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3750Y1 -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750Y1
KR200273750Y1 KR2019990011705U KR19990011705U KR200273750Y1 KR 200273750 Y1 KR200273750 Y1 KR 200273750Y1 KR 2019990011705 U KR2019990011705 U KR 2019990011705U KR 19990011705 U KR19990011705 U KR 19990011705U KR 200273750 Y1 KR200273750 Y1 KR 200273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ompressor
compressor assembly
bent
vertical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308U (ko
Inventor
우창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11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750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75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15)의 모서리부분에 받침대(15)의 수평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역"U" 형상을 갖도록 돌설된 돌설부(15c)와, 상기 돌설부(15c)로부터 하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수직부(15b)와, 상기 수직부(15b)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절곡부(15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받침대(15)의 가장자리를 따라 강성이 보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의 구동 시 받침대(15)의 떨림현상 및 진동 전달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이로 인한 압축기의 구동 소음이 월등하게 저감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Compressor assembly with supporter}
본 고안은 냉매등의 유체를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구동중에 발생되는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 조립체는 냉매를 매개로 하여 압축, 응축, 팽창, 증발과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공기조화기 등의 냉동사이클에서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내보내는 기기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된 케이스(1)내에 설치된 고정자(2)와, 상기 고정자(2)의 내측에 자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중심부에 회전축(3)이 압입된 회전자(4)와, 상기 회전축(3)의 하측에 편심되게 마련된 캠(3a)과, 상기 캠(3a)의 외측에 설치된 롤러(5)를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은 캠(3a) 및 롤러(5)는 실린더(6)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6)의 상 하측에는 상기 회전축(3)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7)(8)가 각각 체결부재(98, 99)를 통해 상기 실린더(6)에 직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7)의 상측에는 실린더(6)내에서 압축되어 토출구(7a)를 통해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냉매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9)가 상기 체결부재(98)를 통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6)의 일측에는 냉매의 흡입에 따른 부하 변동으로 발생하는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의 실린더(6)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액상의 냉매를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10)가 흡입관(11)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의 상측에는 상기 머플러(9)를 통하여 토출된 냉매가스를 케이스(1)의 외측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관(1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의 내측에 형성된 오일상승통로(3b)에는 케이스(1)내에 저장된 오일(13)을 상승시켜 상기 실린더(6)의 내측 및 상부플랜지(7)의 내측등으로 공급하는 오일픽업부재(14)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일상승통로(3b)의 상단부에는 회전축(3)의 외주면으로 오일(13)이 흐르도록 오일공(3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의 케이스(1)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의 받침대(15)에 안착 용접되어 설치되고, 이 삼각 받침대(15)의 모서리부위에 천공된 각 홀(15a)에는 절연고무(16, 도 1참조)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기를 지지하는 받침대(15)의 하단에는 볼트와 너트 및 절연고무(16)를 매개로 그 하측의 장착판넬(17, 도 1참조)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15)의 세 모서리 부분에는 수직 하측으로 절곡된 수직부(15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면적을 변형시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 조립체는 고정자(2)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회전자(4)와 함께 회전축(3)이 회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실린더(6)의 내부에서는 상기 회전축(3)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3a) 및 롤러(5)의 편심 회전되고, 이 편심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5)의 외주면에서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아 미끄럼 접촉하는 베인(도시안됨)이 실린더(6)내의 공간을 흡입공간과 압축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상기 베인은 상기 흡입관(11)이 연결된 흡입구(6a) 및 토출구(6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캠(3a)이 토출구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흡입력에 의해 상기 어큐뮬레이터(10) 및 흡입관(11)을 거쳐 상기 흡입구(6a)를 통해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실린더(6)의 토출구(6b)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토출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6a)를 통해 냉매가 흡입될 때, 상기 상부플랜지(7)의 상면에 있는 토출밸브(6c)는 하강하여 토출구(6b)에 밀착되고, 압축공간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토출구(6b)를 통해 토출시에는 상기 토출밸브(6c)는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토출구(6b)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오일픽업부재(14)는 케이스(1)내에 저장된 오일(13)을 상기 회전축(3)의 오일상승통로(3b)로 상승시키고, 이 상승된 오일(13)은 상기 오일상승통로(3b)와 회전축(3)의 외주면과 관통되어 있는 오일공(3c)을 통하여 실린더(6)의 내측이나 상부플랜지(7)의 내측으로 공급됨으로써 회전축(3)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압축기 조립체에서는 구동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압축기 조립체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받침대(15)를 통해 전장품이 설치된 장착판넬(17)측으로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압축기 조립체에서는 상기 압축기의 케이스(1)가 안착되는 받침대(15)가 압축기의 진동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심하게 진동한다. 이러한 진동에 의해 상기 받침대(15)의 모서리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도3의 "B"부분에서 떨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 떨림 현상은 심한 소음을 유발시키며 도4a, 4b, 4c,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받침대(15)가 심하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대를 개선하여 압축기 조립체의 구동 시 발생되는 진동주파수에 따라 상기 받침대에서 발생하는 떨림에 의한 진동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는; 통형상의 케이스를 구비하여 외형을 이루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케이스가 안착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를 장착판넬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절연고무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에 있어서,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에 따라 전달되는 상하 및 좌우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역"U"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받침대의 수평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설된 돌설부와, 상기 돌설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최하단에서 상기 받침대의 중심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 절곡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압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종래의 압축기용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4a, 4b, 4c, 4d는 압축기의 진동 주파수에 따른 받침대의 변형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도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회전축 6 : 실린더
7 : 상부플랜지 8 : 하부플랜지
15 : 받침대 15a : 홀
15b : 수직부 15c : 돌설부
15d : 수평 절곡부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는 도5 및 도6에서 도1 내지 도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압축기 조립체는 외형을 이루는 통형상의 압축기 케이스(1)와, 상기 압축기 케이스(1)를 떠받치며 모서리부위에 홀 (15a)이 형성된 삼각형상의 받침대(15)와, 상기 받침대(15)의 모서리부위에 삽입 고정되는 절연고무(16)를 갖추고 있다.
상기 절연고무(16)는 받침대(15)의 각 홀(15a)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의 작동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 바, 상기 절연고무(16)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상기 압축기는 장착판넬(17)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5)에는 압축기의 작동에 따라 전달되는 상하 및 좌우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받침대(15)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설된 돌설부(15c)와, 상기 돌설부(15c)의 끝단에서 수직되게 하측으로 절곡된 수직부(15b)와, 상기 수직부(15b)의 최하단에서 상기 받침대의 중심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 절곡부(15d)가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돌설부(15c)는 받침대(15)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단면 형상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벤딩되어 역"U"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다각형으로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 조립체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고정자(2)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회전자(4) 및 회전축(3)이 회전 작동하면, 상기 회전축(3)과 일체로 캠(3a) 및 롤러(5)가 편심 회전하고, 이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6)의 내부에 흡입된 냉매가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린더(6)의 토출구(6b)를 통해 토출된다.
즉, 흡입관(11)을 통해 상기 실린더(6)내의 흡입공간으로 흡입된 냉매는 회전축(3)의 편심 회전에 의해 압축 공간에서 압축되면서 토출되는 행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작동에 따른 진동은 상기 케이스(1)가 안착된 받침대(15)로 전달되고, 계속하여 상기 받침대(15)의 모서리부위, 즉 각 홀(15a)측으로 전달되려고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받침대(15)의 가장자리부위가 보강되어 있어서 이 진동이 감쇠되게 된다. 즉, 받침대(15)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받침대(15)의 수평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설된 돌설부(15c)와, 상기 돌설부(15c)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부(15b)와, 상기 수직부(15b)의 최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절곡부(15d)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15)의 단면적 변화로 받침대(15)의 가장자리부위에서 굽힘강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며, 이것에 의해 받침대(15)의 떨림현상 및 진동 전달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의 모서리부분에 받침대의 수평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역'U' 형상을 갖도록 돌설된 돌설부와, 상기 돌설부로부터 하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수평 절곡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가장자리 부분의 강성이 보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의 구동 시 받침대의 떨림 현상 및 진동 전달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이로 인한 압축기의 구동 소음이 월등하게 저감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통형상의 케이스를 구비하여 외형을 이루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케이스가 안착 고정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를 장착판넬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절연고무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압축기의 작동에 따라 전달되는 상하 및 좌우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역"U"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받침대의 수평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설된 돌설부와,
    상기 돌설부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되게 절곡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최하단에서 상기 받침대의 중심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 절곡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2. 삭제
KR2019990011705U 1999-06-28 1999-06-28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Expired - Lifetime KR200273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705U KR200273750Y1 (ko) 1999-06-28 1999-06-28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705U KR200273750Y1 (ko) 1999-06-28 1999-06-28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08U KR20010001308U (ko) 2001-01-15
KR200273750Y1 true KR200273750Y1 (ko) 2002-04-27

Family

ID=5476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705U Expired - Lifetime KR200273750Y1 (ko) 1999-06-28 1999-06-28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7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08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520B2 (en) Discharge muffler of a hermetic rotary compressor
WO2007111141A1 (ja) 圧縮機
KR100318598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소음 저감장치
KR100938053B1 (ko) 압축기
KR20010087971A (ko) 밀폐형 압축기
KR200265571Y1 (ko)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KR200273750Y1 (ko)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JP6727300B2 (ja) ロータリー圧縮機
CN115917157A (zh) 热源单元和涡旋压缩机
US20100172756A1 (en) Rotary compressor
JP2001317479A (ja) 縦置型圧縮機
JP3301837B2 (ja) 内部高圧式圧縮機
US20040213682A1 (en) Hermetic compressor
KR10031403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 장치
KR100315796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실린더 변형 방지 구조
KR100498379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진동저감구조
KR200241495Y1 (ko)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KR100311384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압축기구부지지장치
KR200168804Y1 (ko) 압축기
KR100459449B1 (ko) 회전식 압축기의 어큐물레이터
KR19990025773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고정구조
JPH08338384A (ja) 横型ロータリ圧縮機
KR20050055505A (ko) 회전식 압축기의 밸런스웨이트 고정구조
KR20030097320A (ko) 압축기의 실린더 고정장치
KR20010000770U (ko) 압축기용 토출관의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6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110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04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