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5894Y1 -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 - Google Patents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894Y1
KR200275894Y1 KR2020020006174U KR20020006174U KR200275894Y1 KR 200275894 Y1 KR200275894 Y1 KR 200275894Y1 KR 2020020006174 U KR2020020006174 U KR 2020020006174U KR 20020006174 U KR20020006174 U KR 20020006174U KR 200275894 Y1 KR200275894 Y1 KR 200275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pack chair
piece
fastening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상
Original Assignee
박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상 filed Critical 박기상
Priority to KR2020020006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894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이팩의자 시이트 저면에 착설되는 다리부착용 체결편 양측에 형성되고 양측 지지면에 안내지지돌기를 평행하게 돌설하고 전방 중앙에 체결나사공을 형성한 금속으로 되는 단면"┏┓"형 지지레일과; 팔걸이부와 지주를 형성하고 지주의 하부 내측으로 양측 하방에 슬라이딩 삽치홈을 길게 요설하고 상측 중앙에 간격조절공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한 결합편과; 상기한 체결나사공에 나착되어 결합편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봉을 구비하여, 하이팩 의자의 팔걸이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가 취부된 나사봉을 조작하여 간편하게 팔걸이를 조립하여 취부하거나 분해할 수 있게 하여 팔걸이가 있는 하이팩의자를 포장을 소형화하여 보관 및 운반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여 포장 운반비를 크게 절감하고, 제조 현장에서 누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여 팔걸이가 형성된 하이팩 의자의 조립생산을 능률적으로 실행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팔걸이의 폭을 자신의 체격에 따라 임의로 간단하게 조절하여 편안함 자세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하이팩의자의 팔걸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A arm rest device of reinforced plastic chair}
본 고안은 여러겹의 박판을 적층하고 이를 합성수지를 함침시켜서 고온 고압으로 성형되는 하이팩 의자의 팔걸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하이팩 의자의 팔걸이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가 취부된 나사봉을 조작하여 간편하게 팔걸이를 조립하여 취부하거나 분해할 수 있게 하여 팔걸이가 있는 하이팩의자를 포장을 소형화하여 보관 및 운반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여 포장 운반비를 크게 절감하고, 제조 현장에서 누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여 팔걸이가 형성된 하이팩 의자의 조립생산을 능률적으로 실행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팔걸이의 폭을 자신의 체격에 따라 임의로 간단하게 조절하여 편안함 자세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하이팩의자의 팔걸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하이팩의자에 팔걸이를 취부함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팩의자(100)의 좌판(101) 저면에 다리(회전식이나 고정식다리 등 모든 다리)(102)를 설치하기 위한 금속판상의 체결판(103)을 볼트(104)로 취부하고, 체결판(103)의 좌우측에 파이프상의 삽치관(105)(106)을 길게 평행한 상태로 취부하고. 이에 합성수지로된 팔걸이대(107)을 체결한 파이프상의 팔걸이지지대(108)를 좌우 양측에 삽치시켜 준 다음 볼트(109)로 고정하여 팔걸이(110)를 취부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팔걸이의 취부를 위한 프레이트의 구조는 실용신안등록 제220024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하이팩의자(100)의 팔걸이(110)를 구성하는 팔걸이대(107)와 파이프상의 팔걸이지지대(108) 그 대부분이 팔걸이대(107)는 합성수지 등으로 사출성형하던가 또는 우레탄폼등으로 발포성형하여 형성하고 팔걸이지지대(108)은 금속상의 파이프로 구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팔걸이(110)조립설치시 현장에서 팔걸이대 (107)와 팔걸이지지대(107)를 먼저 볼트(111)를 사용하여 일체로 체결하고 팔걸이지지대(107)의 양단부(107a)(107b)를 체결판(103)의 좌우 양측의 삽치관(105)의 선단에 끼운다음 고무망치등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두둘겨 가면서 삽치시켜 결합한 후 이들을 다시 볼트(109)로 고정시키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여 하이팩의자(100)에 팔걸이(110)을 취부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팔걸이를 취부함에 있어서는 일일이 작업자가 제작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복잡하고 전근대적인 작업으로 수행하게되어 많은 인력과 노고가 수반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결함을 지니고 있어 생산비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리 현장에서 하이팩의자(100)에 팔걸이(110)가 일체로 고정된 큰 부피를 지니는 상태로 출하되게 되므로서 포장에 많은 애로와 보관이나 운송비등의 물류비를 상승키는 등의 비경제적인 요인을 발생하고 있으며,하이팩의자(100)에 팔걸이(110)가 일체로 고정되어 설치되므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에 따라 팔걸이(110)의 폭을 조절하기가 거의 곤란하여 불편한 자세로 하이팩의자를 사용하게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결함을 해소하여 하이팩 의자의 팔걸이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가 취부된 나사봉을 조작하여 간편하게 팔걸이를 조립하여 취부하거나 분해할 수 있게 하여 팔걸이가 형성된 하이팩 의자의 조립생산을 능률적으로 실행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팔걸이의 폭을 자신의 체격에 따라 임의로 간단하게 조절하여 편안함 자세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하이팩의자의 팔걸이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팔걸이가 있는 하이팩의자에서 간편하게 팔걸이를 조립하여 취부하거나 분해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줄 수 있게 하므로서 포장, 보관이나 운반시 하이팩의자의 포장을 소형화하여 보관 및 운반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여 포장이나 운반 등의 물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어 하여 수요자의 부담을 줄여 팔걸이가 형성된 하이팩의자를 염가로 대량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이팩의자 시이트 저면에 착설되는 다리부착용 체결편 양측에 형성되고 양측 지지면에 안내지지돌기를 평행하게 돌설하고 전방 중앙에 체결나사공을 형성한 금속으로 되는 단면"┏┓"형 지지레일과; 팔걸이부와 지주를 형성하고 지주의 하부 내측으로 양측 하방에 슬라이딩 삽치홈을 길게 요설하고 상측 중앙에 간격조절공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한 결합편과; 상기한 체결나사공에 나착되어 결합편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봉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의 (가),(나)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로서,
(가)도는 결합개시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도는 결합 완료 후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나)도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종래 하이팩의자의 팔걸이 취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시이트 2:체결편 3:다리 4:하이팩의자 5,6:지지면
5a,6a:안내지지돌조 7:상측지지면 8:체결나사공 9:단면"┏┓"형 지지레일
10:팔걸이부 11:지주 12,13:삽치홈 14:상면 15:간격조절공
16:결합편 17:팔걸이부재 18:손잡이 19:나사봉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2는 본 고안의요부 분해사시도이며, 3의 (가),(나)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로서, (가)도는 결합개시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나)도는 결합 완료 후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나)도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시이트(1) 저면에 착설되는 다리부착용 체결편(2)을 착설하여 다리(3)를 설치하게 하여서된 하이팩의자(4)에 있어서,
체결편(2)의 양측에 안내지지돌기(5a)(6a)를 내측으로 평행하게 돌설한 지지면(5)(6)를 하향 입설하고 상측 지지면(7) 중앙에 체결나사공(8)을 형성한 금속으로 되는 단면"┏┓" 형 지지레일(9)을 구비하고,
팔걸이부(10)와 지주(11)를 형성하고 지주(11)의 하부에 내측으로 양측 하부에 슬라이딩 삽치홈(12)(13)을 길게 요설하고 상면(14) 중앙에 간격조절공(15)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한 결합편(16)를 합성수지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한 팔걸이부재(17)를 형성한 다음,
상기한 팔걸이부재(17)의 결합편(16)의 상면(14)에 길게 천공된 간격조절공 (15)을 관통하여 단면"┏┓"형 지지레일편(9)에 형성된 체결나사공(8)에 나합되어 결합편(16)을 단면"┏┓"형 지지레일편(9)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18)가 형성된 나사봉(19)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하이팩의자(3)의 시이트(1) 저면에 착설되는 다리부착용 체결편(2)의 양측에 돌설되어 형성되는 단면"┏┓" 형 지지레일 (9)은 동일 몸체로 형성하여 하향 입설된 지지면(4)(5)과 상측지지면(6) 중앙에 각각 안내지지돌기(4a)(5a)와 평행하게 체결나사공(7)을 형성하여도 좋고,체결편(2)과 안내지지돌기(5a)(6a)를 평행하게 돌설한 지지면(5)(6)를 하향 입설하고 상측지지면(7)의 중앙에 체결나사공(8)을 형성한 금속으로 되는 단면"┏┓"형 지지레일(9)을 별도로 구성한 후 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팔걸이부(10)와 지주(11), 그리고 지주(11)의 하부에 내측으로 양측 하부에 슬라이딩 삽치홈(12)(13)을 길게 요설하고 상면(14) 중앙에 간격조절공(15)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한 결합편(16)이 형성된 팔걸이부재(17)를 합성수지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한 다음, 이의 결합편(16)을 하이팩의자(3)의 시이트(1) 저면의 체결편(2)에 양측에 돌설된 단면"┏┓"형 지지레일(9)에 삽입하면 단면"┏┓"형 지지레일(9)의 양측 지지면(5)(6)의 내측에 돌설한 안내지지돌조(5a)(6a)가 결합편 (16)의 양측 하방에 요설된 삽치홈(12)(13)내부로 진입하여 결합편(16)의 상면(14) 양단 상하면이 안내지지돌조(5a)(6a)와 상측지지면(7)사이에 길게 지지되는 상태로 위치하여 견고하고 안정되게 삽치 됨과 동시에 결합편(16)의 상면(14)에 길게 형성된 간격조절공(15)과 단면"┏┓"형 지지레일(9) 상측지지면(7)에 형성된 체결나사공(8)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에 따라 단면"┏┓"형 지지레일(9)를 따라 결합편(16)을 좌우이동시켜 좌우 팔걸이부재(17)의 폭을 조정하여 결정한 다음, 팔걸이부재(17)의 결합편(16)의 간격조절공(15)저면방향으로 나사봉(19)를 삽입하여 단면"┏┓"형 지지레일(9)의 상측지지면(7)에 형성된 체결나사봉(8)에 나착한 후 조이면 나사봉(19)의 손잡이(18)의 내측면이 결합편(16)저면과 밀착되어견고하게 체결되어 손잡이부재(17)를 하이팩의자(4)에 설치완료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손잡이부재(17)를 해체하거나 좌,우 팔걸이부재(17)의 폭을 조정하고져 할때에는 손잡이(18)를 돌려 나사봉(19)을 풀어내면 단면"┏┓"형 지지레일(9)과 손잡이부재 (17)의 결합편(16)이 이완되거나 해체되어 간편하게 해체 또는 폭조정을 다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ㅌ은 본 고안은 체결편에 취부된 단면"┏┓"형 지지레일상에 손잡이부재의 결합편을 삽입하여 공구없이 손잡이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결합 또는 해체시킬 수 있게 되어 운반, 보관시 팔걸이가 있는 하이팩의자의 포장을 소형화하여 보관 및 운반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여 포장 운반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 현장이나 누구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여 팔걸이가 형성된 하이팩 의자의 조립생산을 능률적으로 실행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저감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팔걸이의 폭을 자신의 체격에 따라 임의로 간단하게 조절하여 자신의 체격에 맞는 편안함 자세로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시이트(1) 저면에 착설되는 다리부착용 체결편(2)을 착설하여 다리(3)를 설치하게 하여서된 하이팩의자(4)에 있어서,
    체결편(2)의 양측에 안내지지돌기(5a)(6a)를 내측으로 평행하게 돌설한 지지면(5)(6)를 하향 입설하고 상측 지지면(7) 중앙에 체결나사공(8)을 형성한 금속으로 되는 단면"┏┓"형 지지레일(9)과;
    팔걸이부(10)와 지주(11)를 형성하고 지주(11)의 하부에 내측으로 양측 하부에 슬라이딩 삽치홈(12)(13)을 길게 요설하고 상면(14) 중앙에 간격조절공(15)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천공한 결합편(16)를 합성수지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한 팔걸이부재(17)와;
    상기한 팔걸이부재(17)의 결합편(16)의 상면(14)에 길게 천공된 간격조절공 (15)을 관통하여 단면"┏┓"형 지지레일편(9)에 형성된 체결나사공(8)에 나합되어 결합편(16)을 단면"┏┓"형 지지레일(9)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손잡이(18)가 형성된 나사봉(19)을 구비하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
KR2020020006174U 2002-03-04 2002-03-04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 KR200275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174U KR200275894Y1 (ko) 2002-03-04 2002-03-04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174U KR200275894Y1 (ko) 2002-03-04 2002-03-04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894Y1 true KR200275894Y1 (ko) 2002-05-16

Family

ID=73118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174U KR200275894Y1 (ko) 2002-03-04 2002-03-04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8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630B1 (ko) * 2012-08-20 2013-08-27 주식회사 한샘이펙스 의자
WO2015023089A1 (ko) * 2013-08-14 2015-02-19 Moon Jae Hyun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630B1 (ko) * 2012-08-20 2013-08-27 주식회사 한샘이펙스 의자
WO2015023089A1 (ko) * 2013-08-14 2015-02-19 Moon Jae Hyun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1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furniture assembly
US10327557B2 (en) Modular seating system
US20110031798A1 (en) Knock-down chair with intermediate support and compound leg
US7677830B1 (en) Furniture joinery
EP0682892B1 (en) Light weight table structures
US20080164787A1 (en) Joint device for assembled furniture and foldable cabinet using the joint device
US8282307B1 (en) Furniture joinery
US5769500A (en) Furniture and method of assembly
US67763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y mounting a furniture leg on an article of furniture
US6890026B1 (en) Folding chair construction
KR101030212B1 (ko) 철재 프레임 침대
US20190365112A1 (en) Mattress Foundation With Slidably Attached Components
KR200275894Y1 (ko) 하이팩의자의 팔걸이구조
KR200465564Y1 (ko) 조립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US6305747B1 (en) Swayable backrest assembly for a chair
CN205007222U (zh) 一种可调式拐杖
KR102246401B1 (ko) 무볼트 조립타입 등판을 구비한 프레임 의자
US7510244B1 (en) Event chair construction
US20090317600A1 (en) Elastic fabric cushion structure
US20150230611A1 (en) Collapsible chair assembly
KR200491671Y1 (ko) 다목적 작업의자 프레임 및 이 프레임을 이용한 작업의자
EP1346665B3 (en) Piece of furniture to sit on
KR200147288Y1 (ko) 어린이용 조립식 의자
KR20210144268A (ko) 확장형 조립식 소파
KR200394115Y1 (ko) 의자용 팔걸이부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3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5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3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