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141Y1 -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 Google Patents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8141Y1 KR200278141Y1 KR2020020006079U KR20020006079U KR200278141Y1 KR 200278141 Y1 KR200278141 Y1 KR 200278141Y1 KR 2020020006079 U KR2020020006079 U KR 2020020006079U KR 20020006079 U KR20020006079 U KR 20020006079U KR 200278141 Y1 KR200278141 Y1 KR 2002781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piece
- locking
- heel
- slid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의 뒷부분에 형성된 뒤축이 중창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구두의 뒤축이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신고 벗을 때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에 관한 것으로써, 구두굽이 형성된 밑창과 그에 적층되는 중창의 상면에는 발을 커버할 수 있도록 뒤축이 후방으로 형성된 본체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중창의 일측 끝단으로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에는 이중으로 단차진 걸림턱부가 형성된 이동공간부가 내측으로 형성된 슬라이드본체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턱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편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의 일측에는 가압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편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된 걸림부재가 상기 슬라이드본체의 내,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버는 일측이 개방된 양끝단으로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뒤축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편과 대응되는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일측에는 스프링이 상기 가압편을 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가압편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됨으로써, 착용자가 상기 구두를 쉽게 신고, 벗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구두를 착용할 때 발에 의하여 상기 뒤축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의 뒷부분에 형성된 뒤축이 중창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구두의 뒤축이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신고 벗을 때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장인들은 정장 옷차림에 어울리는 신발을 신을 때는 구두를 많이 착용한다.
그러므로, 상기 구두의 외형은 심플하게 디자인하여 정장 옷차림에 어울리게 형성하고, 구두가 사용자의 발 형태에 밀착, 착용되기 위하여 상기 구두를 끈을 조여서 묶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두를 벗고 신을 때 일일이 끈을 풀거나 묶어야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끈이 형성되지 않은 신발이 고안되었지만 반복적으로 신발을 신고 벗으면 신발이 늘어나 버림으로 인하여 자주 새 신발을 구입해야 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정장의 옷차림에도 잘 어울리면서 구두의 뒤축이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는 구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두굽이 형성된 밑창과 그에 적층되는 중창의 상면에는 발을 커버할 수 있도록 뒤축이 후방으로 형성된 본체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중창의 일측 끝단으로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에는 이중으로 단차진 걸림턱부가 형성된 이동공간부가 내측으로 형성된 슬라이드본체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턱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편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의 일측에는 가압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편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된 걸림부재가 상기 슬라이드본체의 내,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버는 일측이 개방된 양끝단으로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뒤축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편과 대응되는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의 일측에는 스프링이 상기 가압편을 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가압편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뒤축이 슬라이드 되기 위한 준비단계를 보인 단면도.
도 3b는 뒤축이 슬라이드 되는 단면도.
1 : 본체커버
11 : 체결홈 12 : 설치홈
2 : 슬라이드부
21 : 슬라이드본체
21a : 이동공간부 21b : 걸림턱부
22 : 걸림부재
22a : 걸림편 220a : 걸림돌기
22b : 지지편 220b : 가압편
3 : 뒤축
31 : 체결돌기 이동홈
4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구두(100)는 구두굽(110a)이 형성된 밑창(110)과 그에 적층되는 중창(120)의 상면으로 발을 수용하고 커버할 수 있는 본체커버(1)에는 그 후방으로 뒤축(3)이 탈, 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창(120)의 일측 후방으로 설치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2)에 대응되어 고정되는 슬라이드부(2)가 상기 뒤축(3)과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커버(1)는 내부에는 발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동시에 발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중창(120)의 상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커버(1)의 후방은 개방되게 형성되며, 개방된 상기 본체커버(1)의 단면에는 체결홈(1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뒤축(3)은 발의 뒷꿈치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상기 체결홈(11)과 대응되는 체결돌기(3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31)가 상기 체결홈(11)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뒤축(3)의 하단에는 상기 중창(120)과 상호 슬라이드를 하기 때문에 재질을 좀더 단단하게 형성하거나 보강재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2)에 형성된 지지편(22b)이 상기 뒤축(3)을 지지하면서 상, 하 이동되도록 상기 뒤축(3)의 후방 내측으로 이동홈(3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2b)의 끝단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가압편(220b)이 상기 뒤축(3)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이동홈(32)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편(22b)은 상기 이동홈(32)에 형성된 스프링(4)으로 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는 상기 중창(12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설치홈(12)에 대응되는 슬라이드본체(21)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걸림부재(2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22)는 상기 슬라이드본체(21)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편(22b)이형성되고, 상기 지지편(22b)의 끝단으로 형성된 상기 가압편(220b)이 절곡되게 형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슬라이드부(2)는 슬라이드본체(21)와 그 내측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걸림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본체(21)의 내측으로 이동공간부(21a)가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간부(21a)의 하면에는 이중으로 단차진 걸림턱부(21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22)는 상기 걸림턱부(21b)와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편(22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22a)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220a)가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지지편(22b)이 수직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22b)의 끝단에는 가압편(220b)이 절곡되게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걸림턱부(21b)의 선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220a)가 걸리도록 상기 걸림편(22a)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편(22b)은 상기 슬라이드본체(21)로부터 수직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220a)가 상기 걸림턱부(21b)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걸림편(22a)의 단차진면이 상기 걸림턱부(21b)의 두번째로 형성된 단차진턱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편(22a)이 상기 걸림턱부(21b)에 이중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뒤축이 슬라이드 준비단계인 단면도와 도 3b는 뒤축이 슬라이드 되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뒤축(3)에 형성된 이동홈(32)에는 상기 지지편(22b)이 상기 스프링(4)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중창(120)에는 상기 슬라이드본체(21)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체결돌기(31)가 상기 체결홈(11)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커버(1)에 상기 뒤축(3)이 고정된다.
착용자가 상기 구두(100)를 신거나 벗을 때에는 상기 가압편(220b)을 상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걸림편(22a)이 상기 걸림턱부(21b)로부터 이탈되게 형성된다.
그 다음에는, 상기 뒤축(3)을 손으로 파지한 후 상기 중창(120)의 상면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커버(1)로부터 상기 뒤축(3)이 분리되어 착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구두(100)를 신거나 벗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두의 중창 후단부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으로 슬라이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된 구두의 뒤축이 상기 구두의 본체커버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탈, 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뒤축이 전, 후방으로 이동되어 구두에 발이 착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확장됨으로써, 착용자가 상기 구두를 쉽게 신고, 벗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구두를 착용할 때 발에 의하여 상기 뒤축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구두굽(110a)이 형성된 밑창(110)과 그에 적층되는 중창(120)의 상면에는 발을 커버할 수 있도록 뒤축(3)이 후방으로 형성된 본체커버(1)로 구성된 구두(100)에 있어서,상기 중창(120)의 일측 끝단으로 설치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2)에는 이중으로 단차진 걸림턱부(21b)가 형성된 이동공간부(21a)가 내측으로 형성된 슬라이드본체(21)가 고정되며;상기 걸림턱부(21b)와 대응되게 형성된 걸림편(22a)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220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22a)의 일측에는 가압편(220b)이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편(22b)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된 걸림부재(22)가 상기 슬라이드본체(21)의 내, 외측으로 형성되며;상기 본체커버(1)는 일측이 개방된 양끝단으로 체결홈(11)이 각각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체결돌기(31)가 형성된 뒤축(3)의 내측으로 상기 지지편(22b)과 대응되는 이동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32)의 일측에는 스프링(220b)이 상기 가압편(220b)을 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가압편(220b)이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6079U KR200278141Y1 (ko) | 2002-02-28 | 2002-02-28 |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6079U KR200278141Y1 (ko) | 2002-02-28 | 2002-02-28 |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8141Y1 true KR200278141Y1 (ko) | 2002-06-20 |
Family
ID=7311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6079U KR200278141Y1 (ko) | 2002-02-28 | 2002-02-28 |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814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2479B1 (ko) | 2011-01-28 | 2012-12-14 | 이복규 | 착용이 간편한 신발 |
KR101841085B1 (ko) | 2017-06-16 | 2018-03-22 | 김남국 | 신기 편한 신발구조 |
-
2002
- 2002-02-28 KR KR2020020006079U patent/KR2002781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2479B1 (ko) | 2011-01-28 | 2012-12-14 | 이복규 | 착용이 간편한 신발 |
KR101841085B1 (ko) | 2017-06-16 | 2018-03-22 | 김남국 | 신기 편한 신발구조 |
WO2018230961A1 (ko) * | 2017-06-16 | 2018-12-20 | 김남국 | 신기 편한 신발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91940S1 (en) | Footwear | |
USD450437S1 (en) | Footwear midsole | |
USD536166S1 (en) | Shoe | |
EP2465373A1 (en) | Heel-supporting piece for a shoe | |
JP2002112804A (ja) | 靴 | |
USD503527S1 (en) | Portion of a shoe upper | |
CN1953677A (zh) | 用于可拆卸地固定鞋面的扣钩 | |
USD924550S1 (en) | Shoe upper | |
CA3174621A1 (en) | Boot and tongue closure | |
EP3744203B1 (en) | Shoe assembly | |
USD518946S1 (en) | Toe cap for athletic footwear equipment | |
KR200278141Y1 (ko) |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 |
US20070094897A1 (en) | Fine dress and evening sandal with variable color and ornamentation | |
KR101038052B1 (ko) | 신발 바닥의 구조 | |
KR20110136507A (ko) | 조립식 구두 | |
JP2001008703A (ja) | 履き物 | |
KR20190001179U (ko) | 신발용 악세서리 | |
KR200346303Y1 (ko) | 신발 밑창 구조 | |
USD575042S1 (en) | Heel and sole for shoe | |
CN105288989A (zh) | 便于穿脱的轮滑鞋鞋壳 | |
JP3107586U (ja) | 履き物 | |
KR200163313Y1 (ko) | 슬리퍼 | |
CN218500116U (zh) | 一种易提拉鞋舌的运动鞋 | |
CN214016238U (zh) | 一种新型休闲徒步老年鞋 | |
KR200259660Y1 (ko) | 선회 카운터 부분을 갖춘 신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22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205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