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7037Y1 -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 Google Patents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037Y1
KR200267037Y1 KR2020010038410U KR20010038410U KR200267037Y1 KR 200267037 Y1 KR200267037 Y1 KR 200267037Y1 KR 2020010038410 U KR2020010038410 U KR 2020010038410U KR 20010038410 U KR20010038410 U KR 20010038410U KR 200267037 Y1 KR200267037 Y1 KR 200267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crete
treme
flanges
fl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10038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0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의 우물통 기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트레미관에 관한 것으로, 교각의 우물통 기초에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우물통 본체(4)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트레미관(100)에 있어서,
외주면에 앵커고리(111)가 부착되고 하단에 하부 플랜지(112)가 형성되어 상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상광하협의 나팔관(110)과; 상기 나팔관(11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122)와 하부 플랜지(123)가 형성된 상부 트레미관(120)과; 상기 상부 트레미관(1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132, 142)와 하부 플랜지(133, 143)가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중간 트레미관(130, 140)과; 상기 중간 트레미관(140)의 하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 플랜지(152)가 형성된 하부 트레미관(150)과; 상기 하부 트레미관(150)의 하단이 상부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상협하광의 반구형 보호막(160)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 플랜지(112, 123, 133, 143)는 각각 상부 플랜지(122, 132, 142, 152)에 볼트(170)로 체결되어 나팔관(110)과 각각의 트레미관(120, 130, 140, 150)이 좌우 균형을 이루며, 나팔관(110)의 유입부 중심과 반구형 보호막(160)의 유출부 중심이 수직한 직선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TREMIE PIPE FOR POURING CONCRETE IN WATER INTO WELL OF FOUNDATION OF PIER}
본 고안은 교각의 우물통 기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트레미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미관(Tremie pipe)을 통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발생되는 골재 재료의 분리 현상을 방지하는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과 같은 하천, 해상구조물의 기초를 우물통으로 할 경우 그 내부는 콘크리트로 속채움 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에는 도 1은 종래의 직선 트레미관을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암층(1), 토사층(2) 및 수중(3)에 걸쳐 수직하게 설치된 우물통 본체(4)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우물통 본체(4) 주위에 크레인(12)이 탑재된 제1바지선(11)과, 펌프카(14)가 탑재된 제2바지선 및 레미콘(16)이 탑재된 제3바지선(15)을 배치한다.
그 다음, 상기 크레인(12)을 사용하여 직선형의 트레미관(10)을 우물통 본체(4)의 중앙으로 삽입한 후 지지한 상태에서 트레미관(10)의 상단을 통하여 레미콘(16)으로부터 콘크리트를 공급 받은 펌프카(14)에 의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써 우물통 본체(4)의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직선형의 트레미관(10)을 사용하는 경우, 우물통 본체(4)가 상당히 길어 주입되는 콘크리트가 우물통 본체(4)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과정 중 골재가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모래나 몰탈보다 먼저 낙하되면서 골재와 몰탈이 분리되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는 골재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골재 재료 분리 현상에 의하여 수중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져 교각기초의 하자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골재 재료 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트레미관의 형태를 다수개의 관을 연속된 요철 형상의 관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직선 트레미관을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미관을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트레미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트레미관 110 : 나팔관
111, 121, 131, 141, 151 : 앵커고리 120 : 상부 트레미관
130, 140 : 중간 트레미관 150 : 하부 트레미관
160 : 반구형 보호막
112, 123, 133, 143 : 하부 플랜지
122, 132, 142, 152 : 상부 플랜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은, 교각의 우물통 기초에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우물통 본체(4)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트레미관(100)에 있어서,
외주면에 앵커고리(111)가 부착되고 하단에 하부 플랜지(112)가 형성되어 상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상광하협의 나팔관(110)과; 상기 나팔관(11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122)와 하부 플랜지(123)가 형성된 상부 트레미관(120)과; 상기 상부 트레미관(1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132, 142)와 하부 플랜지(133, 143)가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중간 트레미관(130, 140)과; 상기 중간 트레미관(140)의 하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 플랜지(152)가 형성된 하부 트레미관(150)과; 상기 하부 트레미관(150)의 하단이 상부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상협하광의 반구형 보호막(160)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 플랜지(112, 123, 133, 143)는 각각 상부 플랜지(122, 132, 142,152)에 볼트(170)로 체결되어 나팔관(110)과 각각의 트레미관(120, 130, 140, 150)이 좌우 균형을 이루며, 나팔관(110)의 유입부 중심과 반구형 보호막(160)의 유출부 중심이 수직한 직선상에 놓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트레미관을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트레미관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교각의 우물통 기초에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우물통 본체(4)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우물통 본체(4)의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위한 트레미관의 형태를 개량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트레미관(100)은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관을 연결함으로써 요철 형상으로 구성시킨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트레미관(100)은 크게, 상부 트레미관(120)과, 다수개의 중간 트레미관(130, 140)과, 하부 트레미관(150)의 분할하여 연결시키며, 상기 상부 트레미관(120)의 상단에는 콘크리트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광하협의 나팔관(110)을 연결시키고, 하부 트레미관(150)의 하단에는 콘크리트의 유출시 물과 직접적으로 혼합되는 것을 억제하여 골재 재료 분리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구형 보호막(16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중간 트레미관(130, 140)의 개수는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우물통 본체(4)의 깊이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감할 수 있다.
먼저, 최상단에 설치되는 나팔관(110)은, 그 상단이 콘크리트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부는 상광하협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레인(12)과 연결된 와이어에 결합되어 인양되도록 나팔관(110) 상단의 외주면에 앵커고리(111)가 대칭이 되도록 부착되고, 하단에는 하부 플랜지(11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부 트레미관(120)은, 상기 나팔관(11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절곡부를 기준으로 관의 형태가 각각 경사짐과 동시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나팔관(110)을 통하여 유입되면, 절곡부를 통과하면서 콘크리트가 교반되므로 콘크리트 속에 포함된 골재, 모래 및 시멘트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트레미관(120)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부 플랜지(122)와 하부 플랜지(123)가 형성되어 있어, 상부 플랜지(122)는 상기 나팔관(110)의 하부 플랜지(112)에 당접되어 체결볼트(170)로 결합된다.
중간 트레미관(130, 140) 역시 상부 트레미관(120)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132, 142)와 하부 플랜지(133, 143)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간 트레미관(130, 140)의 개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우물통 본체(4)의 깊이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하부 트레미관(150) 역시 상기 상부 트레미관(120)과 중간 트레미관(130, 140)과 마찬가지 절곡부가 구비되어 있되, 그 하부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중간 트레미관(14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143)와 당접되어 체결볼트(170)로 결합되도록 상부 플랜지(152)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최하단에 설치되며 하부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 보호막(160)의 상부에 상기 하부 트레미관(150)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되어 콘크리트가 우물통 본체(4)의 하부로 유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나팔관(110), 상부 트레미관(120), 중간 트레미관(130, 140), 하부 트레미관(150) 및 반구형 보호막(160)의 전체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좌우의 무게 중심이 나팔관(110)의 유입부 중심과 보호막(160)의 유출부 중심이 동일 직선상에 놓이도록 구성되게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배출시 트레미관(100)의 진동이 최소화되어 우물통 본체(4)의 하부에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트레미관(120), 중간 트레미관(130, 140) 및 하부 트레미관(150)의 절곡 부위 중 경사진 부분의 상면에 각각 앵커고리(121, 131, 141, 151)를 설치하여 크레인(12)의 와이어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을 사용하면, 다수개의 절곡된 트레미관이 전체적으로 요철 형상을 이루게 하여 콘크리트가 하부로 낙하되면서 교반되는 결과, 코크리트가 우물통 본체의 하부에 균일하게 주입됨으로써 골재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수중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교각의 우물통 기초에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우물통 본체(4)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트레미관(100)에 있어서,
    외주면에 앵커고리(111)가 부착되고 하단에 하부 플랜지(112)가 형성되어 상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상광하협의 나팔관(110)과; 상기 나팔관(11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122)와 하부 플랜지(123)가 형성된 상부 트레미관(120)과; 상기 상부 트레미관(120)의 하부에 다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132, 142)와 하부 플랜지(133, 143)가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중간 트레미관(130, 140)과; 상기 중간 트레미관(140)의 하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단에 상부 플랜지(152)가 형성된 하부 트레미관(150)과; 상기 하부 트레미관(150)의 하단이 상부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콘크리트가 유출되는 상협하광의 반구형 보호막(160)이 구비되되,
    상기 하부 플랜지(112, 123, 133, 143)는 각각 상부 플랜지(122, 132, 142, 152)에 볼트(170)로 체결되어 나팔관(110)과 각각의 트레미관(120, 130, 140, 150)이 좌우 균형을 이루며, 나팔관(110)의 유입부 중심과 반구형 보호막(160)의 유출부 중심이 수직한 직선상에 놓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KR2020010038410U 2001-12-13 2001-12-13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Expired - Fee Related KR200267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410U KR200267037Y1 (ko) 2001-12-13 2001-12-13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410U KR200267037Y1 (ko) 2001-12-13 2001-12-13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037Y1 true KR200267037Y1 (ko) 2002-03-06

Family

ID=7311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41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7037Y1 (ko) 2001-12-13 2001-12-13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0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754A (ko) 2022-05-10 2023-11-17 현대건설(주)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7754A (ko) 2022-05-10 2023-11-17 현대건설(주)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의 다짐 장치 및 그의 다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7767B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底板钢吊箱及其施工方法
CN110042844B (zh) 一种现浇大直径基坑支护管桩的施工方法
KR200267037Y1 (ko) 교각기초 우물통 수중 콘크리트 채움용 트레미관
KR100822401B1 (ko) 교각 및 강관 말뚝의 외면 보수·보강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조성물
CN103898910A (zh) 海底岩石裸露地貌上栈桥钢管桩锚固方法
CN214833096U (zh) 预制装配式水井
KR100450309B1 (ko) 말뚝 기초를 이용한 방파제
CN116677020B (zh) 海上风电桩基础防冲刷坑系统
CN218322885U (zh) 一种海上风机复合筒基础防冲刷配置装置
CN214089952U (zh) 一种桥梁加固基础
CN109853572A (zh) 混凝土锚碇现浇筑工艺方法及浮式结构物
JPH0988108A (ja) 樹脂製マンホールの浮き防止構造
CN209483288U (zh) 一种水泥浆可高度均匀化的固井装置
JPS6055110A (ja) コンクリ−ト構造物の築造方法
KR200232611Y1 (ko) 교량의 우물통 기초에 사용되는 하부열림 나팔관 구조
JP2506398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ト杭の構築方法
KR200231057Y1 (ko) 교량의 우물통 기초에 사용되는 특수고무 보호막
CN209194593U (zh) 一种道路检查井的井盖支座
CN209603147U (zh) 地铁车站富水砂层深基坑施工支护结构
CN112523248A (zh) 一种桥梁加固基础及其施工方法
KR200255494Y1 (ko) 콘크리트 받침틀을 이용한 하수관로 설치구조
CN110219323A (zh) 一种用于软土地基中的抗浮桩结构及其丰水期施工方法
JP3310452B2 (ja) 水域中への連続壁構築方法および構築用ガイド装置
KR200229225Y1 (ko) 교량의 우물통 기초에 사용되는 하부열림 연결관
CN217400923U (zh) 一种结构物的加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2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2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