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7994Y1 -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994Y1
KR200267994Y1 KR2020010028497U KR20010028497U KR200267994Y1 KR 200267994 Y1 KR200267994 Y1 KR 200267994Y1 KR 2020010028497 U KR2020010028497 U KR 2020010028497U KR 20010028497 U KR20010028497 U KR 20010028497U KR 200267994 Y1 KR200267994 Y1 KR 200267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exercise
frame
sho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진
Original Assignee
정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진 filed Critical 정대진
Priority to KR2020010028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994Y1/ko
Priority to CNU029000114U priority patent/CN2741605Y/zh
Priority to JP2003600030U priority patent/JP3122597U/ja
Priority to PCT/KR2002/001695 priority patent/WO2003024539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18User-manipulated weight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without substantial friction, i.e. using inertial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앉거나 누워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는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운동기구는 신발, 프레임(Frame), 바퀴, 중량체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상기 신발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양쪽 옆면에 상기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옆면에 상기 증량체가 설치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발에 착용하고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운동기구로서 특히 다리 골절에 충격이나 압박 없이 편안한 자세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운동기구이다.

Description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Indoor Sporting Goods For Leg Exercise}
본 고안은 앉거나 누운 자세로 다리를 뻗고 당기는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로서 특히 다리 골절에 충격이나 압박을 가하지 않고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에게 있어서 건강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운동이 필요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적당한 운동은 근육과 관절을 강화시켜주며, 몸의상태를 좋게 만들어주며 기분도 상쾌하게 한다. 또한 운동은 다이어트(Diet) 수단으로서 가장 효율적인 수단 중 하나이며, 청소년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운동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운동 중에서도 다리운동은 모든 운동의 기본이 되는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다리운동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걷기, 달리기, 줄넘기, 등산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의 운동들은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하기가 어렵고, 발을 지면에 내딛을 때 다리에 충격을 줘 무리하게 운동을 할 경우 관절염을 일으키거나 근육을 다치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들 운동의 대부분은 서서하는 운동으로 다리로 체중을 지탱해야 하므로 다리에 많은 부하가 걸리고 혈액이 다리로 모이므로 다리에 피로감이 쉬 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내용 다리운동기구로서 실내용 자전거, 런닝머신 등이 있으나 이들 운동기구도 다리에 충격을 주거나 압박을 가하고 혈액이 다리로 모이게 하는 단점이 있으며, 가격이 비싸고 집안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다리에 충격이나 압박을 가하지 않는 운동으로서 수영이 있으나 수영장으로 가야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부담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앉거나 누운 자세로 다리를 뻗고 당기는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를 제공하고 특히 다리에 충격이나 압박을 주지 않고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소형이며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고 아무 때나 손쉽게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다리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2 : 프레임
3 : 바퀴
4 : 중량체
중량체 : 아령이나 역기 등에 무게를 조절하기 위하여 달리는 것으로 무거운 재질로 만들어지며 주로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것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람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신발, 프레임(Frame), 상기 신발이 앞뒤로 원할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바퀴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윗면에 상기 신발이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양쪽 옆면에 상기 바퀴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한쪽 옆면 또는 양쪽 옆면에 운동하는 사람의 신체조건에 따라 무게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량체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운동기구를 착용하고 앉거나 누운 자세로 다리를 뻗고 당기는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다리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리 운동기구는 사람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1), 상기 신발(1)의 밑면에 설치되며 양쪽면에 각각 한 개씩 바퀴가 설치되는 프레임(2), 사람이 발로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신발(1)이 앞뒤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의 양쪽 옆면에 설치되는 바퀴(3)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형편에 맞게 운동량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상기 프레임(2)의 한쪽 옆면 또는 양쪽 옆면에 증량체(4)를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발(1)은 본 운동기구를 발에 착용하고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본 운동기구를 발로 밀거나 당길 때 벗겨지지 않는 구조로 한다. 본 운동기구를 발로 밀 때에는 발바닥이 지면과 거의 평행인 상태에서 발바닥으로 밀기 시작하고 본 운동기구를 발로 당길 때에는 발바닥이 지면에 대해 세워진 상태에서 발등으로 당기기 시작하게 된다. 발을 당길 때 상기 신발(1)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신발(1)이 최소한 발뒤꿈치와 발등을 단단히 지지해 주거나 발목을 단단히 지지해 줄 수 있는 구조의 신발이어야 한다. 상기 신발(1)로는 운동화, 구두, 부츠(Boots), 샌달(Sandal) 등 어떠한 형태의 신발도 가능하나 본 운동기구가 실내용이므로 발에 착용하기가 용이한 샌달형의 신발이 무방하다. 샌달형의 신발에는 발목을 단단히 지지해 주며 신발을 용이하게 신거나 벗을 수 있도록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밴드(Band)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은 상기 신발(1)을 지지해주고 상기 신발(1)에 상기 바퀴(3)를 달아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2)의 윗면에는 상기 신발(1)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이 양쪽 옆면에는 상기 바퀴(3)가 좌우 각각 한개씩 설치된다. 상기 바퀴(3)는 본 운동기구를 발에 착용하고 운동할 때 상기 신발(1)의 뒤꿈치가 지면에 닿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2) 상에 상기 바퀴(3)는 상기 바퀴(3)의 축으로부터 상기 신발(1)의 발뒤꿈치까지의 길이가 상기 바퀴(3)의 반경보다 작게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 상에 상기 바퀴(3)의 설치위치는 상기 신발(1)의 발바닥 부분, 뒷꿈치 부분 등이 가능하나 본 운동기구를 발로 밀 때 힘을 가하기 용이한 위치인 상기 신발(1)의 밑바닥 뒤쪽 부분이 적당하다.
상기 바퀴(3)는 본 운동기구가 원활하게 바닥 위를 구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는 고무나 우레탄(Urethane) 등 탄력있는 재질로 되어 있고 중앙 부분은 베어링을 삽입한 바퀴가 좋을 것이다. 상기 바퀴(3)는 상기 프레임(2)의 옆면에 암나사 또는 수나사를 형성하여 볼트 또는 너트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프레임(2)의 옆면에 상기 바퀴를 끼울 수 있는 축을 만들고 핀(Pin)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중량체(4)는 운동량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대개 무거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중량체(4)가 무거우면 운동량은 커질 것이고 가벼우면 운동량은 적어진다. 운동량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달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발의 바깥쪽과 안쪽, 즉 상기 프레임(2)의 좌우 중 어느 한쪽에만 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중량체(4)는 아령이나 역기의 중량체 처럼 임의로 착탈이 가능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중량체(4)의 모양은 가운데 구멍이 뚫린 원통형, 즉 도우넛(Doughnut)형으로 하여 상기 바퀴(3)와 함께 상기 프레임(2)에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 중량체(4)는 상기 프레임(2)의 옆면에 상기 바퀴(3)와 동일축 상에 상기 바퀴(3)와 함께 다는 것이 무난하다. 한편 상기 중량체(4)는 예컨대 1kg, 2kg, 3kg과 같이 무게가 각기 다른 중량체를 달도록 할 수도 있으며, 1kg짜리 증량체를 여러개 달아 원하는 무게를 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중량체(4)는 지면에 닿지않도록 상기 프레임(2)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중량체(4)를 상기 바퀴(3)와 동일한 축상에 설치할 경우 상기 중량체(4)의 크기는 상기 바퀴(3) 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중량체(4)는 상기 프레임(2)과 상기 바퀴(3)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바퀴(3)의 바깥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운동기구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본 운동기구를 착용하고, 앉거나 누워서 발을 뻗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한다. 달리기하듯이 두 발을 서로 반대로 뻗고 당길 수도 있으며, 점프하듯이 두 발을 동시에 뻗고 당길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면 다리자체의 무게와 본 운동기구의 무게 만큼을 밀고 당기는 운동을 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다리 운동기구는 상기와 같이 앉거나 누운 자세로 다리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다리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박이 거의 없는 상태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혈액이 다리에 몰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노약자의 다리운동이나 환자의 재활운동에 매우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발이 지면에 근접하여 운동이 이루어진다는 단점은 있으나 걷기, 달리기, 점프 등 다양한 다리운동을 할 수 있어 다리 근력을 단련시키거나 다이어트를 하려는 사람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를 적당히 가감할 수 있어 사용자의 능력에 맞도록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소형이므로 집안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갖고 다니면서 아무데서나 운동을 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지 않는다.
또한 중량제를 적당히 부착하고 빠른 속도로 다리를 뻗으면 다리가 완전히 뻗쳐진 직후에 중량체는 관성에 의해 발을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오랫동안 서있어야 하는 사람의 경우 체중에 의해 압축되었던 다리를 풀어주는데 효과가 있고, 성장기의 아동이나 청소년의 다리 성장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중량체를 발의 바깥쪽에만 부착하고 다리를 빠른 속도로 뻗으면 중량체의 관성에 의해 다리의 바깥쪽 부분을 더 강한 힘으로 잡아당겨 주게 되고, 중량체를 발의 안쪽에만 부착한 경우에는 다리의 안쪽 부분을 더 강하게 잡아당겨 주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안쪽으로 휜 다리나 바깥쪽으로 휜 다리를 교정하는데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아무데서나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주며, 여러가지 부대효과를 가져오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신발(1), 프레임(2), 바퀴(3), 중량체(4)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2) 윗면에 상기 신발(1)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의 양쪽 옆면에 상기 바퀴(3)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에 상기 중량체(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리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4)는 상기 바퀴(3)와 동일축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리운동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4)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도우넛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거나 누워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리운동 기구
KR2020010028497U 2001-09-15 2001-09-15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KR200267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497U KR200267994Y1 (ko) 2001-09-15 2001-09-15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CNU029000114U CN2741605Y (zh) 2001-09-15 2002-09-09 脚运动器具
JP2003600030U JP3122597U (ja) 2001-09-15 2002-09-09 脚運動器具
PCT/KR2002/001695 WO2003024539A1 (en) 2001-09-15 2002-09-09 Leg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497U KR200267994Y1 (ko) 2001-09-15 2001-09-15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363A Division KR20030024725A (ko) 2003-02-10 2003-02-10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994Y1 true KR200267994Y1 (ko) 2002-03-15

Family

ID=1970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497U KR200267994Y1 (ko) 2001-09-15 2001-09-15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22597U (ko)
KR (1) KR200267994Y1 (ko)
CN (1) CN2741605Y (ko)
WO (1) WO20030245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876B1 (ko) 2010-12-24 2013-05-09 (주)맨엔텔 하체 재활훈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337590B2 (en) * 2012-10-29 2018-08-02 Maxm Skate Pty Ltd A medical leg support arrangement adapted to increase the range of motion of a leg to aid in the healing and strengthening of damaged, injured and/or replaced bone, muscle and/or tissue of the leg
RU2631839C1 (ru) * 2016-06-21 2017-09-26 Сергей Леонидович Горбач Роликовый тренаже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404A (en) * 1977-05-27 1979-01-02 Wilson Raymond L Leg stretching exercise device
US4506884A (en) * 1983-03-03 1985-03-26 Hankin Stuart M Body stretcher system
EP0830183B1 (en) * 1995-05-16 2003-11-05 MANKOVITZ, Roy J. Exercise apparatus for use with conventional chai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876B1 (ko) 2010-12-24 2013-05-09 (주)맨엔텔 하체 재활훈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22597U (ja) 2006-06-29
CN2741605Y (zh) 2005-11-23
WO2003024539A1 (en) 200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324B1 (en) Convertible therapeutic sandals
US5891002A (en) Orthopedic device ankle exerciser and method
AU776603B2 (en) Footwear for a dynamic, rolling walking-action
US8701310B1 (en) Flexible footwear covering reducing friction and drag between shoes and floor surfaces
US5339542A (en) Frontal sole exercise device
US20100304937A1 (en) Speed doctor speed builder
JPH07298903A (ja) 靴の底
CA2293035A1 (en) Knee exercising device
US6010438A (en) Adjustable athletic shoe weight assembly
US5865203A (en) Hand-held extensor for assistance with walking and rehabilitation
GB2492587A (en) Footwear with rotatable sole portion
AU2016203926B2 (en) Improvements in sports performance enhancement systems
KR200267994Y1 (ko)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30024725A (ko)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KR200323453Y1 (ko) 다리운동기구
JP2004181195A (ja) 走歩等室内訓練用運動器具
JP6343763B2 (ja) 下半身強化ボード
KR200334403Y1 (ko) 다리운동기구
US20060123662A1 (en) Health shoes
JP2006212398A (ja) 弾性連結体付きサポーター
JP2004057787A5 (ko)
JP3125831U7 (ko)
KR20230124362A (ko) 종아리 근육 단련기
KR200323375Y1 (ko) 실내용 다리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91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9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