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6297Y1 -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97Y1
KR200276297Y1 KR2020020004628U KR20020004628U KR200276297Y1 KR 200276297 Y1 KR200276297 Y1 KR 200276297Y1 KR 2020020004628 U KR2020020004628 U KR 2020020004628U KR 20020004628 U KR20020004628 U KR 20020004628U KR 200276297 Y1 KR200276297 Y1 KR 200276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rush holder
motor
holder
endb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노
Priority to KR2020020004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직류모터에 결합되는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는 모터 회전자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비롯한 회전자 축상에서 회전하는 정류자에 접촉되는 브러쉬가 장착되는 통상의 엔드벨 브러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드벨(10)의 중앙 양측부에 사각 통공으로 구성되어 내주면 상,하부로 단턱부(12)가 구비된 홀더 고정구(11)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고정구(11)에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브러쉬(30)가 삽입 고정된 브러쉬 고정부(21)와 그 하부로 한 쌍이 평행하게 연장형성되어 각 단부측에 걸림구(22)가 구비된 협지편(23)으로 이루어진 브러쉬 홀더(20)가 삽입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는 브러쉬 홀더가 별도 제작되어 간단한 조립에 의한 조립성이 우수해지고 그에 따른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음과 아울러 금형의 크기를 그만큼 줄일 수 있고 정확한 치수로 제작되어 조립됨으로써 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성능 저하나 소음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Structure for a fixing brush holder of an endbell}
본 고안은 자동차용 직류모터에 결합되는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직류모터의 회전자 축이 고정되는 엔드벨(Endbell) 상면의 홀더 고정구에 브러쉬가 삽입 고정된 브러쉬 홀더가 결합편에 의해서 협지 고정되도록 한 구조로써, 브러쉬 홀더를 별도 제작하여 엔드벨상에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브러쉬의 조립 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견고하게 브러쉬 홀더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모터는 입력받은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구동하게 되는 데, 상기 직류모터는 통상적으로 고정자와 회전자 그리고 정류자와 브러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구성부재로 이루어진 직류모터는 자동차의 에어펌프, 시트, 윈도우, 선-루프 및 와이퍼등의 구동부품에 적용되며, 상기 직류모터의 구성부재들이 회전자의 축을 받쳐주는 베어링이 결합된 엔드벨에 고정되고 엔드벨의 양측에 회전하는 정류자에 전류를 흘려주는 접촉물로써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 홀더가 구비된다.
이에, 자동차용 직류모터에 사용되는 종래의 브러쉬 홀더 구조를 아래 도시된 도1 내지 도2에 의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브러쉬 홀더부가 형성된 엔드벨의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의 브러쉬 홀더가 구비된 엔드벨의 단먼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브러시 홀더 구조는 사출 성형되는 엔드벨(1)의 상면 중앙부 양측에 엔드벨(1)과 일체로 형성된 브러쉬 홀더(2)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브러쉬 홀더(2)는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브러쉬 지지편(3)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지지편(3) 사이에 엔드벨(1) 중앙부에 결합되는 정류자에 접촉될 수 있도록 브러쉬(도면 미도시)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브러쉬 홀더가 구비된 엔드벨은 사출에 의한 강제 취출형의 브러쉬 포켓(brush pocket)이나 슬라이드 코어(slide core)를 이용한 방식에 의해서 성형되는 데, 상기 방식에 의한 성형은 금형의 구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 홀더(2)는 브러쉬를 한 쌍의 브러쉬 지지편(3) 사이에 삽입하고 밴딩이나 코킹 공정을 통해 마감하는 별도의 마감 공정이 요구됨으로써 브러쉬의 조립성이 떨어지게 되어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브러쉬 홀더(2)에 브러쉬를 삽입할 때 엔드벨(1)의 중앙부에서 브러쉬 지지편(3)을 통해 양측으로 브러쉬를 밀어넣게 됨으로써 정확하게 브러쉬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모터의 구동시 소음의 발생과 성능의 저하로 인한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브러쉬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종래 엔드벨의 구조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직류모터의 회전자 축을 고정시키는 엔드벨 상면 양측에 형성된 사각 통형의 홀더 고정구를 통해서 브러쉬가 삽입된 브러쉬 홀더가 협지 고정되도록 한 구조로써, 하부에 협지편이 구비된 브러쉬 홀더를 별도로 제작하여 홀더 고정구를 통한 손쉬운 조립에 의해서 브러쉬의 조립 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브러쉬 홀더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브러쉬 홀더부가 형성된 엔드벨의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브러쉬 홀더가 구비된 엔드벨의 단먼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엔드벨의 조립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 홀더가 조립된 앤드벨의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앤드벨의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 홀더의 단면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 홀더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엔드벨 11. 홀더 고정구
20. 브러쉬 홀더 21. 브러쉬 고정부
22. 협지편 23. 걸림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앤드벨 상면의 양측으로 사각 통형의 브러쉬홀더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홀더 고정구상에 삽입되는 협지편이 하부로 나란하게 연장형성되어 그 상부에 상면이 트인 함체형의 브러쉬 고정부가 구비된 브러쉬 홀더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엔드벨의 브러쉬홀더 고정구는 직사각형의 사각 통형으로 관통 형성되고 브러쉬 홀더의 협지편이 탄성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부가 구비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브러쉬홀더 고정구에 결합되는 브러쉬 홀더는 브러쉬가 삽입되는 사각함체형의 브러쉬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고정부 하부로 한 쌍의 협지편이 평행하게 연장형성된 구조이다.
본 고안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엔드벨의 조립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 홀더가 조립된 앤드벨의 평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앤드벨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는 앤드벨(10)의 양측부에 사각통형으로 구성되어 상,하 단부에 단턱부가 구비된 브러쉬홀더 고정구(11)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고정구(11)를 통해 상부에 브러쉬가 삽입되는 사각함체형의 브러쉬 고정부(21)가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 고정부(21)의 하부로 평행하게 연장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으로 걸림구(23)가 구비되고 소정의 탄성이 부여된 한 쌍의 협지편(22)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브러쉬홀더 고정구(11)는 직류모터의 회전자 축을 지지하는 엔드벨(10)의 중앙부 양측에 사각 통형의 형태로 관통 형성되고 내주면의 상,하부에 단턱부(12)가 구비되어 브러쉬 홀더(20)의 결합시 단턱면에 의한 압입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러쉬홀더 고정구(11)는 그 외주면 형상이 브러쉬홀더 고정구(11) 내부로 결합되는 브러쉬 홀더(20)의 브러쉬 고정부(21) 외주면 형상과 치수가 동일하도록 구성되고 브러쉬 고정부(21)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턱부(25)가 브러쉬홀더 고정구(11)의 상단 단턱부(12)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일체형으로 구성된 종래의 브러쉬 홀더와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외주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러쉬홀더 고정구(11)에 압입 고정되는 브러쉬 홀더(20)는 상부측에 브러쉬홀더 고정구(11)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의 사각함체로 구성된 브러쉬 고정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고정부(21)의 하부측으로 평행하게 한 쌍의 협지편(22)이 연장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협지편(22)은 하단부에 걸림구(23)가 구비되어 사각 통공의 홀더 고정구(11)에 삽입 결합되며, 상기 걸림구(23)가 홀더 고정구(11)의 단턱부(12)에 탄성적으로 장착됨으로써 브러쉬 홀더(2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엔드벨의 홀더 고정구에 결합되는 브러쉬 홀더의 구조를 아래 도시된 도6 내지 도7에 의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 홀더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 홀더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 홀더의 구조는 상면에 다수개의 돌기(24)가 구비되고 상면이 "∪"자 형태로 개구되어 내부에 브러쉬(30)가 삽입되는 사각함체 형태의 브러쉬 고정부(21)와, 상기 브러쉬 고정부(21) 하부측으로 한 쌍이 평행하게 연장형성되어 그 하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걸림구(23)가 구비된 협지편(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러쉬 고정부(21)는 그 하부의 협지편(22)이 브러쉬홀더 고정구(11)에 삽입되어 브러쉬홀더 고정구(1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브러쉬 고정부(21) 내부에 삽입된 브러쉬(30)가 엔드벨(10)의 중심에서 회전하는 정류자(도면 미도시)외주면에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협지편(22)은 소정의 탄성이 부여되어 브러쉬홀더 고정구(11)에 삽입됨에 따라서 브러쉬홀더 고정구(11) 내주면에 구비된 단턱부(12)에 협지편(22)의 걸림구(23)가 끼워 맞춤 형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브러쉬 홀더의 조립 공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드벨(10)과 별도 분리되어 제작되는 브러쉬 홀더(20)의 브러쉬 고정부(21)를 통해 브러쉬(30)를 장착하고 브러쉬 홀더(20)의 협지편(22)이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엔드벨(10)의 브러쉬홀더 고정구(11)에 삽입 고정시키게 되며, 엔드벨(10)의 중앙에 회전자의 축상에서 회전되는 정류자를 포함한 모터의 구성부재를 결합하여 브러쉬 타입의 직류모터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는 직류모터의 회전자 축이 고정되는 엔드벨의 양측면상에 관통 형성된 사각의 브러쉬홀더 고정구를 통해서 브러쉬 고정구상에 브러쉬가 결합된 브러쉬 홀더가 협지편의 탄성 인입에 의해 협지 고정되도록 한 구조로써, 브러쉬 홀더가 별도 제작되어 견고하게 조립됨에 따른 브러쉬 고정의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립에 의한 조립성이 우수해지고 그에 따른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는 엔드벨과 브러쉬 홀더가 금형에 의해서 제작될 때 성형성이 좋은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금형의 크기를 그만큼 줄일 수 있고 정확한 치수로 제작되어 조립됨으로써 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성능 저하나 소음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내면 중앙에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자축이 장착되고 회전자축의 외측으로는 회전자 축상에서 회전하는 정류자에 접촉되는 브러쉬의 고정을 위한 브러쉬 홀더가 장착되는 모터의 엔드벨에 있어서, 상기 엔드벨(10)의 내면 양측부 상하로 관통된 사각 통형을 이루며 상,하 단부 내주면 각각에 단턱부(12)가 구비된 브러쉬홀더 고정구(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홀더 고정구(11)의 내부로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브러쉬(30)가 삽입 고정된 브러쉬 고정부(21)와 그 하부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형성되고 각 단부에 걸림구(23)가 구비된 협지편(22)으로 이루어진 브러쉬 홀더(20)가 분리가능하게 삽입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홀더 고정구(11)의 상단 단턱부(12)에 브러쉬 고정부(21)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25)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KR2020020004628U 2002-02-16 2002-02-16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276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628U KR200276297Y1 (ko) 2002-02-16 2002-02-16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628U KR200276297Y1 (ko) 2002-02-16 2002-02-16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97Y1 true KR200276297Y1 (ko) 2002-05-21

Family

ID=7311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628U Expired - Lifetime KR200276297Y1 (ko) 2002-02-16 2002-02-16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674B1 (ko) * 2011-09-05 2013-01-16 동양기전 주식회사 팬 모터용 브러시 홀더 장치
KR20190113960A (ko) * 2017-03-15 2019-10-08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회전 전기 기계용 브러시 홀더
KR20200103362A (ko) * 2019-02-25 2020-09-02 (주)케이아이씨이엔지 브러시 모터 커버의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674B1 (ko) * 2011-09-05 2013-01-16 동양기전 주식회사 팬 모터용 브러시 홀더 장치
KR20190113960A (ko) * 2017-03-15 2019-10-08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회전 전기 기계용 브러시 홀더
KR102220795B1 (ko) * 2017-03-15 2021-02-25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회전 전기 기계용 브러시 홀더
KR20200103362A (ko) * 2019-02-25 2020-09-02 (주)케이아이씨이엔지 브러시 모터 커버의 제조장치
KR102183587B1 (ko) 2019-02-25 2020-11-26 (주)케이아이씨이엔지 브러시 모터 커버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5957B (zh) 致动器
US20120212080A1 (en) Permanent magnet motor
US6075301A (en) Compact motor
US20060284501A1 (en) Vibration motor
US4638203A (en) Attachment structure for brush holder springs
KR200276297Y1 (ko)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
CN101652915B (zh) 直流电机
JP3635611B2 (ja) 直流モータ及び直流モータを備えた電動工具
MY109195A (en) Miniature motor
KR20020018029A (ko) 회전전기의 브러시홀더장치
KR101078205B1 (ko) 플라스틱 부재
JPH0677465U (ja) 車両用ブロワ装置
KR940027252A (ko) 개선된 전기접속모듈을 갖는 전기모터
JPH0516857Y2 (ko)
KR950003404B1 (ko) 2전압용 청소기의 모우터
EP3863159B1 (en) Configuration for mounting an electronic control board to a brushed electric motor
KR100681316B1 (ko) 모터용 브러시 조립체
JP3300279B2 (ja) モータ
JPH08214508A (ja) ブラシ保持装置
GB2385212A (en) Assembling brush gear in a small-sized motor
JP2002325388A (ja) モータ
JP3642357B2 (ja) 掃除機用床ノズルの回転ロータ
KR101854756B1 (ko) 모터의 브러시홀더 일체형 시트플레이트
WO2025078922A1 (en) Electric motor structure especially for automotive applications
KR100397184B1 (ko) 팬 모터의 로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2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5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2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91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