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1210Y1 -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 Google Patents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210Y1
KR200281210Y1 KR2020020012139U KR20020012139U KR200281210Y1 KR 200281210 Y1 KR200281210 Y1 KR 200281210Y1 KR 2020020012139 U KR2020020012139 U KR 2020020012139U KR 20020012139 U KR20020012139 U KR 20020012139U KR 200281210 Y1 KR200281210 Y1 KR 200281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hain
spring
ball
slide groove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호
주종화
Original Assignee
김수호
주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호, 주종화 filed Critical 김수호
Priority to KR2020020012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21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에 관한 것으로, 걸림돌기(43)가 형성된 돌출부(45)를 고정축(42)과 동심상상으로 형성하고, 고정축(42)의 외주로 설치되는 회전체(50)에는 돌출부(45)내로 삽입되는 플랜지(52)를 형성하며, 플랜지(52)의 브라켓(40)반대면에는 축에 수직으로 슬라이드홈(54)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홈(54)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는 'V'형 스프링(58)을 회전체(50)와 함께 고정하는 복수개의 걸림축(56)을 형성하며, 회전체(50)의 외주로 설치되는 볼체인가이드(60)에는 회전시에 스프링(58)의 일측을 가압하는 스프링 가압부재(64)를 형성하고, 플랜지(52)와 볼체인가이드(60)사이에는 스톱퍼(70)를 위치시키고 그 양종단에는 슬라이드홈(54)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드(72)와 볼체인가이드(60)에 고정되는 힌지축(74)을 각각 돌출형성한 것으로써, 볼체인(61)을 당기면 힌지축(74)에 의하여 슬라이드(72)가 슬라이드홈(54)내를 이동하면서 스톱퍼(70)가 걸림돌기(43)에 걸리지 않게 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볼체인(61)을 놓으면 볼체인가이드(60)가 스프링(58)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복되면서 스톱퍼(70)가 걸림돌기(43)사이에 걸리면서 위치고정되어 회전체(5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Adjuster for Roman Shades}
본 고안은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체인을 당기는 힘이 로만쉐이드의 하중과 상관없도록 하여 작은힘으로도 로만쉐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볼체인을 놓았을때에 정확한 스톱핑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만쉐이드는 창문의 상측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승, 하강되며 창문을 통해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창문상부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어저스터와 권취롤러를 각각 설치하고, 이 어저스터와 권취롤러에 커텐이 설치된 회전축을 연결하여, 볼체인을 당기면 어저스터가 회전하면서 커텐을 승/하강시키고, 볼체인을 놓으면 어저스터의 스톱핑작용에 의하여 커텐이 아래로 내려오지 않도록 한 것으로써, 종래의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의 구성을 하기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a는 종래의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어저스터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라켓(10)에 고정설치되며 종단에 탄성그립퍼(12)가 형성된 고정축(14)과, 상기 고정축(14)과 동심상으로 돌출형성된 원통형 돌출부(16)와, 양종단이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원통형 돌출부(16)의 외주에 강제로 설치되는 스프링(18)과, 내주에 상기 스프링(18)의 종단과 맞물려서 스프링(18)을 회전시키기 위한 가압돌기(22)가 형성되고 외주로 볼체인(24)이 설치되는 볼체인가이드(20)와, 상기 볼체인(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26)와, 상기 가압돌기(22)와 맞물리는 돌기(32)가 형성되어 볼체인가이드(20)의 회전시에 커텐이 끼워진 회전축(미도시)을 회전시키는 회전체(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어저스터의 동작을 도 1b및 도 1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볼체인(24)을 잡고 아래로 당기면 볼체인가이드(20)가 회전하면서 가압돌기(22)가 스프링(18)의 종단을 강제로 밀게되므로 스프링(18)이 돌출부(16)의 외주를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30)가 함께 회전되어 커텐이 내려가거나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볼체인(24)을 놓게 되면 스프링(18)이 돌출부(16)외주로 강제로 끼워진 상태이므로, 볼체인가이드(20)의 가압돌기(22)가 상기 스프링(18)의 종단에 걸려서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커텐이 내려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브라인드용 어저스터는 커텐이 내려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18)이 돌출부(16)를 잡고있는 힘을 커텐의 하중보다 크도록 하여야 하므로 스프링(18)을 돌리기 위해서는 커텐의 하중보다 큰 힘으로 볼체인(24)을 당겨야 하므로, 커텐을 올리거나 내리는데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크기가 큰 커텐을 설치할 경우 그 당기는 힘이 브라켓(10)이 설치된 힘보다 커지기 때문에 로만쉐이드가 창문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볼체인을 당기는 힘이 로만쉐이드의 하중과 상관없이 작은 'V'형 판스프링을 밀정도의 힘만 있으면 되므로, 작은힘으로도 로만쉐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볼체인을 놓았을때에 정확한 스톱핑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하는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종래의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어저스터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브라켓 42 : 고정축
43 : 걸림돌기 45 : 돌출부
50 : 회전체 52 : 플랜지
54 : 슬라이드홈 56 : 걸림축
58 : 스프링 60 : 볼체인가이드
61 : 볼체인 62 : 커버
64 : 스프링 가압부재 70 : 스톱퍼
72 : 슬라이드 74 : 힌지축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a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라켓(40)에 고정설치된 고정축(42)의 외주로 커텐이 설치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체(50)가 설치되고, 회전체(50)의 외주로 볼체인가이드(60)와 볼체인(61)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62)가 설치되어 볼체인(61)을 당기면 회전축을 회전시켜 커텐을 올리거나 내리는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에 있어서, 내주면 전체에 축방향 걸림돌기(43)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42)과 동심상상으로 브라켓(40)에 돌출형성된 원통형 돌출부(45)와, 상기 회전체(50)의 종단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5)내로 삽입되는 플랜지(52)와, 상기 플랜지(52)의 브라켓(40)반대면에 축에 수직방향으로 종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홈(54)과, 상기 슬라이드홈(54)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거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축(56)과 회전체(50)에 의하여 플랜지(52)에 설치되는 'V'형 스프링(58)과, 상기 볼체인가이드(60)에 설치되어 볼체인가이드(60)의 회전시에 스프링(58)의 일측을 슬라이드홈(54)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가압부재(64)와, 상기 돌출부(45)의 걸림돌기(43)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외측종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홈(54)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드(72)가 돌출형성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내측종단에는 볼체인가이드(60)에 고정되는 힌지축(74)이 형성된 스톱퍼(7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스톱퍼(70)의 슬라이드(72)외주에는 슬라이드홈(54)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시(76)를 더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도 3a내지 도3d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a의 상태에서 볼체인(61)을 당기면 상기 스톱퍼(70)의 힌지축(74)이 도 3a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체인가이드(60)와 함께 회전체(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스톱퍼(70)의 슬라이드(72)가 도 3b와 같이 회전체(50)중심을 향해서 슬라이드홈(54)내를 미끄러지게 되어 스톱퍼(70)의 종단이 걸림돌기(43)와 맞물리지 않게 되므로 회전체(50)가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여 커튼을 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커튼을 올리거나 내린 후 볼체인(61)을 놓으면 상기 볼체인가이드(60)는 스프링(58)의 탄성에 의하여 회전되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 후 위치고정되는데, 이는 볼체인(61)을 당길때 스프링 가압부재(64)가 스프링(58)의 일측을 회전방향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서 볼체인가이드(60)가 회전하게 되므로볼체인(61)을 놓으면 스프링(58)의 복원력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볼체인가이드(60)가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볼체인가이드(60)에 결합된 힌지축(74)도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스톱퍼(70)의 슬라이드(72)가 슬라이드홈(54)내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슬라이드(72)가 슬라이드홈(54)내를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톱퍼(70)의 종단이 걸림돌기(43)사이에 위치되어 볼체인가이드(60)가 위치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볼체인가이드(60)가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체(50)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스톱퍼(70)의 슬라이드(72)에 도 3d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되지만, 상기 슬라이드(72)는 힌지축(74)과 슬라이드(72)에 의하여 볼체인가이드(60)가 회전하지 않는 동안에는 슬라이드홈(56)의 좌/우방향으로는 위치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톱퍼(70)의 종단이 걸림돌기(43)사이에 위치고정되어 회전체(50)가 회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볼체인을 당길때 스프링을 밀정도의 힘만 가지면되고 상기 스프링 역시 볼체인가이드를 원위치로 원복시킬정도의 탄성력만 가지면 되므로, 커튼을 내리거나 올릴때 힘이 거의 들지 않게 되므로, 노약자가 어린이도 쉽게 커튼을 내리거나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볼체인을 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체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정확한 스톱핑작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브라켓이 커튼의 하중에 볼체인을 당기는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커튼 하중의 2배를 견딜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지만, 본고안에 의하면 브라켓이 커텐의 하중에 'V'형 판스프링을 밀정도의 힘만 더 견디면 되므로, 어떠한 크기의 커튼이라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라켓(40)에 고정설치된 고정축(42)의 외주로 커텐이 설치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체(50)가 설치되고, 회전체(50)의 외주로 볼체인가이드(60)와 이를 고정시키는 커버(62)가 설치되어 볼체인(61)을 당기면 회전축을 회전시켜 커텐을 올리거나 내리는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에 있어서,
    내주면 전체에 축방향 걸림돌기(43)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42)과 동심상상으로 브라켓(40)에 돌출형성된 원통형 돌출부(45)와,
    상기 회전체(50)의 종단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5)내로 삽입되는 플랜지(52)와,
    상기 플랜지(52)의 브라켓(40)반대면에 축에 수직방향으로 종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홈(54)과,
    상기 슬라이드홈(54)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거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축(56)과 회전체(50)에 의하여 플랜지(52)에 설치되는 'V'형 스프링(58)과,
    상기 볼체인가이드(60)에 설치되어 볼체인가이드(60)의 회전시에 스프링(58)의 일측을 슬라이드홈(54)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가압부재(64)와,
    상기 돌출부(45)의 걸림돌기(43)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외측종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홈(54)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드(72)가 돌출형성되고 호형으로 형성된 내측종단에는 볼체인가이드(60)에 고정되는 힌지축(74)이 형성된 스톱퍼(70)로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KR2020020012139U 2002-04-22 2002-04-22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Expired - Fee Related KR200281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39U KR200281210Y1 (ko) 2002-04-22 2002-04-22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39U KR200281210Y1 (ko) 2002-04-22 2002-04-22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210Y1 true KR200281210Y1 (ko) 2002-07-13

Family

ID=7312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13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1210Y1 (ko) 2002-04-22 2002-04-22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21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24B1 (ko) * 2006-08-14 2007-08-30 허승준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KR101195828B1 (ko) * 2010-06-24 2012-11-05 홍지환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20150125950A (ko) * 2013-03-11 2015-11-10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KR20160109704A (ko) * 2015-03-12 2016-09-21 유상원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24B1 (ko) * 2006-08-14 2007-08-30 허승준 롤 스크린의 승하강 장치
KR101195828B1 (ko) * 2010-06-24 2012-11-05 홍지환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20150125950A (ko) * 2013-03-11 2015-11-10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KR102084821B1 (ko) 2013-03-11 2020-03-04 헌터더글라스인코포레이티드 건축물 개구부용 덮개
KR20160109704A (ko) * 2015-03-12 2016-09-21 유상원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KR101668945B1 (ko) 2015-03-12 2016-10-24 유상원 블라인드의 양방향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5009B2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JP2000170464A (ja) 端キャップと装着支持体との組み合わせ体及び建築カバ―
US20230138944A1 (en) Cordless retractable roller shade for window coverings
US7497242B2 (en) Window curtain pulling device
KR200281210Y1 (ko)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GB2339820A (en) End plug assembly for use in a roller
KR100695819B1 (ko) 전동식 커튼
TWI592565B (zh) Small shutter cushioning device
KR200318026Y1 (ko) 커튼의 처짐 방지를 위한 로만쉐이드 어저스터
US20160090778A1 (en) Endless loop cord safety device
JP3821257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回転規制装置
EP1006255A1 (en) End cap and mounting support combination
JP2002147148A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0728938B1 (ko) 블라인드
JPH057433Y2 (ko)
CN111894435B (zh) 一种制头及其组成的拉珠手推卷帘
NL1032895C2 (nl) Trekinrichting voor rolgordijn.
KR200245010Y1 (ko) 브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JPS6310076Y2 (ko)
JPS642946Y2 (ko)
KR200375899Y1 (ko) 개선된 밝기 조절구조를 가진 롤 블라인드
KR200205934Y1 (ko)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JPH0515035Y2 (ko)
KR101961659B1 (ko) 블라인드 설치 장치
JPH0718875Y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巻取軸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4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4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031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