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6467Y1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467Y1
KR200276467Y1 KR2019970010376U KR19970010376U KR200276467Y1 KR 200276467 Y1 KR200276467 Y1 KR 200276467Y1 KR 2019970010376 U KR2019970010376 U KR 2019970010376U KR 19970010376 U KR19970010376 U KR 19970010376U KR 200276467 Y1 KR200276467 Y1 KR 200276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case
suction port
air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019U (ko
Inventor
박석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10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46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46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61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with special measures
    • F04D29/227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with special measures for influencing flow or boundary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막곡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흡입구와,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로워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블로워를 회전시키는 모우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에 흡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벨마우스 부재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송풍기{Blower}
본 고안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송풍기 케이스의 흡입구가 개량된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송풍기는 송풍하는 방식 또는 설치되는 각종기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는데, 도 1에는 이러한 송풍기중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설치되는 시로코 팬(siroco fan) 타입 송풍기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밴딩된 케이싱(11)의 일측에 흡입구(11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 내부의 곡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토출구(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송풍 휠(20)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1)에 형성된 흡입구 측과 대향되는 측에는 상기 송풍휠(1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인 모우터(13)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송풍휠(12)은 상기 모우터(13)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본체(21a)와, 상기 본체(12a) 가장자리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브레이드(12b)와, 상기 각 브레이드(12b)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송풍 유니트는 상기 모우터(13)가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의 회전축에 설치된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휠(12)이 회전하여 케이스(11)의 흡입구(11a)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된 공기에 원심력을 가하여 토출구(11b)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구(11a)로부터 토출구(11b)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송풍휠(12)의 바닥면과 인접되는 측에서 가장빠르고 송풍휠(12)의 연결부재(12c)와 인접되는 측에서 가장 느리게 된다. 이러한 형상은 흡입구(11a)로부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2c)와 인접된 측의 브레이드(12b) 상부로 유입되는 양이 적기 때문이다. 특히 케이스(11)의 바닥면과 송풍휠(12)의 바닥면 사이와 흡입구(11a)와 연결부재(12c) 사이에서 와류가 발생되어 송풍기의 불균일 유동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와류 현상은 송풍기의 상대적인풍량 감소와 이상진동의 원인이 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스(11)의 흡입구(11a)의 가장자리와 송풍휠(12)의 상단부 사이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송풍휠(12)의 회전시 흡입구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케이스(11)내의 공기가 상기 송풍휠(12)과 흡입구(11a)의 가장자리 사이로 유출되어 다시 흡입구(11a)로 다시 흡입된다. 따라서 흡입구로의 공기 흡입을 방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송풍기는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송풍휠의 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여 휠의 내측의 단부가 인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구의 케이스 가장자리가 상기 인입부에 위치되도록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송풍기에 있어서는 상기 송풍휠의 회전에 의한 송풍시 송풍휠의 상단부와 흡입구의 가장자리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송풍기는 송풍휠의 단부에 흡입구에서의 공기 유입을 억제할 수 있으나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은 흡입구로의 공기 유입을 억제할 수 뿐만 아니라 흡입구로의 공기 유입속도를 저감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줄여 흡입구로의 공기 흡입저항을 줄일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송풍기의 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송풍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송풍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케이스 32; (케이스의 ) 흡입구
33; 토출구 34;만곡부
40; 모우터 50; 송풍휠
60; 가이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막곡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흡입구와,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로워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블로워를 회전시키는 모우터를 포함하여된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에 흡입구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링형의 벨마우스 부재(bellmouth part)와 상기 흡입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벨마우스부재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송풍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 송풍기(30)는 상하부 케이스(31a)(31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케이스(31)의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공간부(31c)가 형성되고, 케이스(31)의 상면과 측면에는 각각 흡입구(32)와 토출구(33)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31)의 상면에 형성된 흡입구(32)의 가장자리는 케이스의 공간부(31c) 내로 만곡되는 만곡부(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의 흡입구(32)와 대향되는 측의 케이스(31)에는 회전축(41)이 상기 공간부(31c)로 돌출되도록 구동수단인 모우터(40)가 설치되고, 상기 공간부(31c)의 내측으로 돌출된 회전축(41)에는 송풍휠(50)이 설치된다. 이 송풍 휠(50)은 그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41)과 결합되는 보스가 마련된 본체(51)와, 이 본체(51)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브레이드(52)와, 상기 각 브레이드(52)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32)에는 이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60)이 설치된다. 이 가이드 수단은 상기 흡입구(32)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송풍휠(40)의 브레이드(52) 측으로 가이드 하는 벨마우스 부재(61)과, 이 벨마우스 부재(61)와 흡입구(32)의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흡입구(32)에 대해 상기 벨마우스 부재(6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벨마우스 부재(61)은 상기 흡입구(32)의 직경보다 작은 직직경의 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형의 벨마우스 부재(61)의 단면은 흡입공기가 브레이드(52)측으로 유입되는 방향의 밴딩된 판상의 형상을 가진다. 여기에서 가이드 수단(60)은 링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곡률을 가진 것의 형상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벨마우스 부재(61)의 중심은 상기 흡입구(32)의 중심과 일치되지 않고 흡입구(32)로 흡입되는 유동공기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송풍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모우터(40)가 회전함에 따라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 휠(50)이 회전하여 흡입구(32)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토출구(31c)를 통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송풍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구(31b)에는 가이드수단(60)인 벨마우스 부재(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 현상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흡입구(32)로 유입되는 공기는 송풍휠의 회전에 의해 소용돌이 치면서 유입되는데, 흡입구에는 벨마우스 부재(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중앙부에 유입되는 공기와 흡입구(32)의 가장자리로 유입되는 공기를 구획함과 아울러 블레이드(52) 측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므로 흡입구(52)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송풍기는 케이스의 흡입구에 벨마우스 부재가 설치되어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억제하여 공기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풍휠을 따라 선회하는 와류현상을 방지하여 소음의 발생을 줄이고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막곡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흡입구와, 송풍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블로워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블로워를 회전시키는 모우터를 포함하여된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흡입구에 흡입구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링형의 벨마우스 부재와, 상기 흡입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벨마우스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KR2019970010376U 1997-05-10 1997-05-10 송풍기 Expired - Lifetime KR200276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76U KR200276467Y1 (ko) 1997-05-10 1997-05-10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76U KR200276467Y1 (ko) 1997-05-10 1997-05-10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19U KR19980066019U (ko) 1998-12-05
KR200276467Y1 true KR200276467Y1 (ko) 2002-11-22

Family

ID=53898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376U Expired - Lifetime KR200276467Y1 (ko) 1997-05-10 1997-05-10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4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87A (ko) * 2001-11-22 2003-05-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동안내깃이 형성된 송풍기의 안전망
KR100889737B1 (ko) * 2002-12-27 2009-03-24 한라공조주식회사 송풍기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19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1342B2 (ja) 軸流ファン
JPH0886299A (ja) 遠心式送風機
KR100421382B1 (ko) 터보팬
JP4505885B2 (ja)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並びに空気清浄機
CN204783822U (zh) 离心鼓风机
JPH05302600A (ja) 遠心式送風機
KR100716207B1 (ko) 다익송풍기
KR200276467Y1 (ko) 송풍기
KR200273142Y1 (ko) 송풍기
JP3193222B2 (ja) 多翼送風機
KR100219696B1 (ko) 송풍기
KR19990056525A (ko) 송풍기 유니트
KR19990056524A (ko) 송풍기 유니트
KR20090115259A (ko) 송풍팬
JP3607769B2 (ja) 遠心形送風機
KR200236082Y1 (ko) 송풍기
JPH0925889A (ja) 遠心送風機
KR200160912Y1 (ko) 송풍기
CN215344175U (zh) 外转子电机支架、风机及吸油烟机
JP2005030349A (ja) 多翼ファン
KR100416777B1 (ko) 터보팬
KR20030010222A (ko) 터보시로코팬용 팬하우징
KR200153775Y1 (ko) 송풍기 유니트
KR200156663Y1 (ko) 공기조화 장치의 송풍기
JPH0315697A (ja) 軸流送風機の羽根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51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1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5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05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