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9760Y1 - 배관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배관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760Y1
KR200269760Y1 KR2020010037578U KR20010037578U KR200269760Y1 KR 200269760 Y1 KR200269760 Y1 KR 200269760Y1 KR 2020010037578 U KR2020010037578 U KR 2020010037578U KR 20010037578 U KR20010037578 U KR 20010037578U KR 200269760 Y1 KR200269760 Y1 KR 200269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aw
spring
inlet
pa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윤
Original Assignee
김석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윤 filed Critical 김석윤
Priority to KR2020010037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60Y1/ko
Priority to PCT/KR2002/002238 priority patent/WO2003048625A1/en
Priority to AU2002365787A priority patent/AU2002365787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with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the wedge element being axially displaceable for releasing th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를 손쉽고 빠르게 분해조립할 수 있는 배관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통형의 조인트 몸체의 내부양측에 삽입파이프의 종단이 닿는 걸림턱을 설치하고 걸림턱에서부터 일정부분은 파이프 외경에 밀착되어 파이프가 고정되는데 기여하며, 이곳에서부터 내부는 확개되어 입구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테이퍼를 준 몸체는 테이퍼의 끝부분에서 기역자로 꺽여 파이프가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한다.
내부의 확개되는 부분에는 수밀을 유지하도록 패킹이 설치되고 패킹이 끝나는 부분에는 환형의 패킹받침구를 설치한다.
패킹받침구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을 몸체에 내설하되 상기 스프링은 파이프가 삽입되는 입구쪽의 끝권에 둘 이상의 사다리꼴이 형성되어 그곳에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죠오(jaw)를 끼워 넣게한다.
상기 죠오는 상기 스프링의 사다리꼴 형상에 느슨하게 끼워져 파이프 삽입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도 자유스럽게 움직이며, 스프링이 압축.복원되면 이에따라 파이프 삽입방향과 평행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죠오가 파이프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움직이는 부분의 몸체내면은 입구부분으로 점점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므로 스프링이 탄발되면 죠오가 몸체내면과 파이프외면 사이에 끼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파이프가 삽입되는 입구는 테이퍼가 끝나는 부분에서 내부로 기역자 형태로 꺽여 상기 죠오가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상기 입구에는 파이프 삽입방향과 일치하는 관통구를 설치하고 상기 관통구를 이용, 요철이 맞게 설계된 고정편을 몸체 입구와 파이프 사이에 삽입하여 파이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를 이용, 송곳같은 기구를 삽입하여 스프링을 압축하면 죠오가 테이퍼의 넓은 부분으로 밀려가서 파이프가 쉽게 빠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조인트{Joint For Plumbing}
본 고안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배관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손쉽고 빠르게 조립분해할 수 있는 배관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전력선, 전화선 등의 전기배관, 수도관, 가스관, 오수관 등의 유체배관, 공압 또는 유압설비용 압력배관에는 수많은 조인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자형 조인트, "L"자형 조인트, "T"자형 조인트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나사결합을 이용하는 조인트의 경우에는 확실하고 영구적인 배관이 가능한 반면, 좁은 공간에서 나사 체결 및 해제작업을 하기가 불편했고, 배관에 많은 시간과 노동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간편하게 파이프를 연결하고,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 배관작업을 완수하기 위해 단순 삽입식의 조인트가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러한 단순삽입식 배관용 조인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배관용 조인트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관용 조인트(10)는 파이프 연결구 양측몸체가 외향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면(테이퍼)(13)을 갖는 몸체 내부에 다수의 삽입공에 죠오(jaw)(16)가 끼워진 죠오 커플링(14)을 내설하되 죠오 커플링(14)을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17) 일측에는 패킹(19)과 패킹받침구(18)를 설치하여 수밀을 유지하도록 한 구성이다. 파이프(30)와 파이프(30)를 연결시에는 파이프 연결구 입구의 죠오 커플링(14)에 파이프의 단부를 밀어 끼우면 견고히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파이프 연결구(10)에서 파이프(30)를 분리시에는 죠오 커플링(14)을 눌러 죠오(16)가 파이프를 고정한 상태를 해제시켜 파이프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파이프 죠오(16)는 상기 테이퍼부 내주면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그 내경이 축소 또는 확장되면서 내측에 끼워진 파이프(30)를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배관용 조인트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이프(30)를 삽입할 경우 죠오(16)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내경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30)는 죠오(16)의 별다른 저항없이 걸림턱(12)까지 진입하게 된다. 파이프(30)의 위치가 고정되면 패킹(19)에 의해 파이프의 외부와 내부는 독립되고, 따라서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죠오(16)가 파이프 삽입구(11)측으로 밀리면서 파이프(30)의 외경과 테이퍼부(13)의 내경사이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만약, 이러한 상태에서 파이프(30)를 빼려고 할 경우, 그 힘에 의해 죠오(16)와 테이퍼부(13) 내경 및 파이프(30) 외경에는 더욱 큰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는 죠오(16)가 쐐기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순히 파이프(30)를 잡아 당겨서는 파이프(30)가 빠지지 않도록 동작된다.
만약 파이프(30)를 빼려고 하는 경우에는 죠오커플링(14)을 눌러 후퇴시킨다. 그러면 스프링(17)이 압축되면서 죠오(16)와 테이퍼부(13) 내경 사이에는 빈틈이 생긴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으로 파이프(30)를 인출할 경우 파이프(30)가 빠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용 조인트(10)는 죠오(16)를 끼워넣기 위해 죠오커플링(14)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죠오커플링(14)은 제작단가를 줄이기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금속제품에 이질적인 재료가 사용되는 단점이 있었고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정역방향에서는 고정되나 파이프(30)가 회전한다는 단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했다.
파이프(30)의 회전이 심하면 죠오(16)와 스프링(17),패킹받침구(23)에 충격을 주게 되어 수명과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파이프(30)도 죠오(16)에 의해 손상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별도의 보조동작없이 간단하게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분리할 수 있는 배관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체결성과 밀봉성이 높아 영구결합 및 임시결합에도 널리 사용할 수 있는 배관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나사체결 방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손쉽게 배관작업을 할 수 있는 배관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4 목적은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하여 불량율을 낮추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배관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5 목적은 결합된 파이프의 회전을 방지하여 스프링의 기능을 보지하고 파이프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배관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용 조인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조인트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결합시 죠오의 위치설명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파이프 결합상태를 입구쪽에서 본 그림,
도 5는 본 고안에서의 스프링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의 죠오 및 스프링 결합도,
도 7은 본 고안에서의 고정편의 1예도.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종래의 파이프연결구 몸체, 12,21 : 걸림턱,
13,29 : 테이퍼부, 14 : 죠오커플링,
16,25 : 죠오, 17,24 : 스프링,
18,23 : 패킹받침구, 19,22 : 패킹,
20 : 본 고안의 조인트 몸체, 26 : 입구,
27 : 관통구, 28 : 고정편,
30 : 파이프 31 : 죠오케리어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구 양측 몸체에 파이프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배관용 조인트에 있어서,
중앙부 양측에는 연결되는 파이프(30)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걸림턱(12)이 형성되고 걸림턱에서 입구쪽으로 파이프를 지지하며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는 일정부분을 지나면 그 양측에는 내부가 확개되어 입구(11)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는 테이퍼(29)가 끝나는 부분에서 기역자로 꺽여 파이프가 삽입되는 입구(26)를 형성한다.
몸체 내부의 확개된 부분에는 조인트의 수밀을 유지하는 패킹(22)이 있다.
몸체 내부의 패킹(22)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파이프(30)의 외경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패킹(22)과 연접되어 스프링(24)이 설치되는바, 상기 패킹과 상기 스프링사이에는 환형의 패킹받침구(23)가 있어 스프링의 탄발력을 패킹(22)에 골고루 미치게 한다.
몸체(20)에서 패킹(22)과 스프링(24)이 설치되는 부분의 내면은 설계의 필요에 따라 테이퍼아닌 원통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4)의 몸체 입구(26)쪽 마지막 한권(24a)은 둘이상의 사다리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다리꼴 형상에는 파이프(3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죠오(25)가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의 사다리꼴 형상에는 몸체내벽과 파이프외벽 사이에 끼워질 죠오(25)가 끼워진다. 상기 죠오(25)는 몸체(20)와 접하는 부분은 매끄럽게 처리되고 파이프와 닿는 부분은 빗살무늬의 홈이 파여져 파이프에 대한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24)의 사다리꼴 형상에 헐겁게 끼워져 몸체(20)와 파이프(30) 사이의 간격을 일정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몸체내면과 닿는 부분의 면적은 사다리꼴 내부면적보다 커서 몸체(20) 내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설계된다.상기 스프링의 사다리꼴 형상은 원통형의 죠오케리어(31)로 대체될 수 있다.원통형의 죠오케리어(31)에 죠오(25)의 형상에 맞춰 구멍을 뚫고 그곳에 죠오(25)를 삽입하면 큰 직경의 조인트에 유용하다. 스프링의 탄발력을 잘 받기위해 스프링과 죠오케리어(31) 사이에 링을 설치하거나 죠오케리어(31)의 밑면을 넓게 펼쳐 스프링과 밀착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죠오(25)가 스프링(24)의 탄발에 의해 움직여지는 부분의 몸체내면은 입구(26)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테이퍼(29)가 형성되었으며 테이퍼(29)가 끝나는 좁은 쪽의 끝은 상기 죠오(25)가 입구 밖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환형의 기역자로 꺽여져 있다. 상기 입구는 조립의 편의를 위해 멈춤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죠오(25)는 상기 입구(26)에서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 파이프(30)가 삽입될 때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죠오(25)를 삽입방향으로 밀게된다.
상기 몸체의 입구(26)에는 파이프 삽입 방향과 평행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27)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젓가락 같은 길고가는 공구(미도시)로 스프링(24)을 압축, 파이프(30)를 뺄 수 있으며 이 구멍(27)을 턱으로 이용한 고정편(28)을 파이프(30)와 상기 입구(26) 사이에 삽입, 쐐기 작용을 하여 파이프(3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27)를 통해 패킹받침구(23)도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파이프(30)와 파이프(30)를 연결시, 배관용 조인트 양측 몸체(20) 입구(11)로 파이프(30)의 일측 단부를 밀어 끼우면 파이프(30)가 삽입시 스프링(24)의 사다리꼴형상에 삽입된 죠오(25)를 밀면서 삽입되어 조인트 중앙 내측의 걸림턱(21)에 대응된다.
파이프(30)가 몸체로 인입될 때 파이프(30)의 단부가 죠오(25)를 밀면서 내측으로 인입되므로 스프링(24)이 압축되게된다.
상기 스프링의 사다리꼴형상에 끼워진 죠오(25)는 인입되는 파이프(30)의 힘에 의하여 스프링(24)을 압축하면서 몸체(20) 내측 확개부분으로 이동함으로 몸체내벽으로 약간 밀리는 상태가 되고 파이프의 외벽까지 밀리면 파이프(30)는 계속 삽입되어 중앙내부의 걸림턱(21)과 밀착되고 패킹에 의해 수밀된다.
죠오(25)가 파이프(30)의 외벽까지 밀리면 압축되었던 스프링(24)이 탄발되면서 죠오(25A)를 밀게되므로 죠오(25)가 몸체(20)의 내벽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입구(26)측의 몸체 내벽과 파이프 외벽 사이에 끼워져 쐐기작용(25B)을 하게되고 파이프(30)는 삽입된 방향으로 갈 수 없으며 역방향은 걸림턱(21)에 막혀있어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정역방향에서 견고히 고정된다.
그러나 삽입된 파이프(30)는 회전이 가능하여 외부에서 힘을 가해져 회전되면 파이프(30)표면이 죠오(25)에 의해 손상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관통구(27) 위치에서 돌기가 있는 고정편(28)을 몸체 입구와 파이프사이의 틈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편(28)이 쐐기 작용을하여 파이프(30)의 회전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편(28)은 입구(26)와 파이프(30) 사이에 삽입되도록 파이프(30)에 닿는 면은 원통의 일부형상이나 몸체에 닿는 면의 일부분은 돌기형상으로 설계하여 상기 돌기가 관통구(27)에 삽입되어 고정이 쉽게 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편(28)의 파이프(30)와 접촉면에 삽입방향을 따라 직선의 돌출무늬를 내면 파이프(30)의 회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파이프(30)를 파이프 연결관(10)에서 해체 시에는 상기 관통구(27)의 턱을 지렛대의 힘점으로 이용하여 고정편(28)을 빼내고 상기 관통구(27)에 송곳같은 기구를 삽입하여 스프링을 누르면 스프링의 사다리꼴형상에 끼워진 죠오(25)가 내측으로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29)를 따라 몸체(20)의 넓은 부분으로 내려가게 됨으로써 파이프가 죠오(25)의 쐐기작용에서 해방되어 쉽게 빠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조인트에 의하면, 별도의 보조동작없이 극히 간단하게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파이프가 삽입되는 정.역방향에서 고정될 뿐 아니라 파이프 회전으로 인한 파이프의 손상이 방지되어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체결성과 밀봉성이 높아 영구결합 및 임시결합에도 널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나사체결 방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쉽고 빠르게 배관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성 부품수를 최소화할수 잇고 동일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어 불량율을 낮추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2)

  1. 조인트 양측 입구에 파이프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배관용 조인트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연결되는 파이프(30)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 크기가 되도록 걸림턱(2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1)에서 입구쪽으로 일정부분은 파이프를 지지하며 파이프의 외경에 밀착되고, 상기 일정부분을 지나면 그 양측에는 내부가 확개되어 입구(11)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부(29)가 끝나는 부분에서 기역자로 꺽여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 내부에는 중앙의 확개부분에 상기 파이프(30)의 외경에 밀착되어 수밀작용을 하는 패킹(22)과;
    상기 패킹(22)과 상기 스프링(30)사이에 설치되어 패킹과 스프링을 분리하는 패킹받침구(23)와;
    상기 패킹받침구(23)에 의해 일단이 지지되고 입구쪽 마지막 권은 둘이상의 사다리꼴을 형성하여 죠오(25)를 끼워 넣게 되고 최근접권과 접하는 스프링(24)과;
    상기 스프링(30)의 사다리꼴형상에 끼워지며 상기 몸체(20)의 테이퍼부(29)와 접촉되는 면은 매끄럽고 상기 파이프(30)와 접촉되는 면은 빗살무늬가 형성되어 파이프에 대한 마찰을 극대화할 수 있어 상기 파이프(30) 삽입시 몸체내면과 파이프외면 사이에 끼워져 파이프(30)를 고정하는 죠오(25)가 있고;
    상기 몸체(20)의 입구(26)에는 파이프(3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편(28)을 끼워 넣을 수 있고 상기 파이프(30)를 뺄 때 이를 통해 스프링(24)을 수축할 수 있도록 파이프(30)삽입방향과 평행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27)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조인트.
  2. 제1항에서 스프링의 사다리꼴형상을 원통형의 죠오케리어로 대체한 배관용 조인트
KR2020010037578U 2001-12-03 2001-12-03 배관용 조인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269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578U KR200269760Y1 (ko) 2001-12-03 2001-12-03 배관용 조인트
PCT/KR2002/002238 WO2003048625A1 (en) 2001-12-03 2002-11-29 Joint for plumbing
AU2002365787A AU2002365787A1 (en) 2001-12-03 2002-11-29 Joint for plumb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578U KR200269760Y1 (ko) 2001-12-03 2001-12-03 배관용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760Y1 true KR200269760Y1 (ko) 2002-03-25

Family

ID=1971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57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9760Y1 (ko) 2001-12-03 2001-12-03 배관용 조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69760Y1 (ko)
AU (1) AU2002365787A1 (ko)
WO (1) WO20030486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027B1 (ko) * 2007-12-04 2010-01-06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 연결구용 조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20632U1 (de) * 2006-03-20 2009-04-09 R. Nussbaum Ag Anschlussstück
CN102434741A (zh) * 2011-11-04 2012-05-02 王树森 直插式快速装拆管接结构及其使用方法
JP2013245744A (ja) * 2012-05-25 2013-12-09 Jfe Pipe Fitting Mfg Co Ltd 差込式管継手
MY159566A (en) * 2013-04-02 2017-01-13 Chezy Ind Sdn Bhd Mechanical pipe joint
KR101543367B1 (ko) * 2014-11-17 2015-08-11 이주헌 삽입 고정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1543370B1 (ko) 2014-11-17 2015-08-11 이주헌 삽입 고정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제조방법
CN106195494B (zh) * 2016-08-29 2019-10-18 杭州温格科技有限公司 快速接头
NL2019193B1 (en) * 2017-07-06 2019-01-16 M & G Group Europe B V Pipe coupling
KR101983908B1 (ko) * 2017-11-30 2019-05-29 김봉관 연결장치
CN112066124A (zh) * 2020-09-11 2020-12-11 罗兰自控阀业(上海)有限公司 一种快速可拆卸管道接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6523A (en) * 1972-11-22 1974-07-30 Parker Hannifin Corp Quick connect tube coupling joint
US4641861A (en) * 1984-06-01 1987-02-10 O.E.M. Technical Sales, Inc. Flexible joint for pipes
JP3301304B2 (ja) * 1996-03-28 2002-07-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ノズル交換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027B1 (ko) * 2007-12-04 2010-01-06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 연결구용 조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65787A1 (en) 2003-06-17
WO2003048625A1 (en)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663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US20170343142A1 (en) Pipe connecting device using rotary wedge
KR200269760Y1 (ko) 배관용 조인트
WO2016108517A1 (ko)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CN110709636B (zh) 具有覆盖管道的功能的管道联接器
KR200347218Y1 (ko) 배관용 조인트
JP2004537696A (ja) パイプカップリング
JP2010059642A (ja) 接続部受口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管継手、ます、パイプ
KR200269752Y1 (ko) 배관용 조인트
EP1366318A1 (en) Coupling for connection of a tube or hose by pushing-in
KR200220136Y1 (ko) 파이프 연결구
CN212056271U (zh) 一种水管快接头
KR200449616Y1 (ko) 상,하수도관용 연결클립
JPH1019178A (ja) 管継手
KR102389848B1 (ko) 스테인리스 강관 연결구
KR20120111363A (ko)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81923Y1 (ko)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491054B1 (ko) 신축성에 대응하는 파이프연결구를 갖는 파이프 및 그것을 사용한 수도배관 설치구조
JP2005308139A (ja) 管継手構造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38939Y1 (ko) 배관용 조인트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CN114776915B (zh) 一种管道快速接头
KR20180124656A (ko) 지하 매설용 파형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20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2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