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3359Y1 - 자동차용 와이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359Y1
KR200273359Y1 KR2019990008160U KR19990008160U KR200273359Y1 KR 200273359 Y1 KR200273359 Y1 KR 200273359Y1 KR 2019990008160 U KR2019990008160 U KR 2019990008160U KR 19990008160 U KR19990008160 U KR 19990008160U KR 200273359 Y1 KR200273359 Y1 KR 200273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upport
arm
holder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775U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2019990008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359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359Y1/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퍼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차량의 유리를 한층 더 깨끗하게 닦아주며, 또한 마모를 방지하여 블레이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을 축봉(10)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구동암(4)내에 부착되어 축봉(1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20)의 전방 양측에 걸림핀(30)(31)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10)에는 걸림핀(30)(31) 사이로 끼워져 상부암(4a)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단속핀(40)을 부착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와이퍼{WIPERS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와이퍼(wiper)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와이퍼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차량의 유리를 한층 더 깨끗하게 닦아주며, 또한 마모를 방지하여 블레이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와이퍼는 비 또는 눈이 올 때 운전자의 시계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앞면 유리를 닦아내는 것으로, 이러한 자동차용 와이퍼는 도 1에서와 같이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상기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상기 홀더(2)에 핀으로 연결되는 지지구(3), 상기 지지구(3)에 핀으로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와이퍼는 도 2에서와 같이 구조적으로 블레이드(1)가 유리에 직각으로 접촉된 상태로 구동하면서 유리를 닦았기 때문에 구동시 유리와 블레이드(1)에서 마찰이 생기고 이로 인해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와이퍼는 구동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블레이드(1)가 쉽게 마모되어 유리를 깨끗하게 닦을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마모로 인해 블레이드(1)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와이퍼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차량의 유리를 한층 더 깨끗하게 닦아주며, 또한 마모를 방지하여 블레이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와이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동암을 상부암과 하부암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을 연결부재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부암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단속부재를 설치하여, 와이퍼 구동시 대략 5 ~ 7°정도의 경사각도로 블레이드가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차량의 유리에 접촉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와이퍼의 전체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블레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용 와이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분해사시도, (나)는 정면도, (다)는 측단면도, (라)는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블레이드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실실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분해사시도, (나)는 정단면도, (다)는 측단면도, (라)는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분해사시도, (나)는 정면도, (다)는 측단면도, (라)는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분해사시도, (나)는 정단면도, (다)는 측단면도, (라)는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측단면도, (나)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는 측단면도, (나)는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블레이드 2 : 홀더
3 : 지지구 4 : 구동암
4a : 상부암 4b : 하부암
10 : 축봉 20 : 지지판
30,31 : 걸림핀 40 : 단속핀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자동차용 와이퍼의 일실시예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을 축봉(10)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구동암(4)내에 부착되어 축봉(1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20)의 전방 양측에 걸림핀(30)(31)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10)에는 걸림핀(30)(31) 사이로 끼워져 상부암(4a)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단속핀(40)을 부착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암(4)은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되고, 이때 상,하부암(4a)(4b)은 'ㄷ'형으로 절곡형성된다.
상기 상부암(4a)내에는 축봉(10)이 고정되고, 하부암(4b)에는 축봉(1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20)(21)이 설치되고, 지지판(20)(21)의 중앙에는 축봉(10)이 끼워지는 축공(20a)(21a)이 천공된다.
상기 축봉(10)은 고정판(11)을 통해 상부암(4a)내에 고정되고, 축봉(10)의 중앙부 양측에는 상부암(4a)이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조립시 상,하부암(4a)(4b)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격편(12)이 돌출된다. 따라서, 도 3의 (나),(다)에서와 같이 조립시 이격편(12)이 지지판(21)의 상면에 접촉될 때 까지 축봉(10)이 축공(21a)내로 끼워지므로 구동암(4)의 상부암(4a)과 하부암(4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된 걸림편(30)(31)은 단속핀(40)이 5 ~ 7°정도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상기 단속핀(40)은 상부암(4a)의 회동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축봉(10)이 지지판(20)으로부터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3에서는 축봉(10)이 상부암(4a)에 고정되고 하부암(4a)내에 지지판(20)(21)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축봉(10)과 지지판(20)(21)을 상,하부암(4a)(4b)에 반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도 3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축봉(10)에 의해 상부암(4a)이 하부암(4b)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양측 걸림핀(30)(31) 사이로 끼워진 단속핀(40)에 의해 축봉(10)이 대략 5 ~ 7°정도의 각도로 회동하게 되므로, 와이퍼 구동시 본 고안은 도 3의 (라)에서와 같이 상부암(4a)이 축봉(10)에 의해 가상선과 같이 좌,우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결국 도 4의 가상선과 같이 블레이드(1)가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유리에 접촉하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와이퍼 구동시 구동암(4)에 의해 구동되는 블레이드(1)가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면 블레이드(1)는 가상선의 화살표와 같이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운동을 하게 되어 가상선과 같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유리에 접촉하면서 유리를 닦는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진 상태로 유리면에 접촉되어 슬립형으로 미끄러지면서 유리를 닦아주므로 소음저감 및 차량의 유리를 한층 더 깨끗하게 닦아줄 수 있으며, 또한 블레이드(1)가 슬립형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의한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의 단부 양측에 리벳공(4c)(4d)을 형성하고, 상기 리벳공(4c)(4d)에 대응하는 리벳공(51),장공(52)이 형성된 사각관(50)을 상,하부암(4a)(4b)내로 끼운 상태에서 리벳공(4c)(4d)(51),장공(52)에 리벳(60)(61)을 각각 체결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와이퍼 구동시 장공(52)에 의해 사각관(50)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면서 상부암(4a)을 회동시키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블레이드(1)가 경사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의한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에 축봉(70)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래킷(80)(81)을 각각 부착하되, 상기 브래킷(81)내에 부착되어 축봉(7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90)의 전방 양측에 걸림핀(100)(101)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70)에는 걸림핀(100)(101) 사이로 끼워져 상부암(4a)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단속핀(110)을 부착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의한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에 양측으로 리벳공(120a)(121a)이 형성된 브래킷(120)(121)을 각각 부착하고, 상기 리벳공(120a)(121a)에 대응하는 리벳공(131),장공(132)이 형성된 사각관(130)을 브래킷(120)(121)내로 끼운 상태에서 리벳공(120a)(121a)(131),장공(132)에 리벳 (140)(141)을 각각 체결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6과 도 7에서의 기술적 특징은 구동암(4)의 상,하부암(4a)(4b)이 판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이 판상의 상,하부암(4a)(4b)에 도 3과 도 5의 구조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ㄷ'형으로 절곡형성된 브래킷을 별도로 설치한 것으로, 도 6과 도 7의 작동은 상술한 도 3과 도 5의 작동관계와 동일하다.
도 8에 의한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3)의 단부에 작동구(3a)와 축(3b)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홀더(2)의 중앙에는 작동구(3a)가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구홈(2a) 및 축(3b)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장방형의 축공(2b)을 형성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 의한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의 단부에 작동구(4e)와 축(4f)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3)의 중앙에는 작동구(4e)가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구홈(3c) 및 축(4f)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장방형의 축공(3d)을 형성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8과 도 9에서는 와이퍼 구동시 작동구,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구홈과 축공에 의해 블레이드(1)가 좌,우로 회동하면서 경사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가 경사운동을 하면서 유리면에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유리를 닦기 때문에 소음을 저감시키고, 차량의 유리를 한층 더 깨끗하게 닦아주며, 또한 마모를 방지하여 블레이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6)

  1.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을 축봉(10)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구동암(4)내에 부착되어 축봉(1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20)의 전방 양측에 걸림핀(30)(31)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10)에는 걸림핀(30)(31) 사이로 끼워져 상부암(4a)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단속핀(40)을 부착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2.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의 단부 양측에 리벳공(4c)(4d)을 형성하고, 상기 리벳공(4c)(4d)에 대응하는 리벳공(51),장공(52)이 형성된 사각관(50)을 상,하부암(4a)(4b)내로 끼운 상태에서 리벳공(4c)(4d)(51),장공(52)에 리벳(60)(61)을 각각 체결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3.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에 축봉(70)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래킷(80)(81)을 각각 부착하되, 상기 브래킷(81)내에 부착되어 축봉(7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90)의 전방 양측에 걸림핀(100)(101)을 설치하고, 상기 축봉(70)에는 걸림핀(100)(101) 사이로 끼워져 상부암(4a)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단속핀(110)을 부착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4.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을 상,하부암(4a)(4b)으로 분리시켜 이 상,하부암(4a)(4b)에 양측으로 리벳공(120a)(121a)이 형성된 브래킷(120)(121)을 각각 부착하고, 상기 리벳공(120a)(121a)에 대응하는 리벳공(131),장공(132)이 형성된 사각관(130)을 브래킷(120)(121)내로 끼운 상태에서 리벳공(120a)(121a)(131), 장공(132)에 리벳(140)(141)을 각각 체결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5.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3)의 단부에 작동구(3a)와 축(3b)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홀더(2)의 중앙에는 작동구(3a)가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구홈(2a) 및 축(3b)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장방형의 축공(2b)을 형성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6. 유리에 접촉되는 블레이드(1), 블레이드(1)에 끼워지는 홀더(2), 홀더(2)에 연결되는 지지구(3), 지지구(3)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를 구동시키는 구동암(4)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4)의 단부에 작동구(4e)와 축(4f)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3)의 중앙에는 작동구(4e)가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구홈(3c) 및 축(4f)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장방형의 축공(3d)을 형성하여, 와이퍼 구동시 블레이드(1)가 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KR2019990008160U 1999-05-13 1999-05-13 자동차용 와이퍼 KR200273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160U KR200273359Y1 (ko) 1999-05-13 1999-05-13 자동차용 와이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160U KR200273359Y1 (ko) 1999-05-13 1999-05-13 자동차용 와이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75U KR20000020775U (ko) 2000-12-15
KR200273359Y1 true KR200273359Y1 (ko) 2002-04-25

Family

ID=5476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160U KR200273359Y1 (ko) 1999-05-13 1999-05-13 자동차용 와이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35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65B1 (ko) * 2002-04-18 2003-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와이퍼
CN116176502A (zh) * 2023-04-24 2023-05-30 宁波鑫海爱多汽车雨刷制造有限公司 一种风力汽车雨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75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4280B (zh) 刮水片
ES2383207T3 (es) Hoja de goma limpiaparabrisas
WO2007049923A1 (en) Coupling apparatus of wiper arm
KR200273359Y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00629161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877801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조립체
KR100396997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아암 구조체
KR20050112558A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00397002B1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KR20050109655A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50112559A (ko) 자동차용 와이퍼
KR970005981Y1 (ko) 자동차용 윈드시일드 와이퍼의 와이퍼암
KR100485016B1 (ko) 차량 와이퍼의 브레이드
KR200344547Y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0489023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고정핀
KR100384528B1 (ko) 자동차용 윈드 실드 와이퍼
KR20020020072A (ko) 와이퍼 장치의 피봇 하우징 결합구조
KR200213437Y1 (ko)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KR20000010689U (ko) 로우터리형 두날 와이퍼 블레이드 리프를 갖춘 차량의 와이퍼장치
KR200322447Y1 (ko) 차량 와이퍼의 브레이드
KR200213443Y1 (ko) 와이퍼 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KR19980030202U (ko) 자동차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9990016223U (ko) 와이퍼 누름압 가변 조절장치
KR200229251Y1 (ko) 차량용와이퍼구동장치
KR200200224Y1 (ko) 브라켓 일체형 파이프를 구비한 와이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51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1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04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