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0538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538Y1
KR200280538Y1 KR2020020004575U KR20020004575U KR200280538Y1 KR 200280538 Y1 KR200280538 Y1 KR 200280538Y1 KR 2020020004575 U KR2020020004575 U KR 2020020004575U KR 20020004575 U KR20020004575 U KR 20020004575U KR 200280538 Y1 KR200280538 Y1 KR 200280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st
mounting table
replace
pi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5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은홍
Original Assignee
민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은홍 filed Critical 민은홍
Priority to KR20200200045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5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53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시되어지는 게시물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게시물의 교체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액자의 훼손을 방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액자는 게시물의 교체를 행하기 위해서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진 전면틀과 후면틀을 분리시키고 게시물을 교체한 후 분리되어진 전면틀과 후면틀을 재차 결합하여야 함으로서 교체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면틀과 후면틀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액자가 손상을 입거나 훼손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적어도 일측의 액자틀을 탈착시켜 게시물의 교체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탈착이 이루어지는 일측의 액자틀이 재치대와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게시물의 교체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액자.

Description

액자{A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시되어지는 게시물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게시물의 교체 시에 일어날 수 있는 액자의 훼손을 방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게시되어지는 게시물을 보호하여 훼손을 방지토록 할뿐만아니라 게시되어진 게시물을 돋보이게 부각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소재와 형상을 갖는 여러 종류의 액자가 제안되어지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이러한 액자를 광고용으로 이용하게 되면서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액자의 전면과 후면 양면으로 게시물을 개재할 수 있도록 된 양면액자와 액자틀에 조명기구 등을 내설함으로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게시물이 선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된 액자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양면액자는 액자틀의 내측 중앙부로 소정의 높이만큼 부착대를 돌출시켜 부착대의 양면으로 각각의 게시물이 재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한편 이러한 광고용 액자에 개재되는 게시물은 신상품의 출하나 기타의 사유 등으로 인해서 비교적 빈번하게 교체가 이루어진다.
게시물의 교체를 행하기 위해서는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진 전면틀과 후면틀을 분리시키고 게시물을 교체한 후 분리되어진 전면틀과 후면틀을 재차 결합하여야 함으로서 교체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면틀과 후면틀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액자가 손상을 입거나 훼손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게시물의 분실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게시물의 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일측의 액자틀이 회동 개폐되어지도록 된 개폐형 광고 액자(출원번호 20-1998-06865호)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폐형 광고 액자는 일측의 액자틀이 개방되어질 때 이웃하는 액자틀이 지지되지 못함으로서 견고하지 못하고 노출된 경첩과 자물쇠 등에 의해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어도 일측의 액자틀을 탈착시켜 게시물의 교체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탈착이 이루어지는 일측의 액자틀이 재치대와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게시물의 교체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자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액자틀 12 : 안착요부
14 : 지지돌부 20 : 부착대
24 : 요입홈 30 : 결합부재
40 : 코너부재 F : 액자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설되어지는 부착대(20)가 일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액자틀(10) 각각의 단부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인접되어 코너부재(40)로 체결됨으로서 사방으로 짜여지는 액자(F)에 있어서, 적어도 일측의 액자틀(10)이 부착대(20)와 분리되어 탈착 자재되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액자틀(10)은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액자틀(10)과 부착대(20)가 일체를 이루도록 압성성형 한 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그 양단부를 이웃하는 액자틀에 소정의 각도(통상 직각을 이루도록 된다)를 이루도록 인접시켜 나사 등의 결합부재(30)를 이용하여 결합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액자틀(10)의 내측으로 형성된 부착대(20)의 일면 혹은 양면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진 코너부재(40)의 삽입을 위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으로 삽입되어진 코너부재(40)를 결합부재(30)로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서 액자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되어진 액자(F)의 일측에서 분리되어지도록 구성된 액자틀(10)의 내면에는 재치대(20)의 외측면이 수용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요부(12)가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요부(12)로 안착되어진 재치대(20)와 액자틀(10)은 나사 등의 결합부재(3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서 개재된 게시물의 이탈을 방지토록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액자틀(10)의 내면과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안착요부(12)의 상부 내측으로는 지지돌부(14)를 형성하고 부착대(20)의 대응되는 위치로 지지돌부(14)가 긴밀하게 삽입되어지는 요입홈(24)을 형성하여 별도의 결합부재(30)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자틀(10)이 부착대(20)에 탄력 지지되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액자틀(10)을 성형제작할 경우에 바랍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액자(F)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자(F)의 일측에 분리 형성된 액자틀(10)과 부착대(2)를 분리시켜 개구되어진 공간을 통하여 게시물을 개재하고 액자틀(10)을 결합부재(30)를 사용하여 체결하거나 감합홈(24)과 감합돌부(14)가 감착되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게시물의 유동을 방지하고 훼손을 막기 위해서 게시물의 전면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투명판을 배면에는 받침판을 덧대어줌으로서 액자틀(10)과 부착대(20) 사이에 긴밀하게 삽착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액자에 일측 외면에 노출되어지는 결합부재(30)를 은폐시키고 액자의 입상을 위해서 액자의 하부를 감싸는 받침대(미도시)를 더 형성하거나 액자의 부착 위치에 따라 분리되어 결합부재(30)로 체결되는 액자틀(10)을 상측으로 위치시키거나 하측으로 위치시키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액자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게시물의 교체를 이룰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정정)내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설되어지는 부착대(20)가 형성된 다수 개의 액자틀(10) 각각의 단부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인접되어 코너부재(40)로 체결됨으로서 사방으로 짜여지는 액자(F)에 있어서, 적어도 일측의 액자틀(10)이 재치대(20)와 분리되어 결합부재(30)로 체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10)의 내측에는 부착대(20)의 외측면이 소정의 깊이만큼 외삽되어 수용되도록 안착요부(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정정)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요부(12)의 상단 내측에는 지지돌부(14)를 형성하고 부착대(2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요입홈(24)을 형성하여 액자틀(10)이 재치대(20)에 탄력 지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20020004575U 2002-02-15 2002-02-15 액자 Expired - Fee Related KR200280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75U KR200280538Y1 (ko) 2002-02-15 2002-02-15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75U KR200280538Y1 (ko) 2002-02-15 2002-02-15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538Y1 true KR200280538Y1 (ko) 2002-07-04

Family

ID=7307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57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0538Y1 (ko) 2002-02-15 2002-02-15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5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722B1 (ko) 2016-08-18 2018-04-11 권기석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722B1 (ko) 2016-08-18 2018-04-11 권기석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6792B2 (en) Picture frame assembly
US6280030B1 (en) Eyeglasses assembly
HK1204385A1 (en) Devi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carriers
KR101786173B1 (ko) 베젤면이 노출되지 않는 광고대
KR101721604B1 (ko) 엘이디 라이트패널
JPH0436006B2 (ko)
KR200280538Y1 (ko) 액자
KR100603953B1 (ko) 사용이 편리한 광고판넬 조립구조
KR101367524B1 (ko) 액자프레임
KR200475280Y1 (ko) 슬라이딩 결합식 백보드를 갖는 장식용 액자
KR200457671Y1 (ko) 광고판의 라이트 패널
KR200437482Y1 (ko) 액자형 틀체
KR20180074954A (ko)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CN203852120U (zh) 一种展示框
KR200416637Y1 (ko) 탄성 고정구를 갖는 액자
KR200151116Y1 (ko) 액자형 광고 장치의 프레임
US20060169692A1 (en) Frame lid and container assembly with frame lid
KR20100012760U (ko) 광고용 라이트 패널의 전면 개폐형 프레임
KR200173658Y1 (ko) 부착식 액자
KR200245967Y1 (ko) 액자
CN218914743U (zh) 一种线条灯透镜
KR101447691B1 (ko) 광고 간판 프레임용 모서리캡 및 상기 모서리캡을 이용한 광고 간판 프레임 장치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KR101702443B1 (ko) 다용도 액자
KR200439263Y1 (ko) 액자형 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2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216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430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