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9889Y1 - 차량운반용 트럭 - Google Patents

차량운반용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889Y1
KR200269889Y1 KR2020010017436U KR20010017436U KR200269889Y1 KR 200269889 Y1 KR200269889 Y1 KR 200269889Y1 KR 2020010017436 U KR2020010017436 U KR 2020010017436U KR 20010017436 U KR20010017436 U KR 20010017436U KR 200269889 Y1 KR200269889 Y1 KR 200269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oom
cylinder
arm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덕
Original Assignee
수성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성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7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88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운반용 트럭에 관한 것으로, 운전실(10)과, 이 운전실(10)의 후방에 피운반차를 적재하는 하대(20)로 이루어진 차량운반용 트럭에서, 상기 하대(2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앞쪽에 수직프레임(22a)이 구비되어 피운반차를 적재하도록 된 지지플레이트(22)와, 상기 하대(20)에 붐핀(24a)을 매개로 연결되고 그 붐핀(24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된 붐(24), 한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상부에 제1암핀(26a)을 매개로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지지플레이트(22)의 수직프레임(22a) 선단에 제2암핀(26b)을 매개로 연결된 암(26), 한쪽 선단이 상기 하대(20)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하부에 힌지연결된 붐실린더(25), 한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선단부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암(26)에 힌지연결된 암실린더(27) 및, 상기 하대(20)의 아래쪽으로 연장설치되어 그 하대(20)의 뒤쪽을 받쳐주고 트리거실린더(29)의 신축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된 트리거실린더(29)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뒤쪽에 이송수단을 매개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된 1쌍의 안내지지판(30)을 포함하여, 지지플레이트를 지면에 내린 상태로 피운반차를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운반용 트럭 { A truck for carrying vehicle }
본 고안은 차량운반용 트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플레이트를 회동시켜 지면에 내린 상태로 피운반차를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는 차량운반용 트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운반용 트럭은 한국특허출원 제99-53041호에 게재되어 있는데, 스크류이송축을 이동시키고 링크를 이동시켜 상부플레이트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한 다음 피운반차를 상기 상부플레트로 이동시켜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운반용 트럭은 피운반차를 적재하고 하적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피운반차가 경사지게 적재되므로 커버길 등에서 유동되어 운반차와 닿아서 파손될 수 있으며, 장시간 이동할 때 피운반차량의 현가장치 등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운반차를 편리하게 적재하거나 하적할 수 있으며, 피운반차를 수평상태로 적재하여 이송중에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운반용 트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앞쪽에 수직프레임 구비되어 피운반차를 적재하도록 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하대에 붐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그 붐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된 붐, 한쪽 선단이 상기 붐의 상부에 제1암핀을 매개로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지지플레이트의 수직프레임 선단에 제2암핀을 매개로 연결된 암, 한쪽 선단이 상기 하대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붐의 하부에 힌지연결되어 신축작동함에 따라 상기 붐을 회동시키는 붐실린더, 한쪽 선단이 상기 붐의 선단부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암에 힌지연결되어 신축작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암실린더 및, 상기 하대의 아래쪽으로 연장설치되어 그 하대의 뒤쪽을 받쳐주고 트리거실린더의 신축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된 아웃트리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뒤쪽에 이송수단을 매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출몰하게 설치된 1쌍의 안내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지지판의 이송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단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라켓축과, 하나가 스프라켓축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안내지지판에 지지된 구동스프라켓, 이 구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구동체인, 이 구동체인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스프라켓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 하나가 각각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양측으로 상기 스프라켓축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하나가 각각 상기 안내지지판에 지지된 피동스프라켓, 이들 피동스프라켓을 각각 연결하는 견인체인및, 안내지지판의 양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하대의 앞뒤쪽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선단에 각각 결합부가 형성된 잠금실린더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장설치되고 상기 잠금실린더의 결합부와 선택결합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잠금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운반용 트럭에 의하면, 하대에 대해 붐과 암을 매개로 지지플레이트가 회동가능하게 링크연결되어 있고, 상기 붐과 암이 붐실린더와 암실린더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지면으로 이동됨으로써 피운반차를 적재하고, 역동작될 때 피운반차를 적재한 지지플레이트가 역회동하여 하대에 얹혀지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운반용 트럭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운반용 트럭의 하대구성도,
도 3은 트럭의 지지플레이트과 안내지지판이 결합된 구성도로서,
(a)는 지지플레이트과 안내지지판이 결합된 평면도,
(b)는 지지플레이트와 안내지판이 결합된 측면도,
도 4는 트럭에서 하대와 지지플레이트의 결합부를 부분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운반용 트럭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지지플레이트에 피운반차가 탑재된 상태도,
(b)는 지지플레이트가 붐과 암에 의해 리프팅되는 상태도,
(c)는 지지플레이트가 하대에 닿기 직전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운전실 20 : 하대
22 : 지지플레이트 24 : 붐
25 : 붐실린더 26 : 암
27 : 암실린더 28 : 아웃트리거
29 : 트리거실린더 30 : 안내지지판
31 : 스프라켓축 32,32′: 구동스프라켓
33 : 구동체인 34 : 구동실린더
35,35′: 피동스프라켓 36 : 견인체인
37 : 가이드레일 38 : 잠금실린더
39 : 고정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운반용 트럭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운반용 트럭의 하대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운반용 트럭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10)과 이 운전실(10)의 후방에 피운반차를 적재하는 적재수단을 구비한 하대(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대(20)의 적재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대(2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앞쪽에 수직프레임(22a)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22)와, 상기 하대(20)에 붐핀(24a)을 매개로 연결되고 그 붐핀(24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된 붐(24)과, 한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상부에 제1암핀(26a)을 매개로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지지플레이트(22)의 수직프레임(22a) 선단에 제2암핀(26b)을 매개로 연결된 암(26)과, 한쪽 선단이 상기 하대(20)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하부에 힌지연결되어 신축작동함에 따라 상기 붐(24)을 회동시키는 붐실린더(25), 한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선단부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암에 힌지연결되어 신축작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암실린더(27), 상기 하대(20)의 아래쪽으로 연장설치되어 그 하대(20)의 뒤쪽을 받쳐주고 트리거실린더(29)의 신축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된 아웃트리거(28)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뒤쪽에 이송수단을 매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출몰하게 설치된 1쌍의 안내지지판(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대(20)는 뒤쪽에 하향되게 절곡된 절곡판(20a)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판(20a)의 선단에 안내롤러(20b)가 장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2)를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대(20)는 중앙에 잠금부재(20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는 앞쪽에 수직프레임(22a)이 연장형성되어 있고, 뒤쪽선단에 지면에 닿는 지지롤러(22b)가 장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대(20)의 잠금부재(20c)와 결합하는 결합부재(22c)가 동일선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붐(24)은 하대(20)에 붐핀(24a)을 매개로 연결되고 그 붐핀(24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붐(24)은 하대(20)에 뉘어져 있고, 상기 붐실린더(25)의 신축작동에 따라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붐실린더(25)는 한쪽 선단이 제1연결핀(30a)을 매개로 상기 하대(20)에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제2연결핀(30b)을 매개로 상기 붐(24)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붐실린더(25)는 신장될 때 붐핀(24a)을 중심으로 붐(2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수축될 때 붐(2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암(26)은 한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상부에 제1암핀(26a)을 매개로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지지플레이트(22)의 수직프레임(22a) 선단에 제2암핀(26b)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암(26)은 지지플레이트(22)와 붐(24)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 역할을 한다.
상기 암실린더(27)는 한쪽 선단이 제3연결핀(32a)을 매개로 상기 붐(24)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제4연결핀(32b)을 매개로 암(26)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암실린더(27)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2)와 붐(24)의 사이거리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웃트리거(28)는 하대(20)에 아래쪽으로 연장부(28a)가 연장설치되고, 이 연장부(28a)에 지지부(28b)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웃트리거(28)는 트리거실린더(29)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28b)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트리거실린더(29)는 한쪽 선단이 상기 하대(20)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아웃트리거(24)의 지지부(28b)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상기 안내지지판(30)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뒤쪽에 이송수단을 매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지지판(30)은 피운반차가 지지플레이트(22)의 위쪽으로 올라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후단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라켓축(31)과, 상기 스프라켓축(31)에 고정결합된 구동스프라켓(32),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스프라켓(32′), 이 구동스프라켓(32,32′)을 연결하는 구동체인(33), 이 구동체인(33)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스프라켓축(31)을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34), 각각 상기 구동스프라켓(32)의 양측으로 상기 스프라켓축(31)에 각각 고정설치된 두개의 피동스프라켓(35),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된 두개의 피동스프라켓(35'), 양단이 피동스프라켓(35,35′)에 무한궤도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견인체인(36) 및, 상기 안내지지판(30)의 양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실린더(34)는 로드선단에 고정핀(34a)을 매개로 상기 구동체인(33)에 연결되어 신축작동함에 따라 구동체인(33)을 밀거나 당겨서 스프라켓축(31)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상기 안내지지판(30)은 상기 고정핀(30a)을 매개로 견인체인(36)에 연결되어 있다.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지지판(30)은 상기 견인체인(36)의 일측에 고정핀(30a)으로 고정설치되어 견인체인(36)과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써 상기 가이드레일(37)에 안내지지되면서 상기 구동실린더(34)가 신축작동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22)로 출몰하게 되는 것이다.다시말하면, 상기 스프라켓축(31)은 구동스프라켓(32)이 구동체인(33)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그 구동스프라켓(32)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피동스프라켓(35)은 그 스프라켓축(3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견인체인(36)을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안내지지판(30)이 견인체인(36)에 의해 가이드레일(37)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하대(20)와 지지플레이트(22) 사이에는 잠금수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하대(20)의 앞뒤쪽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선단에 각각 결합부(38a)가 형성된 잠금실린더(38)와, 상기지지플레이트(22)에 연장설치되고 상기 잠금실린더(38)의 결합부(38a)와 선택결합하는 고정부재(3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실린더(38)는 양방향으로 작동되는 복동형 실린더로 되어 있고, 선단에 각각 수용결합부(34a)가 형성되어 실린더가 신축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2)에 설치된 고정부재(39)를 덮어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하대(20)의 적재수단을 통하여 피운반차를 적재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와 같이, 붐실린더(25)와 암실린더(27)를 작동시켜 붐(24)과 암(26)을 회동시킴으로써 지지플레이트(22)를 지면으로 내리고 안내지지판(30)을 인출한 상태에서 피운반차를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상부에 올린다. 그 후, 도 5b와 같이, 붐실린더(25)와 암실린더(27)를 작동시켜서 지지플레이트(22)의 앞쪽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고, 지지플레이트(22)의 앞쪽선단이 하대(20)의 안내롤러(20b)에 걸쳐지게 한다. 그 후 붐실린더(25)와 암실린더(27)를 더 작동시키면 도 5c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2)가 안내롤러(10b)에 안내되어 하대(20)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붐실린더(25)가 하대(20)에 뉘어질 때 지지플레이트(22)는 하대(20)에 수평되게 얹혀지게 된다. 이 때, 도 4에서의 잠금실린더(38)를 작동시켜 하대(20)와 지지플레이트(22)가 맞물려 결합되게 한다. 최종적으로, 구동실린더(34)를 작동시켜 안내지지판(30)을 지지플레이트(22)의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 구성에 의하면, 하대(10)에 대해 붐(24)과 암(26)을 매개로 지지플레이트(22)가 회동가능하게 링크연결되어 있고, 상기 붐(24)과 암(26)이 붐실린더(25)와 암실린더(27)에 의해 작동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2)가 회동하여 지면으로 이동됨으로써 피운반차를 손쉽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운반용 트럭에 의하면, 기존과 달리 지지플레이트를 지면에 내려서 피운반차를 적재하고 하적하도록 되어 피운반차의 적재 및 하적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피운반차가 운반차에 수평상태로 적재됨으로써 이송중에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운전실(10)과, 이 운전실(10)의 후방에 피운반차를 적재하는 하대(20)로 이루어진 차량운반용 트럭에 있어서,
    상기 하대(2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앞쪽에 수직프레임(22a)이 구비되어 피운반차를 적재하도록 된 지지플레이트(22);
    상기 하대(20)에 붐핀(24a)을 매개로 연결되고 그 붐핀(24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된 붐(24);
    한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상부에 제1암핀(26a)을 매개로 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지지플레이트(22)의 수직프레임(22a) 선단에 제2암핀(26b)을 매개로 연결된 암(26);
    한쪽 선단이 상기 하대(20)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하부에 힌지연결되어 신축작동함에 따라 상기 붐(24)을 회동시키는 붐실린더(25);
    한쪽 선단이 상기 붐(24)의 선단부에 힌지연결되고 다른쪽 선단이 암(26)에 힌지연결되어 신축작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암실린더(27);
    상기 하대(20)의 아래쪽으로 연장설치되어 그 하대(20)를 지지하고, 하대(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트리거실린더(29)와 힌지결합되어 그 트리거실린더(29)의 신축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된 아웃트리거(28);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뒤쪽에 이송수단을 매개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출몰하게 설치된 1쌍의 안내지지판(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반용 트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지판(30)의 이송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2)의 후단에 폭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라켓축(31)과, 하나가 스프라켓축(31)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하나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스프라켓(32,32′), 이 구동스프라켓(32,32′)을 연결하는 구동체인(33), 이 구동체인(33)을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스프라켓축(31)을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34), 하나가 각각 상기 구동스프라켓(32)의 양측으로 상기 스프라켓축(31)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하나가 각각 상기 지지플레이트(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동스프라켓(35,35′), 이들 피동스프라켓(35,35′)에 무한궤도식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안내지지판(30)의 일측에 고정핀(30a)으로 고정설치되어 고정핀(30a)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안내지지판(30)을 이동시키는 견인체인(36) 및, 안내지지판(30)의 양측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반용 트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대(20)의 앞뒤쪽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선단에 각각 결합부(38a)가 형성된 잠금실린더(38)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2)에 연장설치되고 상기 잠금실린더(38)의 결합부(38a)와 선택결합하는 고정부재(39)로 이루어진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운반용 트럭.
KR2020010017436U 2001-06-12 2001-06-12 차량운반용 트럭 Expired - Fee Related KR200269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36U KR200269889Y1 (ko) 2001-06-12 2001-06-12 차량운반용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36U KR200269889Y1 (ko) 2001-06-12 2001-06-12 차량운반용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889Y1 true KR200269889Y1 (ko) 2002-03-27

Family

ID=7310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43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9889Y1 (ko) 2001-06-12 2001-06-12 차량운반용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8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08B1 (ko) * 2011-05-12 2013-02-22 정종수 점자 인쇄장치
KR101830076B1 (ko) 2017-04-21 2018-02-20 주식회사 호원정공 차량용 아웃트리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08B1 (ko) * 2011-05-12 2013-02-22 정종수 점자 인쇄장치
KR101830076B1 (ko) 2017-04-21 2018-02-20 주식회사 호원정공 차량용 아웃트리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3707A (en) Side loading apparatus for trash collection system
US8444365B2 (en) Roll off hoist with hinged tail and hydraulic reeving system
US5000645A (en) Apparatus for handling containers, load pallets or similar load units, and structure of the load units
US3521780A (en) Truck-mounted lifting device
FI58285B (fi) Anordning pao en lastbil foer lastning och avlastning resp tippning av en behaollare
CN105383351B (zh) 折臂式集装箱装卸搬运机
US3454175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US7112030B2 (en) Roll off hoist with front retractable loading frame
US3214046A (en) Container handling mechanism
US4645406A (en) Container loader and transport assembly
NL2004268C2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KR200269889Y1 (ko) 차량운반용 트럭
US3876088A (en)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goods vehicles
JP2006225100A (ja) 搬送補助装置およびこの搬送補助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
JP2733013B2 (ja) トラックローダー
JP2782304B2 (ja) バケット移載方法
KR100470179B1 (ko) 장비 상차 및 하차장치
EP0049826B1 (en) Load storage station, particularly for the stowing of ships
CN221113653U (zh) 一种物流运输升降卸货车厢
JP3177689B2 (ja) 反転バケット付き運搬装置
JPH08301429A (ja) 自走式コンベア
CN219904515U (zh) 副车架及集装箱运输车
RU2268827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JP2011148475A (ja) トラックおよびトラック用の荷台スライド傾斜装置
JP2000108757A (ja) 貨物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803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31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