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5317Y1 -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 Google Patents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317Y1
KR200275317Y1 KR2020020004187U KR20020004187U KR200275317Y1 KR 200275317 Y1 KR200275317 Y1 KR 200275317Y1 KR 2020020004187 U KR2020020004187 U KR 2020020004187U KR 20020004187 U KR20020004187 U KR 20020004187U KR 200275317 Y1 KR200275317 Y1 KR 200275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binet
double
shoe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림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림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림목재
Priority to KR2020020004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31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실이 이중으로 배치되어 수납공간이 확장되므로 많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외에도 운동기구나 장식품 등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은, 한 쌍의 측부패널(101)(101′)과, 상기 각 측부패널(101)(101′)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패널(102)과, 상기 측부패널(101)(101′)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패널(103) 및 상기 측부패널(101)(101′)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패널(104)로 이루어진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100); 상기 몸체(100)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110)에 의해 각각 수평 분할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복수개의 선반(121)에 의해 복수개의 고정수납실(122)이 상하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수납부(120)(120′)(120″); 및 상기 각 고정수납부 (12 0)(120′)(120″)의 앞쪽에서 상부패널(102)과 하부패널(103)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고정수납부(120)(120′)(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복수개의 선반(131)에 의해 복수개의 이동수납실(132)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수납장(130)(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Shoe shelf having duplicated cabinet}
본 고안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는 신발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납실이 이중으로 배치되어 수납공간이 확장되므로 많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외에도 운동기구나 장식품 등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장은 대부분 건축물의 출입문 내, 외측에 설치되어 신발을 가지런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정방형이나 장방형으로 형성한 틀의 내부에 다단의 선반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종래에 사용되었던 신발장은 그 대개가 장방형 틀에 선반을 횡으로 다수 고정 설치하여 신발을 보관토록 되어 있으나, 이는 불필요한 면적을 많이 차지할 뿐 만 아니라 적은 양의 신발만을 보관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이었으며, 많은 양의 신발을 보관코자 할 경우에는 칸막이 위에 신발을 얹혀 놓은 상태에서 다시 신발위로 다른 신발을 얹혀 놓는 방법으로 신발을 보관케 하였으므로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발을 더럽히고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 외에 운동기구 등을 수납할 경우, 특히 스키 등과 같이 길이가 긴 물품을 수납하고자 할경우에는 그 수납공간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신발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납실이 이중으로 배치되어 수납공간이 확장되므로 많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외에도 운동기구나 장식품 등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내지 2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선단면도.
도 4a는 선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선반의 정면도.
도 5는 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몸체 101, 101´: 측부패널
102 : 상부패널 103 : 하부패널
104 : 후방패널 110 : 칸막이
120, 120′, 120″: 고정수납부 121, 132 : 선반
122 : 고정수납실 130, 130′: 이동수납장
131 : 이동몸체 133 : 이동수납실
140, 140′: 미닫이식 도어 150 : 슬라이딩 가이드부
160, 160′, 160″: 조명등 170 : 방습통풍장치
180 : 기능성부재 190 : 고정구
200 : 인출가이드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은, 한 쌍의 측부패널과, 각 측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과, 각 측부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패널 및 각 측부패널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패널로 이루어진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 몸체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에 의해 각각 수평 분할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복수개의 선반에 의해 복수개의 고정수납실이 상하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수납부; 및 각 고정수납부의 앞쪽에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고정수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복수개의 선반에 의해 복수개의 이동수납실이 상하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수납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은, 상기 이동수납장의 앞쪽에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수납장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식 도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은, 상기 미닫이식 도어의 앞쪽에서 상부패널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내지 2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단면도이고, 도 4a는 선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선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 때, 도 2a와 도 2b는 도어만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c와 도 2d는 도어와 이동수납장이 모두 개폐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은,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100); 몸체(100)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칸막이(110)에 의해 수평 분할되는 세 개의 고정수납부(120)(120′)(120″); 각 고정수납부(120)(120′)(120″)의 앞쪽에서 몸체(100)의 전면부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이동수납장(130)(130′); 각 이동수납장 (130)(130′)의 앞쪽에서 몸체(100)의 전면부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미닫이식 도어(140)(140′); 및 각 미닫이식 도어(140)(140′)의 앞 쪽에서 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 개의 조명등(160)(160′)(160″)을 포함하여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패널(101)(101′)과, 각 측부패널(101)(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패널(102)과, 측부패널(101)(10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패널(103) 및 측부패널(101)(101′)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패널(10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납부(120)(120′)(120″)는 몸체(100) 내에서 상부패널(102)과 하부패널(103)에 수직 설치되는 두 개의 칸막이(110)에 의해 수평 분할되는 것으로, 각 칸막이(110)에 의해 분할되는 공간의 양측벽에 수평 설치되는 복수개의 선반(121)과, 상기 각 선반(121)에 의해 상기 공간이 상하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수납실(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납장(130)(130′)은 고정수납부(120)(120′)(120″)의 앞쪽에서 상부패널(102)과 하부패널(103)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고정수납부(120)(120′)(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전면이 개방된 이동몸체 (131)와, 이동몸체(131)의 내부 양측벽에 수평 설치되는 복수개의 선반(132)과, 각 선반(132)에 의해 이동몸체(131) 내에서 상하로 분할 형성되는 복수개의 이동수납실(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닫이식 도어(140)(140′)는 이동수납장(130)(130′)의 앞쪽에서 상부패널(102)과 하부패널(103)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수납장 (130)(130′)을 개폐하는 것으로, 그 전면부에는 거울(141)이 부착되며, 전면부의일측에는 손잡이(142)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이동수납장(130)(130′) 및 미닫이식 도어(140)(140′)는 슬라이딩 가이드부(150)에 의해 상부패널(102)과 하부패널(103)에 좌, 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50)는 상부패널(102)의 하부와 하부패널(103)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각각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51); 및 이동수납장(130)(130′) 및 미닫이식 도어(140)(140′)의 상, 하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 롤러(152)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롤러(152)가 각 슬라이딩 가이드(151)내를 슬라이딩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150)는, 상기와 같은 구성뿐만 아니라 상부패널(102)과 하부패널(103)에 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이동수납장(130)(130′) 및 미닫이식 도어(140)(140′)의 상,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를 각각 장착되어 각 롤러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 조명등(160)(160′)(160″)은 미닫이식 도어(140)(140′)의 앞쪽에서 상부패널(102)의 전면부 저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고정수납부(120) (120′)(120″) 및 이동수납장(130)(130′)을 비추어주는 것이다. 상기 조명등 (160)(160′)(160″)중 중심부에 위치되는 조명등(160′)은 상부패널(102)의 전면부 저면에 부착되어 사람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161)에 의해 점멸(點滅)이 이루어지며, 양측에 위치되는 조명등(160)(160″)은 측부패널(101)(101′)의 전면부 내측에 각각 부착되는 리미트 스위치(162)에 의해 점멸이 이루어진다. 즉,중심에 위치되는 상기 조명등(160′)은 사람이 적외선 감지센서(161)에 가까워지면 점등되고 멀어지면 소등되며, 양측에 위치되는 조명등(160)(160″)은 도어(140) (140′)가 리미트스위치(162)에 접촉하면 소등되고 리미트스위치(162)로부터 떨어지면 점등된다.
상기 측부패널(101)의 내벽에는 신발장 내, 외부의 통풍이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습 통풍장치(170)가 설치되며, 이동수납장(130) 내부 바닥에는 항균, 방취, 소취, 향기 등의 기능을 갖는 기능성부재(180)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기능성부재(180)는 이동수납장뿐만 아니라 고정수납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a와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수납부(12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선반(121)은, 일측벽에 대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수단(190)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그 선단은 스키 등과 같이 길이가 긴 물품이 관통되어 안착되는 안착홈(121a)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각 선반(121)의 타단은 고정수납부(120″)의 타측벽 즉, 측부패널(101′)의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홈(101′a)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구(200)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121)(132)은 인출가이드부(210)에 의해 고정수납부(120)(120′)(120″) 또는 이동수납장(130)(130′)의 양측벽에 대하여 앞쪽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출가이드부(210)는 고정수납부 (120)(120′)(120″) 또는 이동수납장(130)(130′)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인출가이드(211); 선반(121)(132)의 양측면에 부착되고 그 일단에 인출롤러(212)가 각각 결합되어 인출가이드(211)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인출가이드판(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수납부(120)(120′)(120″) 및 이동수납장(130)(130′)에는 신발을 비롯한 다양한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에 위치되는 고정수납부(120′)에는 그릇이나 상패 등과 같은 장식품이 수납되고, 일측 고정수납부(120″)에는 스키 등과 같이 길이가 긴 물품이 수납되며, 타측 고정수납부(120)에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신발 등이 수납되고, 이동수납장(130)(130′)에는 자주 사용하는 신발이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물품이 수납되는 신발장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동수납장(130)(130′) 및 미닫이식 도어(140)(140′)를 양측 고정수납부(120)(120″)의 앞쪽에 위치시켜 중심에 위치되는 고정수납부(120′)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이동수납장(130)(130′)으로부터 물품을 꺼낼 경우 미닫이식 도어(140)(140′)를 좌, 우로 슬라이딩시켜 이동수납장(130)(130′)이 외부로 노출되게 하며, 양측 고정수납부(120)(120″)로부터 물품을 꺼낼 경우에는 이동수납장(130)(130′) 및 미닫이식 도어(140)(140′)를 좌, 우로 슬라이딩시켜 고정수납부(120)(120″)를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중심에 위치되는 고정수납부(120′)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사람이 다가서면 적외선 감지센서(161)가 이를 감지함에 따라 상부패널(102)의 전면부 중심에 위치되는 조명등(160′)은 점등되며, 물품을 수납한 후 적외선 감지센서(161)로부터 멀어지면 조명등(160′)은 소등된다. 그리고 양측 고정수납부(120)(120″) 및 이동수납장(130)(130′)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미닫이식 도어(140)(140′)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미닫이식 도어(140)(140′)가 측부패널(101)(101′)의 전면부 내측에 부착되는 리미트 스위치(162)로부터 떨어져 양측에 위치되는 조명등(160)(160″)은 점등되고, 물품을 수납한 후 미닫이식 도어 (140)(140′)를 리미트 스위치(162)에 밀착시키면 양측 조명등(160)(160″)은 소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에 따르면, 수납실이 이중으로 배치되어 수납공간이 확장되므로 많은 신발을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 외에도 운동기구나 장식품 등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Claims (5)

  1. 한 쌍의 측부패널과, 상기 각 측부패널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패널과, 상기 각 측부패널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패널 및 상기 각 측부패널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패널로 이루어진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에 의해 각각 수평 분할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복수개의 선반에 의해 복수개의 고정수납실이 상하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수납부; 및
    상기 각 고정수납부의 앞쪽에서 상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각 고정수납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복수개의 선반에 의해 복수개의 이동수납실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수납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납장의 앞쪽에서 상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납장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식 도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닫이식 도어의 앞쪽에서 상기 상부패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조명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4.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수납부중 어느 하나의 고정수납부에서 복수개의 고정수납실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선반은, 일측벽에 대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선단에 스키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5.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실에 설치되는 선반중 적어도 하나는 앞쪽으로 인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KR2020020004187U 2002-02-08 2002-02-08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Expired - Lifetime KR200275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187U KR200275317Y1 (ko) 2002-02-08 2002-02-08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187U KR200275317Y1 (ko) 2002-02-08 2002-02-08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317Y1 true KR200275317Y1 (ko) 2002-05-11

Family

ID=7311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187U Expired - Lifetime KR200275317Y1 (ko) 2002-02-08 2002-02-08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3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455B1 (ko) * 2007-07-19 2013-08-23 (주)엘지하우시스 수직 면조명이 부착된 시스템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455B1 (ko) * 2007-07-19 2013-08-23 (주)엘지하우시스 수직 면조명이 부착된 시스템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0826B2 (en) Refrigerator
CA2818784A1 (en) Refrigerated medicine cabinet
KR200275317Y1 (ko) 이중의 수납실을 갖는 신발장
US5096275A (en) Electric storage box
CN213962417U (zh) 一种化妆柜
ES2197629T3 (es) Armario de pared con estantes que pueden ser desplazados automaticamente por medio de un carril de guia que esta dispuesto en su interior y que esta fijado a la pared.
KR100286035B1 (ko) 냉장고
KR200334983Y1 (ko) 신발 수납장의 슬라이딩 인출식 다기능 우산보관구조
JPS6034232Y2 (ja) 化粧キヤビネツト
KR20120036539A (ko) 수납가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듈 조합형 붙박이장
KR200358110Y1 (ko) 센서가 구비된 장식장
EP3967182B1 (en) A furnishing element
KR20040069727A (ko) 냉장고
KR200337299Y1 (ko) 신발 보관대
KR200301539Y1 (ko) 서랍식 신발장
KR20190026287A (ko) 비밀수납공간을 갖는 욕실장
KR100468647B1 (ko) 대량 수납용 신발장
KR200403106Y1 (ko) 장식물 보관부가 구성된 서랍장
JP3386760B2 (ja) シューズボックス
KR200269300Y1 (ko) 대량 수납용 신발장
KR200191103Y1 (ko) 사무용 옷장
KR200347106Y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가구
KR200279893Y1 (ko) 수납장
KR200464656Y1 (ko) 액세서리 전용 수납장을 구비한 수납가구 모듈
KR200169817Y1 (ko) 가구용 문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2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2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122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2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