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9507Y1 - 화분 물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화분 물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507Y1
KR200279507Y1 KR2020020009485U KR20020009485U KR200279507Y1 KR 200279507 Y1 KR200279507 Y1 KR 200279507Y1 KR 2020020009485 U KR2020020009485 U KR 2020020009485U KR 20020009485 U KR20020009485 U KR 20020009485U KR 200279507 Y1 KR200279507 Y1 KR 200279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bucket
water supply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식
Original Assignee
김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식 filed Critical 김건식
Priority to KR2020020009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507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물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분을 받침 지지하는 화분받침부가 물을 저장하는 물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물통내의 물이 화분내에 필요량만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화분을 받침 지지하게 되는 물통의 물을 탈착 가능한 물공급기를 통해 물공급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다른 다수개의 화분에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화분에 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별도 제공되는 물 배수함을 통해 격리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식목된 꽃의 성장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분 물공급 장치{A FLOWERPOT WATER INJECTION SYSTEM}
본 고안은 화분 물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게형의 물공급기를 통해 화분에 물이 적정량 간편하게 공급되도록 하고 또한 화분을 통해 배수된 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된 물이 배수함을 통해 저장되어 자연증발 및 관리자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화분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분 물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용기형상의 내부에 흙을 관상용 꽃을 심어 주변 미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며, 통상 건물 또는 주거공간에서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화분에 심어진 꽃은 성장을 위해 적당한 양의 수분을 요구하게 되며 관리자는 적정 시기에 화분내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관리자의 소홀 즉 필요시 물을 공급하지 않거나 또는 필요량 이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어 꽃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자동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다수 출원된 바 있다.
제1실시예로서, 1993년 6월 8일자로 출원되어 공개된 "화분 및 분재의 자동 급수기"가 1995년 1월 3일자로 공개(제95-30호)된 바 있으며, 이는 급수관과 연결된 분배기에서 다수개의 호스가 여러개의 화분에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로,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관리자가 물공급조절부를 체크하여 물의 공급량을 조절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제2실시예로서, 1994년 6월 13일자로 출원되어 공개된 "화분 자동 급수장치의 제어회로"가 1996년 1월 17일자로 공개(제96-49호)된 바 있으며, 이는 화분을 받침 지지하며 내부의 물을 저장하여 이 물을 펌프를 통해 호스를 이용하여 화분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이 물은 회로에 의해 셋팅값에 따라 물을 공급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구조는 저수조가 하나의 화분만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문제점이 있다.
제3실시예로서,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01년 5월 2일자로 "급수장치를 갖는 화분"이 출원되어 제241179호로 등록된 바 있다.
이는, 화분내에 물 공급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화분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물저장부와 식목부를 이루도록 보조화분을 갖는 몸체와, 물저장부의 물을 펌핑시키는 펌프와, 펌프에서 유출된 물을 보조화분을 통과하여 식목부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파이프와, 펌프에서 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셋팅값에 따라 펌프를 통해 보조화분에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화분 일체형의 급수장치는, 별도의 화분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하나의 화분 역할 만 수행하게 됨에 따라 다른 화분의 물공급시에는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 그리고 보조화분내의 물배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분을 받침 지지하는 화분받침부가 물을 저장하는 물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물통내의 물이 화분내에 필요량만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분을 받침 지지하게 되는 물통의 물을 탈착 가능한 물공급기를 통해 물공급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다른 다수개의 화분에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분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통해 화분내의 물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이를 통해 화분내의 물 공급량을 선택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수된 물을 격리 보관하여 물통의 고정상태에서도 배수된 물을 간편하게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물공급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물통 110: 물 저장공간
120: 구획판 130: 안착홈
140: 물 안내부재 142: 호스홀
200: 화분받침판 210: 돌출턱
220: 물 배수용 유도홈 230: 센서
300: 물 배수함 400: 물 공급기
410: 호스 420: 집게
430: 제1회동바 440: 제2회동바
450: 노즐체 460: 커버체
470: 연결바 500: 수중펌프
600: 표시부 700: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화분 물공급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향 개방된 물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내벽 일측에 상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홀이 형성된 물 안내부재가 격리 구비되는 물통; 물통 상측을 커버하며 올려진 화분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일정위치로 흐를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물 배수용 유도홈을 형성하는 화분받침판; 상기 물 유도홈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낙하 저장되도록 상기 물통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는 물 배수함; 상기 물통의 화분받침판 외측 테두리 또는 화분받침판에 올려진 화분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결합된 호스를 통해 물통내의 물을 화분내에 공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공급기; 상기 물통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인가시 물통내벽에 제공된 물안내부재에 물을 펌핑 공급시켜 호스홀을 통해 연결된 상기 물공급기의 호스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수중펌프; 상기 물통의 외측에 제공되며 노출면에 복수개의 입력버튼이 구비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입력버튼 누룸시 메모리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물공급기는, 상기 화분받침판의 테두리를 따라 제공되는 돌출턱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집게와, 상기 집게의 일측 날개에 고정되며 타단에 원형볼이 형성되는 제1회동바와, 일측에 상기 호스의 단부가 고정되고 타단에 호스를 통한 물이 분사공급되도록 노즐를 가지며 외주면에 노출단으로 원형볼이 돌출된 제2회동바를 갖는 노즐체와, 양단에 원형볼이 형성되어 커버체를 통해 각기 제1 및 제2회동바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연결바로 구성한다.
상기 커버체는, 상기 제1 및 제2회동바 그리고 연결바의 원형볼들이 내측에서 소정각도 슬라이드 회동될 수 있도록 안내홈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지며 구비되도록 하여 이들이 커버체에 의해 다단 관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 배수용 유도홈에 물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센싱 입력값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수중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물공급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물공급 장치를 분해시켜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으로서 화분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물 배수함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화분 물공급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100)과, 물통(100) 상측을 커버하는 화분받침판(200)과, 화분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회수하는 물 배수함(300)과, 물통(100)의 물을 화분에 공급하게 되는 물공급기(400)와, 물통(100)내의 물을 펌핑시켜 물공급기(400)로 공급하게 되는 수중펌프(500)와, 복수의 입력버튼이 제공되는 표시부(600)와, 입력버튼의 입력값에 따라 수중펌프(500)를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통(100)은, 합성수지재로 내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물 저장공간(110)이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110)에는 구획 및 상면에 제공되는 화분받침판(200)의 수직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획판(120)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형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외형을 가진다. 그리고 외면 일측에는 상기 물배수함(300)이 슬라이드 밀착 삽입되도록 외향으로 개방된 안착홈(130)이 소정폭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30)의 일측에는 물 저장공간(110)의 바닥 즉 수중펌프(500)의 위치로 통하게 되는 수직한 물 안내부재(1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물 안내부재(140)의 상면에는 호스의 단부 고정을 위한 복수개의 호스홀(14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물 배수함(300)은, 상기 화분받침판(200)의 상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낙하 저장되도록 상기 물통(100)의 안착홈(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화분받침판(200)은, 상기 물통(100) 상측을 커버하며 상면에 화분을 올려놓게 되는 것으로 상면 일측에는 올려진 화분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외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물 배수용 유도홈(220)이 형성되고, 외측단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물 공급기(400)를 고정 또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턱(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 배수용 유도홈(220)은, 상기 화분받침판(200)의 상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크게 배열된 복수개의 원형홈과, 이 원형홈의 중심으로 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기 원형홈들과 접하여 물이 흐를수 있도록 경사진 경사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홈의 라인 출구에는 물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230)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230)는 센싱된 물 유동상태의 입력값을 제어부(700)로 출력시켜 수중펌프(5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공급기(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물통(100)의 화분받침판(200) 외측 테두리의 돌출턱(210) 또는 꽃이 식모된 화분의 상단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결합된 호스(410)를 통해 물통(100)내의 물을 화분내에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화분 또는 돌출된 돌출턱(21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집게(420)와, 상기 집게(420)의 일측 날개에 고정되며 타단에 원형볼(431)이 형성되는 제1회동바(430)와, 일측에 상기 호스(410)의 단부가 고정되고 타단에 호스(410)를 통한 물이 분사 공급되도록 노즐(441)를 가지며 외주면에 노출단으로 원형볼(442)이 돌출된 제2회동바(440)를 갖는 노즐체(450)와, 양단에 원형볼이 형성되어 커버체(460)를 통해 각기 제1 및 제2회동바(430)(440)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연결바(47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체(460)는, 상기 제1 및 제2회동바(430)(440) 그리고 연결바(470)의 원형볼들이 내측에서 소정각도 슬라이드 회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슬라이드 안내홈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바(4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지며 구비되도록 하여 이들이 커버체(460)에 의해 다단 관절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공급기(400)는 화분받침판(200)에 올려진 화분 뿐만 아니라 집게(420)를 통해 주변 화분에도 연장시켜 고정 사용함이 가능하게 된다. 즉 집게(420)를 돌출부위에 고정시킨 후 연결바(470)를 중심으로 한 상하측 제1 및 제2회동바(430)(440)를 회동시키게 되면 이들을 연결하는 원형볼이 커버체(460)내에서 슬라이드 회동하게 되어 작업자는 노즐체(45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중펌프(500)는, 상기 물통(100)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 인가시 상기물통(100) 내의 물을 펌핑시켜 상기 물공급기(400)의 호스(41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표시부(600)는, 상기 물통(100)의 외측에 제공되며 노출면에 물공급량, 물공급주기, 물공급시간 등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입력버튼(610)이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표시부(600)의 입력버튼(610) 누룸시 메모리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5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물공급 장치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분이 배치될 장소에 물통(100)을 위치시키고 동시에 상기 물통(100)내에 적정량의 물을 저장시킨 다음 화분받침판(200)으로 물통(100)을 커버하고 연속해서 물공급기(400)의 노즐체(450)와 물안내부재(140)의 호스홀(142)을 호스(410)로 각각 연결시킨후 상기 화분받침판(200)의 상면에 화분을 올려놓는다. 그런다음 물공급기(400)의 하단 집게(420)를 화분받침판(200)에 올려진 화분 또는 주변에 다른 화분이 위치되는 경우 다른 화분에 고정시킨후 노즐체(450)의 노즐(441)이 화분내를 향하도록 절곡시켜 고정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사용시에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600)의 입력버튼(610) 중 원하는 버튼을 선택하여 누루게 되면 상기 입력버튼(61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값을 통해 제어부(700)가 수중펌프(500)를 작동하게 되고, 상기 수중펌프(500)는 물통(100)내의 물을 펌핑시켜 호스(410)를 통해 물공급기(400)로 물을 공급하게 되고 연속해서이송되는 물은 선단의 노즐(441)을 통해 화분내로 분사되며, 이후 화분내에 스며든 물이 화분내를 통해 화분받침판(200)의 상면으로 흘러내리게 되면 낙하된 물은 물 배수용 유도홈(220)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때 물 배수용 유도홈(220)에 구비된 센서(230)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값을 제어부(700)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700)는 메모리된 신호값에 따라 수중펌프(500)를 온/오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물 배수용 유도홈(220)을 따라 배수되는 물은 물 배수함(300)으로 낙하하게 되고, 관리자는 물 배수함(300)의 물이 일정 수위를 넘어서게 되면 물통(100)으로부터 분리시켜 재사용 또는 버리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물공급 장치는, 화분을 받침 지지하는 화분받침부가 물을 저장하는 물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물통내의 물이 화분내에 필요량만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 급수 및 외관의 미려함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통의 물을 탈착 가능한 물공급기를 통해 화분내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동시에 물공급장치가 설치되지 않는 다른 다수개의 화분에도 적용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부에 구비된 입력버튼을 누룸에 따라 물공급량을 미리 설정 또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분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통해 화분내의 물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이를 통해 화분내의 물 공급량을 선택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수된 물이 격리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물통의 고정상태에서도 배수된 물을 간편하게 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화분 물공급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향 개방된 물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내벽 일측에 상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홀이 형성된 물 안내부재가 격리 구비되는 물통;
    물통 상측을 커버하며 올려진 화분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일정위치로 흐를 수 있도록 상면 일측에 물 배수용 유도홈을 형성하는 화분받침판;
    상기 물 유도홈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낙하 저장되도록 상기 물통의 외측에 분리가능하게 안착 결합되는 물 배수함;
    상기 물통의 화분받침판 외측 테두리 또는 화분받침판에 올려진 화분 테두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결합된 호스를 통해 물통내의 물을 화분내에 공급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공급기;
    상기 물통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인가시 물통 내벽에 제공된 물 안내부재에 물을 펌핑 공급시켜 호스홀을 통해 이와 연결된 상기 물공급기의 호스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 수중펌프;
    상기 물통의 외측에 제공되며, 노출면에 복수개의 입력버튼이 구비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입력버튼 누룸시 메모리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수중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물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기는, 상기 화분받침판의 테두리 또는 화분의 상측 테두리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집게와, 상기 집게의 일측 날개에 고정되며 타단에 원형볼이 형성되는 제1회동바와, 일측에 상기 호스의 단부가 고정되고 타단에 호스를 통한 물이 분사공급되도록 노즐를 가지며 외주면에 노출단으로 원형볼이 돌출된 제2회동바를 갖는 노즐체와, 양단에 원형볼이 형성되어 커버체를 통해 각기 제1 및 제2회동바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되는 연결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물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제1 및 제2회동바 그리고 연결바의 원형볼들이 내측에서 소정각도 슬라이드 회동될 수 있도록 안내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물공급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지며 구비되도록 하여 이들이 커버체에 의해 다단 관절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물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수용 유도홈에 물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센싱 입력값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수중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물공급 장치.
KR2020020009485U 2002-03-29 2002-03-29 화분 물공급 장치 KR200279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85U KR200279507Y1 (ko) 2002-03-29 2002-03-29 화분 물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85U KR200279507Y1 (ko) 2002-03-29 2002-03-29 화분 물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507Y1 true KR200279507Y1 (ko) 2002-06-24

Family

ID=7312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85U KR200279507Y1 (ko) 2002-03-29 2002-03-29 화분 물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5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191A (ko) * 2014-05-28 2015-12-09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191A (ko) * 2014-05-28 2015-12-09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KR102225177B1 (ko) * 2014-05-28 2021-03-10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6239A (en) Elevated plant watering hanger
KR101864228B1 (ko)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
US5329729A (en) Plant irrigation system
CN105265217A (zh) 一种智能花盆
KR200453179Y1 (ko) 회전식 다층 화분 받침대
US20080135647A1 (en) Drip Irrigation Devices
CN105266479A (zh) 一种智能花盆架
KR100991332B1 (ko) 가로등 화분의 급수장치
KR200279507Y1 (ko) 화분 물공급 장치
JP2004008169A (ja) 鉢収容空間用自動給水セット
AU2013311431B2 (en) Improvements in water storage devices and apparatuses therefor
CN205306579U (zh) 一种智能花盆架
KR20090020887A (ko) 다단식 식물재배기
KR20090123372A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JPH05137471A (ja) 吊下げ植木鉢用給水システム
KR102073242B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JP2930545B2 (ja) 植木鉢用灌水装置
KR20180003666U (ko) 화분받침대
CN208972120U (zh) 一种家用蔬菜种植盆
US20070084109A1 (en) Plant pot with irrigation control
RU225125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рошения растений в горшках
KR200411248Y1 (ko) 화분의 물 자동 공급장치
KR200348057Y1 (ko) 물받침대가 필요없는 화분
JPH10113081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木棚
JP3803711B2 (ja) 育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3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3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