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3095Y1 - 포장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포장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095Y1
KR200273095Y1 KR2020020002919U KR20020002919U KR200273095Y1 KR 200273095 Y1 KR200273095 Y1 KR 200273095Y1 KR 2020020002919 U KR2020020002919 U KR 2020020002919U KR 20020002919 U KR20020002919 U KR 20020002919U KR 200273095 Y1 KR200273095 Y1 KR 200273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nnular member
present
bottle
separat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삼화왕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왕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왕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2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09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양주병과 같은 유리병에 캡핑하는 캡을 최초 분리후 다시 캡을 닫아 재사용시 캡의 하단부에 형성된 밀폐용 환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캡(예컨대, 양주병용 캡 등)은 절개부가 둘레를 따라 모두 형성되어 있지 않아 개방시 일부 분리된 환형부재를 완전히 분리하고자 할때에는 금속재인 관계로 잘 떨어지지 않아 힘이 들고, 자칫 손을 다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절개부(2)에 의해 분리되도록 환형부재(4)를 갖추고 있는 캡(6)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가 형성된 라인의 끝에 별도의 슬릿부(8)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은 캡의 하단부에 형성된 밀폐용 환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용기용 캡{A Cap for Packing Container such as Alcoholic Liquor Bottle}
본 고안은 포장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주병과 같은 유리병에 캡핑하는 캡을 최초 분리후 다시 캡을 닫아 재사용시 캡의 하단부에 형성된 밀폐용 환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용기들중, 위스키와 같은 양주를 담는 포장병용 캡은 통상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고, 최초 제조시 캡핑공정을 거치면 완전 밀폐된 상태로 되어있으며, 비닐로 재차 밀폐되어 있다. 이때, 포장병안에 내용물 즉, 주류를 마시기 위해 캡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밀착된 비닐을 뜯어낸후, 캡을 일측방향으로 강한 힘을 주어 회전시키면, 하부에 밀착,밀봉된 밀폐용 환형부재가 포장병의 주출구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캡을 회전시키면, 캡이 병의 주출구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병안의 주류(예컨데, 위스키 등)의 일정양을 마신 후에는 다시 분리한 캡을 닫아 두게되는데, 이때 캡의 하단부에 붙어있는 환형부재를 완전히 분리한 후, 캡을 병에 끼우게된다. 환형부재는 미리 캡의 하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어, 환형부재를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되지만, 마지막 부분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지않아 완전분리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무리하게 힘을 가해야하고 자칫 일부 분리된 금속재의 환형부재 단부에 손을 다치게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포장용 용기의 캡을 개방한 후, 하부에 구비된 밀폐용 환형부재를 매우 용이하게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용 캡을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부 연장부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 : 절개부
4 : 환형부재
6 : 캡
8 : 슬릿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도록 환형부재를 갖추고 있는 캡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라인의 끝에 별도의 슬릿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캡을 병의 주출구에 결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캡의 하단부에 구비된 밀폐용 환형부재를 일부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절개부(2)에 의해 분리되도록 환형부재(4)를 갖추고 있는 캡(6)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가 형성된 라인의 끝에 별도의 슬릿부(8)가 형성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병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을 병(10)에 밀폐시킨 상태에서 개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강한 힘을 주어 캡(6)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6)이 병(10)의 주출구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완전히 분리된 상태가 되면서 캡(6)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밀폐용 환형부재(4)가 다수 형성된 절개부(2)에 의해 분리되는데, 이때 절개부(2)외에 별도의 슬릿부(8)가 형성되어 있어 최종적으로 캡(6)으로부터 환형부재(4)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분리한 다음, 병(10)안에 있는 술의 일부를 마신후 다시 캡(6)을 닫아두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캡의 하단부에 형성된 밀폐용 환형부재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하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 절개부(2)에 의해 분리되도록 환형부재(4)를 갖추고 있는 캡(6)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가 형성된 라인의 끝에 별도의 슬릿부(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캡.
KR2020020002919U 2002-01-30 2002-01-30 포장용기용 캡 Expired - Lifetime KR200273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19U KR200273095Y1 (ko) 2002-01-30 2002-01-30 포장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19U KR200273095Y1 (ko) 2002-01-30 2002-01-30 포장용기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095Y1 true KR200273095Y1 (ko) 2002-04-20

Family

ID=7305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919U Expired - Lifetime KR200273095Y1 (ko) 2002-01-30 2002-01-30 포장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0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31676A (ko) 2023-08-29 2025-03-07 주식회사 태을 유리병을 위한 캡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31676A (ko) 2023-08-29 2025-03-07 주식회사 태을 유리병을 위한 캡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1454A1 (en) Multi-Stage Opening and Dispensing Closure
EP0194068B1 (en) Bottles
MXPA06004751A (es) Cierre de apertura por torsion que tiene membrana frangible inclinada.
US20100140268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removable membrane
CN115867495A (zh) 用于容器的封盖
CN109153479B (zh) 包括显窃启装置的容器盖
US5865354A (en) Easy open dispensing cap
EP1730048B1 (en) A capsule incorporating a doser and openable security cap, in particular for single-dose flagons
RU2501725C2 (ru) Крышка с расположенными под углом скошенными поверхностями на внутренней и внешней частях
KR200273095Y1 (ko) 포장용기용 캡
US20110042342A1 (en) Reusable container closure
KR100985326B1 (ko) 개봉 흔적이 남는 밀봉장치를 구비한 액체용기용 클로저
US20050230342A1 (en) Tamperproof closing element for beverage containers
JP2007230621A (ja) キャップから取り除かれた開口予定部を収納可能なヒンジキャップ
JP2018122896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3129430A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PT1526085E (pt) Tampa para garrafa de bebidas
US10196189B2 (en) Carbonated beverage closure
JP2005206222A (ja) プルリング付きキャップ
AU2012100441B4 (en) Improved drink bottle cap
JP7636970B2 (ja) 容器
JP7396775B2 (ja) 分別キャップ
JP5236347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273105Y1 (ko) 포장용기용 캡
WO2007049959A2 (en) Container, provided with a closable fill opening, comprising a closing member and a capsule mounted on top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1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1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