 (ko) 솔라타입 다기능 차선규제봉
KR100977879B1 (ko) 자전거 도로 표지판
KR200281822Y1 (ko) 볼라드
KR20120117440A (ko) 태양광을 이용한 도로 분리대의 유도장치
KR101253972B1 (ko)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KR200423179Y1 (ko) 차량용 유도장치
KR20080084546A (ko) 도로 안전시설물용 조명장치
KR200207520Y1 (ko) 솔라발광 표지병 구조체
KR101053095B1 (ko) 지주용 발광부재 제어 장치와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용 지주
KR101654046B1 (ko) 차단봉
JPH0726526A (ja) ソーラ式安全ライト、このライトを備えたガードレール及びスタンション
KR200273097Y1 (ko) 도로 안전표지 공작물 조명장치
KR101046763B1 (ko) 도로표시등
KR200216354Y1 (ko)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JP3914432B2 (ja) 車止め
GB2403499A (en) Solar powered illuminated bollard
KR200293123Y1 (ko) 쏠라발광볼라드
KR200389207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선 표시구
KR200353260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조명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3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3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