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1143Y1 -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 Google Patents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43Y1
KR200271143Y1 KR2020020002097U KR20020002097U KR200271143Y1 KR 200271143 Y1 KR200271143 Y1 KR 200271143Y1 KR 2020020002097 U KR2020020002097 U KR 2020020002097U KR 20020002097 U KR20020002097 U KR 20020002097U KR 200271143 Y1 KR200271143 Y1 KR 200271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ab
opening tab
present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명
Original Assignee
이원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명 filed Critical 이원명
Priority to KR2020020002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4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 캔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봉용 탭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절취 시 내용물의 인출공을 이루기 위한 개봉편을 눌러주는 탭의 일부를 일정각도만큼 상향 경사지게 절곡 구성함으로써 캔의 오픈 시 절곡부를 누르면 탭의 파지부가 시이소 식으로 회동되어 위로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손쉬운 파지를 유도하여 캔의 오픈에 취급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the opening tap of can}
본 고안은 음료수 캔의 상부에 설치되는 개봉용 탭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절취 시 내용물의 인출공을 이루기 위한 개봉편을 눌러주는 개봉 탭의 일부를 일정각도만큼 상향 경사지게 절곡 구성함으로써 캔의 오픈 시 절곡부를 누르면 개봉 탭의 파지부가 시이소 식으로 회동되어 위로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손쉬운 파지를 유도하여 캔의 오픈에 취급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음료수 캔 개봉장치는 상부 개봉부에 프레싱 공정으로 개봉용 할절선을 압형(壓形)하여 개봉편을 구획 설치하고 이 개봉편에 둥근 고리가 형성된 개봉 탭을 리벳팅 하여 캔의 개봉 시 상기 개봉 탭의 파지부를 위로 잡아당기면 개봉 탭의 선단부가 하강되면서 개봉편을 눌러 강제적으로 할절선을 절취시켜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개봉장치는 개봉 탭의 파지부가 캔 상면과 거의 밀착되어 있어 이를 손톱으로 들어 올리기가 어려워 부주의 한 경우 손톱을 다치기 쉬운 결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어린이의 경우 개봉작업이 곤란한 경우가 많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개봉 탭을 들어 올려주는 등 사용상 편의성의 저하와 취급이 번거로운 문제점을 노출하는 폐단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봉레버 측에 호형의 융기부를 돌설하여 이 융기부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개봉레버가 들리도록 한 구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융기부를 손가락으로 내려 누를 때 힘이 많이 들고 노약자의 경우 이의 개봉 작동을 제대로 할 수 없어 실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봉 탭의 손쉬운 파지를 유도하여 캔의 오픈 시 취급의 편의성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개봉 탭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개봉편을 눌러주는 개봉 탭의 일부를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절곡 구성되는 절곡부로 구성토록 함으로써 캔의 오픈 시 절곡부를 누르면 개봉 탭의 파지부가 시이소 식으로 회동되어 잡기 용이하게 위로 들려지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캔 2: 상판
3: 할절선 4: 개봉편
5: 파지부 6: 개봉 탭
10: 절곡부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음료수 캔(1)의 상면(2)에는 할절선(3)을 두어 개봉편(4)을 형성하고 이 개봉편(4)의 상부에는 파지부(5)를 구비하는 개봉 탭(6)을 리벳(7)으로 결합하여 개봉 탭(6)을 위로 들어 올림으로써 상기 개봉편(4)이 할절선(3)을 따라 절개되어 캔(1)의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구성 중 개봉 탭(6)의 구조를 새로운 형태로 개선한 것으로 이의 특징은 알루미늄제로 된 개봉 탭(6)의 앞쪽 즉 개봉편(4)을 눌러주는 선단부에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부(10)를 구성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실선은 캔(1)을 오픈 시키기 이전의 상태로서 본 고안 개봉 탭(6)의 파지부(5)는 캔(1)의 상판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며 개봉 탭(6)의 절곡부(10)는 일정각도만큼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캔(1)의 개봉편(4)을 절취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의 가상선에서와 같이 손가락으로 절곡부(10)를 밑으로 누르면 절곡부(10)와 파지부(5)의 경계선이 지렛대의 축지점 역할을 수행하면서 파지부(5)가 회동되어 위로 들려져 캔(1)의 상면(2)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5)가 상면(2)에서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지면 들려진 틈새로 손가락 끝이 쉽게 들어가므로 개봉 탭(6)을 잡기가 보다 용이해지며 파지한 파지부(5)를 당겨주면 절곡부(10)가 하향으로 회동되면서 개봉편(4)을 강제적으로 눌러 할절선(3)을 절취하여 입구를 개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개봉 탭(6)을 들어 올려주는 공간이 협소하여 초래되는 사용상의 불편이 해소되어 신속 간편하게 캔(1)을 개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서 절곡부(10)의 경사각도는 특정한 각도로 한정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45°이하로 하는 것이 적정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개봉 탭의 선단에 경사진 절곡부를 둠으로써 캔의 개봉 시 절곡부를 눌러 지렛대 역할을 통해 파지부를 손쉽게 들어올려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됨으로 남녀, 노소 누구나 손쉽게 개봉 탭을 잡기가 용이하여 캔의 개봉이 편리하고 캔의 제조공정 상에 있어서도 이러한 절곡부의 형성이 작업상 아무런 장애 요인이 되지 않아 실제적으로 모든 음료수 캔에 본 고안을 널리 적용하여 실용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음료수 캔(1)의 상판(2)에 할절선(3)에 의한 개봉편(4)을 형성한 후 상기 개봉편(4)위에 파지부(5)를 갖는 개봉 탭(6)를 착설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봉 탭(6)의 앞쪽 즉 개봉편(4)을 눌러주는 선단부에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절곡부(10)를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KR2020020002097U 2002-01-22 2002-01-22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271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097U KR200271143Y1 (ko) 2002-01-22 2002-01-22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097U KR200271143Y1 (ko) 2002-01-22 2002-01-22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43Y1 true KR200271143Y1 (ko) 2002-04-09

Family

ID=7308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09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1143Y1 (ko) 2002-01-22 2002-01-22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1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7842A (en) Combination can opener
US7240589B2 (en) Beverage container opener
US4412464A (en) Combination can opening tool
US4507988A (en) Beverage receptacle opener
US5947317A (en) Opener for beverage containers
US4391167A (en) Lift-top can opener
US4563919A (en) Can opener for flip top cans
JPH09504495A (ja) 容器のイージーリフト開け
US20100288080A1 (en) Bottle open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257287A (en) Beverage can opener
KR200271143Y1 (ko) 음료수 캔의 개봉 탭 구조
WO1991018822A1 (en) Opener
JP3137912U (ja) プルトップ式缶の開栓構造
WO2003006357A1 (en) Opener for variety of ring-pull containers
KR200273107Y1 (ko) 음료수 캔의 개봉 탭
CN215756323U (zh) 一种易拉罐开瓶器
KR20030064513A (ko) 음료수 캔의 개봉 탭 상승구조
KR20030065740A (ko) 음료수 캔의 개봉 탭
KR20210084034A (ko) 캔홀이 구비되어 개방이 편리한 캔
US2436133A (en) Device to open containers
US7918147B2 (en) Removal device for pour top spouts
KR200207450Y1 (ko) 탭리프터를 구비한 캔 개봉장치
CA1189713A (en) Lift-top can opener
US2835968A (en) Can opener with pivoted lever members
US727356A (en) Combination-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303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327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