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5577Y1 -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577Y1
KR200265577Y1 KR2019990012227U KR19990012227U KR200265577Y1 KR 200265577 Y1 KR200265577 Y1 KR 200265577Y1 KR 2019990012227 U KR2019990012227 U KR 2019990012227U KR 19990012227 U KR19990012227 U KR 19990012227U KR 200265577 Y1 KR200265577 Y1 KR 200265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glove box
contact
driv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733U (ko
Inventor
장민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90012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577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7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577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운전석 주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차체(1)와, 상기한 차체(1)의 단차홈에 삽입되는 스위치(2)와, 상기한 단차홈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스위치(2)가 눌리는 경우에 스위치(2)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과, 상기한 스위치(2)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전체로 구성되는 스위치 점점(3)과, 단차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스위치 접점(3)과 전기적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접점(4, 5)과, 상기한 제1 접점(4)과 배터리(B+)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등(7)과, 상기한 제2 접점(5)과 배터리의 사이에 연결되어 글로브 박스 개폐를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운전석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하게 되면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이 점등되어 글로브 박스의 내부를 비추어 줌과 동시에 글로브 박스가 모터구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열리게 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운행중 사고 위험성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DRIVING DEVICE FOR A GLOVE BOX OF THE CAR}
이 고안은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운전석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하게 되면 글로브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이 점등됨과 동시에 글로브 박스가 모터구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열리게 됨으로써 편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보조석의 앞에는,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물함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서 글로브 박스(B)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글로브 박스(B)에는 간단한 록킹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 수납공간에는 간단한 사물들을 넣어 보관하면서 필요할때 이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는 운전석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행도중에 글로브 박스를 열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칫하면 글로브 박스를 여는 과정에서 운전 부주의로 인한 사고발생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또한, 글로브 박스 내부의 조명상태가 부실하여 운전자가 글로브 박스를 열고서도 내용물을 확인하기가 그다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이 점등됨과 동시에 글로브 박스가 모터구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열리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정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의 스위치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체 2 : 스위치
3 : 스위치 접점 4 : 제1 접점
5 : 제2 접점 6 : 스프링
7 : 조명등 8 : 모터 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운전석 주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차체와, 상기한 차체의 단차홈에 삽입되는 스위치와, 상기한 단차홈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스위치가 눌리는 경우에 스위치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한 스위치의 측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도전체로 구성되는 스위치 점점과, 단차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스위치 접점과 순차적으로 전기적 접속되는 제1 및 제2 접점과, 상기한 제1 접점과 배터리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기구적으로 설치되는 조명등과, 상기한 제2 접점과 배터리의 사이에 연결되어 글로브 박스 개폐를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의 구성은, 운전석 주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차체(1)와, 상기한 차체(1)의 단차홈에 삽입되는 스위치(2)와, 상기한 단차홈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스위치(2)가 눌리는 경우에 스위치(2)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과, 상기한 스위치(2)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전체로 구성되는 스위치 점점(3)과, 단차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스위치 접점(3)과 전기적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접점(4, 5)과, 상기한 제1 접점(4)과 배터리(B+)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조명등(7)과, 상기한 제2 접점(5)과 배터리의 사이에 연결되어 글로브 박스 개폐를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스위치 점점(3)은 제1 및 제2 접점(4, 5)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기적으로는 접지와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운전석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2)를 누르게 되면 스위치(2)와 단차홈의 사이에서 스프링(6)이 압축되면서, 1차적으로 스위치(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접점(3)이 제1 접점(4)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조명등(7)에 배터리(B+)이 전원이 흐르게 됨으로써 조명등(7)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스위치(2)를 더욱 누르게 되면 스위치(2)와 단차홈의 사이에서 스프링(6)이 더욱 압축되면서, 2차적으로 스위치(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접점(3)이 제2 접점(5)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모터 구동부(8)에 배터리(B+)이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모터 구동부(8)가 동작하게 된다. 모터 구동부(8)가 동작하게 되면 글로브 박스를 열기 위한 공지의 기구적 메커니즘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글로브 박스가 열리게 된다. 이때, 스위치 접점(3)은 제1 및 제2 접점(4, 5)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므로 제2 접점(5)이 스위치 점점(3)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접점(4)도 스위치 접점(3)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글로브 박스가 열리게 되면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7)에 의해 글로브 박스의 내부가 조명불빛으로 비추어지게 되므로 운전자가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운전자가 스위치(2)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스위치(2)와 단차홈의 사이에 압촉되어 있던 스프링(6)이 복원되면서 스위치(2)가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는데, 스위치(2)와 단차홈의 구조적 형상에 의해서 스위치(2)가 단차홈에 걸리게 됨으로써 스위치(2)가 차체(1)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운전석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운전자가 조작하게 되면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이 점등되어 글로브 박스의 내부를 비추어 줌과 동시에 글로브 박스가 모터구동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열리게 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운행중 사고 위험성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와 같은 효과는 자동차 글로브 박스 분야에서 이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운전석 주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차체(1)와, 상기한 차체(1)의 단차홈에 삽입되는 스위치(2)와, 상기한 단차홈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스위치(2)가 눌리는 경우에 스위치(2)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과, 상기한 스위치(2)의 측면에 설치되는 도전체로 구성되는 스위치 점점(3)과, 단차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한 스위치 접점(3)과 전기적으로 순차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 접점(4, 5)과, 상기한 제1 접점(4)과 배터리(B+)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등(7)과, 상기한 제2 접점(5)과 배터리의 사이에 연결되어 글로브 박스 개폐를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2019990012227U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200265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27U KR200265577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27U KR200265577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33U KR20010001733U (ko) 2001-01-26
KR200265577Y1 true KR200265577Y1 (ko) 2002-02-25

Family

ID=5476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227U KR200265577Y1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5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31B1 (ko) * 2007-04-02 2008-03-11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푸시형 도어 록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33U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131A (en) Room lighting unit for vehicles
KR200265577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US4931697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utomotive brake lamp
JPS5845946Y2 (ja) 自動車用ヒュ−ズの断線チエッカ−
KR100410923B1 (ko) 자동차의 엔진룸용 조명등 조립체
KR0154516B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대시보드 조명장치
KR19980036383A (ko) 자동차용 키 조명장치
KR200143566Y1 (ko)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KR0165777B1 (ko) 자동차의 다목적 등화장치
KR200141720Y1 (ko) 차량용 도어램프
KR0154518B1 (ko) 차량용 트렁크 후드 내측 램프
KR0138582Y1 (ko)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열림 경고장치
KR19980066919U (ko) 자동차용 트렁크룸 램프
KR0147181B1 (ko) 차량의 트렁크 조명장치
KR20060024270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970002504Y1 (ko) 자동차 후드용 램프
KR19980042870U (ko) 착탈식 승용차용 도어 열림 경고등
KR19980033556U (ko) 자동차의 트렁크 키 홀 조명장치
JPH09164875A (ja) 車両用ドアの付設点灯装置
KR19980043087U (ko) 자동차용 정비램프장치
KR20040108167A (ko) 차량의 엔진룸 조명장치
KR20050111883A (ko) 자동차용 풋 램프
KR19980036320U (ko) 자동차의 실내등
KR19980011328U (ko) 선바이저용 거울조립체의 점등구조
KR19990004746U (ko)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6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02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