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249Y1 -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 Google Patents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7249Y1 KR200277249Y1 KR2020020005091U KR20020005091U KR200277249Y1 KR 200277249 Y1 KR200277249 Y1 KR 200277249Y1 KR 2020020005091 U KR2020020005091 U KR 2020020005091U KR 20020005091 U KR20020005091 U KR 20020005091U KR 200277249 Y1 KR200277249 Y1 KR 2002772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se
- pins
- jaw
- jaws
- ratchet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356860 Pterygotrigla polyommata Species 0.000 title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물을 조일 때, 가장 큰 회전력을 줄 수 있는 구간에서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이스의 큰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조오스핀들을 소정각도 정,역회전시키는 반복적인 조작만으로 고정물을 조이거나 푸는 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이스의 사용이 편리해지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오스핀들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의 회전지름 보다도 좁은 공간에서도 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래칫핸들부착 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래칫핸들부착 바이스는, 고정물을 조이거나 푸는 조작을 위해 회전되는 조오스핀들(14)의 끝단면에 사각구멍(14a)을 축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하고, 이 사각구멍(14a)에 일방향회전수단인 래칫기구(21)가 구비된 래칫핸들(20)의 사각돌기(22)를 결합하여 고정나사(23)로 조오스핀들(14)과 사각돌기(2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한 구성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회전수단인 래칫핸들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바이스는 고정물의 가공시 고정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본체 (1)의 한쪽에는 고정측 조오(2)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측 조오(2)와 마주보는 대향측에는 이동측 조오(3)가 배치되고, 이 이동측 조오(3)는 조오스핀들(4)의 한쪽 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조오스핀들(4)의 다른쪽 끝단에는 관통구멍(5)이 형성되고 본체(1)와 나사맞춤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관통구멍(5)에 기다란 봉형상의 레버(6)가 끼워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이스는 고정측 조오(2)와 이동측 조오(3)사이에 고정물을 위치시키고, 도 1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레버(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오스핀들(4)과 본체(1)가 나사맞춤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동측 조오 (3)가 고정측 조오(2)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물을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바이스는, 고정물을 조이거나 풀 때, 레버(6)를 회전시키는 조작이 매우 불편하고, 회전력도 크게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물을 조이기 위한 레버(6)의 회전방향이 시계반대방향이라고 가정하면, 일반적으로 회전력을 가장 크게 할 수 있는 구간이 a구간이고, b구간에서는 큰 회전력을 주기 어렵다.
따라서, 고정물을 조일 때는 레버(6)를 a구간의 끝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레버(6)를 조오스핀들(4)의 관통구멍(5)을 통해 가상선 L2에서 L3 위치로 밀어 올려 불필요한 회전구간(b구간-c구간)을 단축시킨 후, 다시 c구간에서 a구간으로 회전시켜 조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이스는, 고정물을 조일 때, 가장 큰 회전력을 줄 수 있는 a구간만 회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고, 큰 회전력을 줄 수 없는 c구간에서도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바이스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b구간과 같이 불필요한 구간에서 회전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레버(6)를 L2위치에서 L3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회전조작이 매우 번거롭고, 특히 레버(6)의 회전지름보다 좁은 공간에서 고정물을 고정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는 레버(6)의 회전조작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시간을 지연시킬 뿐만아니라, 고정작업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물을 조일 때, 가장 큰 회전력을 줄 수 있는 구간에서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이스의 큰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조오스핀들을 소정각도 정,역회전시키는 반복적인 조작만으로 고정물을 조이거나 푸는 조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이스의 사용이 편리해지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오스핀들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의 회전지름 보다도 좁은 공간에서도 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래칫핸들부착 바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바이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바이스의 레버 회전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래칫핸들 부착 바이스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2 : 고정측 조오
13 : 이동측 조오 14 : 조오스핀들
14a : 사각구멍 14b : 나사고정구멍
14c : 육각형상부 14d : 관통구멍
20 : 래칫핸들 21 : 래칫기구
22 : 사각돌기 23 : 고정나사
상기의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한쪽에 고정된 고정측 조오와, 이 고정측 조오와 마주하는 대향측에 배치된 이동측 조오와, 상기 이동측 조오가 한쪽 끝단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단은 본체를 나사맞춤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조오스핀들으로 구성되어 고정측 조오와 이동측 조오 사이에 고정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조오스핀들의 끝단면에 사각구멍을 축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하고, 이 사각구멍에 일방향회전수단인 래칫기구가 구비된 래칫핸들의 사각돌기를 결합하여 고정나사로 조오스핀들과 사각돌기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핸들부착 바이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오스핀들의 끝단부분은 단면이 육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끝단부분에 기존의 레버를 삽입시킬 수 있는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래칫핸들부착 바이스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래칫핸들부착 바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의 한쪽에는 고정측 조오(12)가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측 조오(12)와 마주하는 대향측에는 이동측 조오(13)가 배치되어 조오스핀들(14)의 한쪽 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조오스핀들(14)의 다른쪽 끝단은 본체(11)를 나사맞춤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이 조오스핀들(14)의 다른쪽 끝단에 일방향회전수단인 래칫기구(21)를 구비하는 통상의 래칫핸들(2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오스핀들(14)의 끝단면에 조오스핀들(14)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사각구멍(14a)을 소정깊이로 형성하고, 이 사각구멍(14a)에 통상의 래칫핸들(20)에 구비된 사각돌기(22)를 끼워 결합한다. 또한 조오스핀들(14)에 사각구멍(14a)으로 관통되는 나사고정구멍(14b)을 조오스핀들 (14)의 반경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나사고정구멍(14b)에 고정나사(23)를 나사결합하여 조오스핀들(14)에 대하여 사각돌기(22)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함으로써 래칫핸들(2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한 구성이다. 이때, 고정나사(23)의 머리부는 조오스핀들(14)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래칫핸들(20)은 주지의 것으로, 일방향회전수단인 래칫기구(21)(주지의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고, 이 래칫기구(21)로부터 사각돌기(22)가 돌출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바이스의 조오스핀들(14)을 래칫핸들 (20)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물을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래칫핸들(20) 고정측의 조오스핀들 끝부분은 육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육각형상부(14c)가 형성되어 있고, 그 근방에 조오스핀들(14)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4d)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고정물을 조이거나 풀기 위한 조오스핀들(14)의 회전조작이 래칫핸들(20)에 의해 수행되므로, 이 래칫핸들(20)의 일방향회전기능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회전력을 줄 수 있는 a구간에서만 반복적으로 정,역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인해 고정물을 조이거나 풀 때 실질적으로 큰 회전력이 필요한 a구간에서만 조오스핀들(14)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불필요한 b구간 및 c구간의 회전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회전력을 효율적 사용할 수 있어 큰 회전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종전과 같이 불필요한 b구간 c구간에서의 회전이 제거되어 조오스핀들 (14)의 회전조작이 편리해짐에 따라 작업능률 및 회전조작시간이 단축되며, 래칫핸들(20)을 360도 회전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래칫핸들(20)의 회전지름보다 좁은 공간에서의 잡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조오스핀들(14)과 래칫핸들(20)의 고정돌기(22)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나사(23)를 풀고 조이는 것에 의해 래칫핸들(2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조오스핀들(14)의 끝단부분에 형성된 육각형상부(14c)에 의해서는 스패너등의 다른 공구를 이용하여 조오스핀들(14)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조오스핀들(14)의 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4d)으로는 종전의 레버를 끼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조오스핀들을 다양한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래칫핸들부착 바이스에 의하면, 고정물을 조이거나 풀기 위해 조오스핀들을 회전시킬 때, 회전력을 가장 크게 작용할 수 있는 구간에서만 정,역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바이스의 고정력을 크게 작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오스핀들의 회전시 불필요한 구간에서의 회전이 제거됨으로써 회전조작이 편리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180도 이상의 회전이 불필요하므로 좁은 공간에서의 작업이 향상된다.
그리고 착탈가능하게 된 래칫핸들외에도 스패너 또는 기존의 레버를 사용할 수 있어 조오스핀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의 사용범위가 넓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한쪽에 고정된 고정측 조오와, 이 고정측 조오와 마주하는 대향측에 배치된 이동측 조오와, 상기 이동측 조오가 한쪽 끝단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단은 본체를 나사맞춤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조오스핀들으로 구성되어 고정측 조오와 이동측 조오 사이에 고정물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바이스에 있어서,상기 조오스핀들(14)의 끝단면에 사각구멍(14a)을 축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하고, 이 사각구멍(14a)에 일방향회전수단인 래칫기구(21)가 구비된 래칫핸들 (20)의 사각돌기(22)를 결합하여 고정나사(23)로 조오스핀들(14)과 사각돌기(2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오스핀들(14) 끝단부분은 단면이 육각인 육각형상부(14c)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5091U KR200277249Y1 (ko) | 2002-02-21 | 2002-02-21 |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5091U KR200277249Y1 (ko) | 2002-02-21 | 2002-02-21 |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7249Y1 true KR200277249Y1 (ko) | 2002-06-03 |
Family
ID=7307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5091U KR200277249Y1 (ko) | 2002-02-21 | 2002-02-21 |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7249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946B1 (ko) * | 2020-01-02 | 2020-10-12 | 임성수 | 바이스 핸들부용 연결기 |
KR20230074960A (ko) * | 2021-11-22 | 2023-05-31 | 강지윤 | 탈착식 테이블 다리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
-
2002
- 2002-02-21 KR KR2020020005091U patent/KR2002772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3946B1 (ko) * | 2020-01-02 | 2020-10-12 | 임성수 | 바이스 핸들부용 연결기 |
KR20230074960A (ko) * | 2021-11-22 | 2023-05-31 | 강지윤 | 탈착식 테이블 다리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
KR102660868B1 (ko) * | 2021-11-22 | 2024-04-25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엔엠에스 | 탈착식 테이블 다리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0562B1 (ko) | 선회하는 핸들링 암을 구비하는 죄임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장비 | |
US6138531A (en) | Hand ratchet wrench | |
US20040159193A1 (en) | Wrench adaptor for driving screw driver bits | |
US3508455A (en) | Combination tool | |
US6745480B1 (en) | Saw having an angle adjustable blade | |
US6732615B2 (en) | Multiple-size nut driver | |
JP6415707B2 (ja) | ラチェット工具 | |
US6234049B1 (en) | Tool having a swing head rotatable within a small space | |
KR200277249Y1 (ko) | 래칫핸들부착 바이스 | |
US4831903A (en) | Close quarters multi-angle pipe wrench | |
KR100758324B1 (ko) |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 | |
US3724298A (en) | Reversible ratchet-type wrench | |
KR200277231Y1 (ko) | 래칫핸들부착 클램프 | |
US5251519A (en) | T-handle wrench kit | |
JP2006010062A (ja) | 確実な連結を保証する締め付け装置 | |
CA2599722C (en) | Adjustable ratchet wrench | |
US6739010B1 (en) | Combination tool having a hammer | |
JP3122984U (ja) | ラチェットドライバー | |
KR200261440Y1 (ko) | 복스회전기구가 구비된 스패너 | |
KR200278047Y1 (ko) | 드릴척의 척 핸들 | |
KR20090106136A (ko) | 몽키 스패너 | |
TWI564118B (zh) | 開口扳手結構 | |
CN210060924U (zh) | 开口棘轮扳手 | |
US20050145074A1 (en) | Ratchet wrench with removable tool head | |
KR200284923Y1 (ko) | 드릴척의 척핸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22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205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2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