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3088Y1 - 방향 병용기 - Google Patents

방향 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088Y1
KR200273088Y1 KR2020020002686U KR20020002686U KR200273088Y1 KR 200273088 Y1 KR200273088 Y1 KR 200273088Y1 KR 2020020002686 U KR2020020002686 U KR 2020020002686U KR 20020002686 U KR20020002686 U KR 20020002686U KR 200273088 Y1 KR200273088 Y1 KR 200273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bottle cap
perfume
perfume capsule
caps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기
김종범
Original Assignee
김봉기
김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기, 김종범 filed Critical 김봉기
Priority to KR2020020002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08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기를 발할 수 있는 방향 병용기에 관한 것으로, 병뚜껑과 병마개를 포함하는 공지의 각종 병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병뚜껑(1)과 병마게(4) 사이에 향수캡슐(2)이 내장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향수캡슐(2)은 접착제에 의하여 병뚜껑(1)과 병마개(4) 사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한 향수캡슐(2)은 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향 병용기{BOTTLE POSSIBLE TO PERFUME}
본 고안은 향기나는 병에 관한 것이다.
병은 일상 생활 주변에서 가장 흔히 볼수 있는 각종 음료수나 술 종류의 포장용기로 활용되어 오고 있다.
지금까지 이러한 병 용기는 술병, 음료수병, 음식류병 등과 같이 단순히 내용물만을 저장하는 용기로 사용하여 왔고 또 용기로서만의 기능을 하여 왔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병 용기에서 향기를 발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 그 병에 담긴 각종 주류 및 음료의 내용물을 섭취하는 외 향기 제공 기능까지 더할 수 있게 하여 그 병의 사용자가 더욱 유쾌하고 즐거운 분위기를 가질 수 있게 한 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병 용기의 뚜껑을 분해하여 그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 단면 분해구성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뚜껑과 병마개를 포함하는 공지의 각종 병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병뚜껑(1)과 병마게(4) 사이에 향수캡슐(2)이 내장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향수캡슐(2)은 접착제에 의하여 병뚜껑(1)과 병마개(4) 사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한 향수캡슐(2)은 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과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병 뚜껑 부분의 구조를 분해하여 본 도면이다.
병의 구조는 보편적으로 병의 본체와 병마개 및 병뚜껑의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병뚜껑(1)의 내부에 향수캡슐(2)이 내장되게 한다.
향수캡슐(2)은 병뚜껑(1)의 안으로 접착제(3)에 의하여 접착되게 하고 그리고 병마개(4)에 의하여 봉하여지게 한다. 병마개(4)에도 접착제(5)가 도포되어 있어 향수캡슐(2)이 병마개(4)와 병뚜껑(1) 사이에 견고히 고정된다.
병마개(4)는 아래로 약간 돌출되게 구성하여 향수캡슐(2)이 공간적으로 충분히 자리 잡을 수 있게 만든다. 즉, 병마개(4)의 하부로 돌출한 부분은 병주입구의 내경 안으로 들어가게 구성한다.
또는 병마개(4)를 굳이 이와 같이 하부가 돌출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즉, 향수캡슐(2)을 충분히 작게 납작하게 만들거나 병뚜껑(1)의 구조를 더 높게 만들면 평판상의 병마개(4)라 하더라도 향수캡슐(2)이 충분히 내장되게 할 수 있다.
향수캡슐(2)은 병마개(4)와 병뚜껑(1) 사이에 두께 약 5mm-15mm정도의 고체나 액체화시킨 향수 캡슐을 저장하였다가 병뚜껑을 개봉하면 캡슐을 터지도록하여 30초 - 120 초 정도 캡슐 속의 향수가 증발하면서 집중적으로 주위에 향기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때 병뚜껑(1)이 제거될때 향수캡슐(2)의 상부에 막힌 부위가 개방이되므로 방향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병뚜껑(1)이 제거될때 병뚜껑(1)과 향수캡슐(2)이 함께 제거되어 향수캡슐(2)의 하부가 개방이 되어 향기가 발하여지게 할 수도 있다. 그 외 여러 다른 변형된 구조로 방향하는 방법을 생각하여 낼 수도 있다.
또는 향수캡슐(2)은 병뚜껑(1)의 형상과 맞게 원형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굳이 캡슐형으로 만들지 않고 평판상으로 만들어 은은하게 향기가 번져 나오게 할수도 있다. 예들 들어, 코르크나 솜과 같은 재질에 향기가 충분히 내장되게 만들어 병을 개봉시 향기가 나오게 할 수도 있다
향수의 종류는 단지 예들들어 설명하면 진(jin)1,2,3... 또는 봉(bong)1.2.3.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향수의 냄새를 느끼는 시간이 너무 짧을 경우에는 아쉬움이 남을 수 있으며 향수를 느끼는 시간이 너무 길 경우 주위의 여러 냄새와 혼합되어 냄새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냄새를 느낄수 있는 시간을 30초 내지 120초 정도가 되게 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그리고 향기는 사람의 다양한 욕구에 맞춰 남자용, 여자용,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용 등으로 다양하게 다른 향기로 만드렁 낼 수도 있으며, 또한 향수의 원료는 기존 향수를 활용하거나 인체에 해가 없는 순수한 자연식물에서 추출한 천연향으로 제조 할 수도 있다. 또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또는 그에 해당하는 향으로 만들어 내어 더욱 식욕을 돋구거나 분위기를 좋게 만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친구사이, 연인사이, 직장인 사이에서 하루 일과중이나 일과 후 대화의 자리에서 술이나 음료수를 통하여 연인이나 친구, 직장상사나 부하가 좋아 하는 또는 분위기에 따라 그에 맞는 향기를 제공한다면 더욱 유쾌한 자리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병뚜껑과 병마개를 포함하는 공지의 각종 병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병뚜껑(1)과 병마게(4) 사이에 향수캡슐(2)이 내장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병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향수캡슐(2)은 접착제에 의하여 병뚜껑(1)과 병마개(4) 사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병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향수캡슐(2)은 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병용기
KR2020020002686U 2002-01-28 2002-01-28 방향 병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73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686U KR200273088Y1 (ko) 2002-01-28 2002-01-28 방향 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686U KR200273088Y1 (ko) 2002-01-28 2002-01-28 방향 병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088Y1 true KR200273088Y1 (ko) 2002-04-20

Family

ID=73116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6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3088Y1 (ko) 2002-01-28 2002-01-28 방향 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0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7934A1 (en) Scent delivery and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beverage containers
ES2638394T3 (es) Extremo de lata para controlar la liberación de fragancia utilizando una fragancia encapsulada
US5635229A (en)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n affixed scent disbursement means for enhancing perceived flavor of the beverage
ATE289960T1 (de) Behälterdeckel mit aromatischen eigenschaften
US7005152B2 (en) Receptacle cap having aromatic properties
US20210101714A1 (en) Scented attachments for beverage cartons
EP1779885A1 (en) Odour-sampling device
KR200273088Y1 (ko) 방향 병용기
CN211996942U (zh) 一种具有香薰功能的瓶盖
WO2008045313A2 (en) Threaded cap with opening device, applied to a flexible container that contains a semi-liquid product
JP3213330U (ja) 樹脂製容器
KR100867428B1 (ko) 방향제 케이스
JPH061332A (ja) 包装容器
KR200182805Y1 (ko) 방향 기능을 갖는 가방
KR200175273Y1 (ko) 숯이 구비된 잔
KR200264756Y1 (ko) 소주병의 속뚜껑
JP3016939U (ja) 芳香体
KR200172729Y1 (ko) 용기 마개
JP2001238942A (ja) 身廻品の芳香装置
KR200334886Y1 (ko) 다용도 향 컵
JP5105447B2 (ja) 揮散剤容器
WO2016067203A1 (en) Beverage packaging
KR20200013857A (ko) 액체류 화장품용 캡슐
JP3059412U (ja) 芳香性置物
KR20030070696A (ko) 방향제 수용부가 제공된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1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129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1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