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2761Y1 - 휴대용 라이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라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761Y1
KR200272761Y1 KR2020020002713U KR20020002713U KR200272761Y1 KR 200272761 Y1 KR200272761 Y1 KR 200272761Y1 KR 2020020002713 U KR2020020002713 U KR 2020020002713U KR 20020002713 U KR20020002713 U KR 20020002713U KR 200272761 Y1 KR200272761 Y1 KR 200272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er
storage space
lighter body
rechargeable battery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준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조영준
김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준, 김도훈 filed Critical 조영준
Priority to KR2020020002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76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라이터에 관한 것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점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납공간에는 양극과 음극의 접속단자가 설치된 소정 형상의 라이터본체와; 상기 라이터본체상의 수납공간에서 양극과 음극에 접속되도록 수납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충전용 배터리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라이터본체의 상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발열부재와; 라이터본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별도의 충전회로를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내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잭과; 상기 라이터본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발열부재로 인가되는 전류의 ON/OFF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가스나 휘발유와 같은 가연성 연료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폭발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충전하여 반복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구성요소가 간단하고 바람이 불어도 꺼지지 않으므로 제조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라이터{PORTABLE LIGHTER}
본 고안은 휴대용 라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내장시킨 상태에서 간단한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점화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제조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높은 열에도 폭발하지 않는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이 불더라도 점화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라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이터는 주로 담배에 불을 붙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호주머니 등에 넣어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라이터는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나 점화방식 또는 기타 여러 가지 내외부의 구조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라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 휴대용 라이터(10)는 통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연료가 채워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라이터본체(11)와, 상기 라이터본체의 상부 일측을 통하여 내측 공간부로 삽입되며 상단부에 개폐밸브가 설치된 연료배출관(12)과, 상기 라이터본체(11)의 상단 일측에 설치되고 개폐밸브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개폐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누름편(13)과, 불연재로 이루어지며 라이터본체(11)의 상단둘레에 소정의 높이로 끼워져 설치되는 방풍판(14)과, 상기 누름편(13)의 수직상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금속재의 마찰부재(15)와, 상기 마찰부재(15)의 아래쪽에 해당되는 라이터본체(11)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마찰부재(15)의 회전동작에 따라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부싯돌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휴대용 라이터(10)의 작용은 사용자가 누름편(13)을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연료배출관(12)의 상단부에 설치된 개폐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라이터본체(11) 내부에 채워진 연료가 기체상태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누름편(13)을 누르면 마찰부재(15)가 동시에 회전되는 데, 이 때 마찰부재(15)와 부싯돌의 상호접촉에 의하여 스파크가 발생되면서 연료배출관(12)을 통하여 토출되는 연료에 점화가 되는 것이며, 방풍판(14)은 점화초기에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휴대용 라이터의 경우에 연료로는 주로 액화 프로판가스가 사용된다.
한편, 그 밖의 휴대용 라이터로는 휘발유를 연료로 사용되는 것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휘발유가 휘발성이 높으므로 라이터 본체의 내부에 솜과 같은 물질이 채워지며 라이터본체의 상단에는 별도의 점화용 심지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휴대용 라이터에서는 점화를 위하여 반드시 가스나 휘발유 같은 연료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연료가 소모되는 경우에 버리거나 또는 매번 연료를 다시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수단으로서 반드시 부싯돌과 마찰부재가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생산성이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점화수단을 구성하는 부품중 하나라도 망실되는 경우에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액화 프로판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휴대용 라이터의 경우 여름철 자동차 내부에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에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화재와 같은 심각한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액화 프로판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종래 휴대용 라이터는 연료가 소모된 후에는 폐기되는 데, 라이터본체(11)를 구성하는 재질이 열경화성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높은 온도에도 폭발하지 않는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이 불더라도 점화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자동차 등의 전원을 이용하여 손쉽게 충전하여 반복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잦은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휴대용 라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라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라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라이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휴대용 라이터 32 : 수납공간
34 : 접속단자 36 : 라이터본체
38 :충전용 배터리 40 : 발열부재
44 : DC잭 46 : 스위치
48 : 커넥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라이터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납공간에는 양극과 음극의 접속단자가 설치된 소정 형상의 라이터본체와; 상기 라이터본체상의 수납공간에서 양극과 음극에 접속되도록 수납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충전용 배터리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라이터본체의 상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발열부재와; 라이터본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별도의 충전회로를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내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잭과; 상기 라이터본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발열부재로 인가되는 전류의 ON/OFF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라이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라이터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라이터(30)는 라이터본체(36)의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수납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한쌍 또는 다수쌍의 양극/음극의 접속단자(34)가 설치된다.
상기 라이터본체(36)상의 수납공간(32)에는 단일 또는 복수의 충전용 배터리(38)가 양극과 음극의 접속단자(34)에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되도록 수납된다.
또, 라이터본체(36)의 상부 일측에는 충전용 배터리(3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열부재(40)가 외부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라이터본체(36)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공지의 충전회로(42)가 설치되며, 라이터본체(36)의 하부면에는 상기 충전회로를 통하여 수납공간(32)내의 양극/음극 접속단자(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잭(44)이 설치된다.
또, 상기 라이터본체(36)상의 소정 위치에는 충전용 배터리(38)로부터 발열부재(40)로 인가되는 전류의 ON/OFF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4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담배(50) 등에 불을 붙이기 위하여 스위치(46)를 누르면, 충전용 배터리(38)로부터 발생된 전류가 양극/음극 접속단자(34)를 통하여 발열부재(40)로 인가되어 발열부재가 점화되며, 스위치(46)를 놓으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서 발열부재(40)가 소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라이터는 한번 충전하여 30-50회 정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용 배터리(38)가 소모되면 다시 충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별도로 마련되는 커넥터(48)의 한쪽 끝을 배터리본체(36)의 저면에 설치된 DC잭(44)에 꽂아 연결하고, 다른쪽 끝은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된 잭에 접속시키면 충전회로(42)와 연결된 충전용 배터리(38)가 다시 충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가스나 휘발유와 같은 가연성 연료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폭발에 따른 자동차의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충전하여 반복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구성요소가 간단하고 바람이 불어도 꺼지지 않으므로 제조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납공간에는 양극과 음극의 접속단자가 설치된 소정 형상의 라이터본체(36)와;
    상기 라이터본체상의 수납공간에서 양극과 음극에 접속되도록 수납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충전용 배터리(38)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라이터본체의 상단부에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발열부재(40)와;
    라이터본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별도의 충전회로를 통하여 상기 수납공간내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DC잭(44)과;
    상기 라이터본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충전용 배터리로부터 발열부재로 인가되는 전류의 ON/OFF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라이터.
KR2020020002713U 2002-01-28 2002-01-28 휴대용 라이터 Expired - Fee Related KR200272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13U KR200272761Y1 (ko) 2002-01-28 2002-01-28 휴대용 라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713U KR200272761Y1 (ko) 2002-01-28 2002-01-28 휴대용 라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761Y1 true KR200272761Y1 (ko) 2002-04-19

Family

ID=7311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71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2761Y1 (ko) 2002-01-28 2002-01-28 휴대용 라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7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554B1 (ko) * 2009-06-19 2014-03-25 김동희 휴대용 뜸 점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554B1 (ko) * 2009-06-19 2014-03-25 김동희 휴대용 뜸 점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3104B2 (en) Power source for starting engines of vehicles and the like
US20160040877A1 (en) Electronic candle lighter
KR200272761Y1 (ko) 휴대용 라이터
KR100286840B1 (ko) 충전식 전기라이터_
US10800309B2 (en) Car cigarette lighter
US5178532A (en) Electrical igniter for gas lighter
JP2003148730A (ja) 電池式ライター
KR20110101653A (ko) 라이타
KR200293339Y1 (ko) 충전이 가능한 코일 가열식 라이터
KR20110096931A (ko) 휴대전화의 라이타기능을 가지는 라이타
KR200351925Y1 (ko) 안전 전기 라이타.
KR20070025001A (ko)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는 액세사리 라이타
KR200249731Y1 (ko) 충전식 전기라이타
RU2662990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зажигалка
CN207081031U (zh) 一种电弧可调节的智能充电点火装置
CN219423722U (zh) 一种可更换电池的喷火魔杖
CN210425105U (zh) 一种环保型电子点烟器
US20010013766A1 (en) Thermal battery emergency system
JPH0335976Y2 (ko)
CN211952830U (zh) 多功能打火机
JPH0311569Y2 (ko)
JP3114481U (ja) 組込型発光回路ユニット及びこれを組み込んでなる着火用ライター
KR200241201Y1 (ko) 전지라이터
JPH022049B2 (ko)
KR20050075259A (ko) 폰라이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1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1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