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2075Y1 - 경량 기포패널 - Google Patents

경량 기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075Y1
KR200262075Y1 KR2020010032490U KR20010032490U KR200262075Y1 KR 200262075 Y1 KR200262075 Y1 KR 200262075Y1 KR 2020010032490 U KR2020010032490 U KR 2020010032490U KR 20010032490 U KR20010032490 U KR 20010032490U KR 200262075 Y1 KR200262075 Y1 KR 200262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weight foam
foam panel
press
panel
crus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32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07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 및 시공시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복잡하고 자연스러운 표면텍스처를 가지는 경량기포 패널, 및 결손이나 균열의 발생이 적고 생산성이 경량기포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평탄한 표면부(9)를 갖는 경량기포 패널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 패널 표면의 일정 부위를 절삭공구로 잘라내어 형성시킨 적어도 하나의 홈부(2)와, 수평방향의 운동 및 수직방향의 상하운동이 가능한 프레스 및 파쇄용구(7)에 의해 상기 각각의 홈부(2)의 저면(4)에 형성되는 프레스면(5)과, 상기 홈부(2)의 측면(3)에 형성되는 파쇄면(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량 기포패널{Lightweight aerated concrete}
본 고안은 경량기포 패널에 관한 것이다.
경량기포 패널은 보강철근 등을 내재시켜서 보강한 경량의 기성패널이며, 예들면 폭60cm, 길이 수m의 큰 패널로서 알려져 있다. 이 경량기포 패널은, 경제성, 경량성, 내화단열성, 가공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건축업계에 있어서 개인주택, 점포부 주택, 빌딩의 지붕, 바닥, 외벽 및 간막이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경량기포 패널은 이와같이 제성질이 우수하지만, 생산효율상 일반적으로 평탄한 평면을 가진 패널로서 생산되기 때문에, 외벽재로서 사용한 경우, 의장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운반 및 시공시의 충격에 의한 손상이 적고 소량의 도료로 도장이 가능하며, 또한 복잡하고 자연스런 표면텍스처를 가지는 경량기포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표면가공된 경량기포 패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경량기포 패널의 홈부를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홈부와 홈부와의 사이를 부분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표면가공하기 전에, 홈부를 가공한 경량기포 패널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경량기포 패널의 홈부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의 가공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의 외관표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부분확대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7의 경량기포 패널의 홈부의 길이방향에 직각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경량기포 패널의 홈부의 길이방향에 직각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의 외관표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경량기포 패널의 홈부의 길이방향에 직각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부분확대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의 외관표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패널의 홈부의 길이방향에 직각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부분확대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
1… 경량기포 패널 2… 홈부
3 …홈부의 측면부 4… 홈부의 바닥면부
5… 프레스면 6… 결락부
7… 프레스용 공구 및 파쇄용 공구 8… 파쇄면
9… 경량기포 패널의 평면부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은, 평탄한 표면부를 갖는 경량기포 패널을 전제로 하여 상기 경량기포 패널 표면의 일정 부위를 절삭공구로 잘라내어 형성시킨 적어도 하나의 홈부와, 수평방향의 운동 및 수직방향의 상하운동이 가능한 프레스 및 파쇄용구에 의해 상기 각각의 홈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프레스면과, 상기 홈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파쇄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의 표면외관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 1, 도 7, 도 10, 도 12, 도 15에 도시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경량기포 패널이란 다음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말 한다. 예를들면, 석회질원료, 규산질원료에 물, 발포제등이 가해진 몰타르 슬러리를 보강철근이 다수 배치된 형틀에 주입하고, 기포를 함유하는 형틀형상이 큰 블록을, 경화도중의 반경화상태에서 피아노선을 사용하여 절단하고,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양생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말하는 경량기포 패널은, 기포를 함유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상의 것이라도 포함하며, 건물의 바닥, 지붕, 간막이재로서 사용되는 플랫패널, 외벽에 이용되는 L자형, R형의 코너패널, 보강철근의 형상이나 오토클레이브 양생후의 패널의 절삭가공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을 들 수 있다.
경량기포 패널에 최초로 가공되는 홈부(2)는, 예들면 종래 공지의 절삭공구의 드릴 목공용의 톱등을 사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홈부(2)의 폭, 깊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장, 가공성으로부터 정할 수 있으나, 폭이 2∼30mm, 깊이가 2∼50mm가 일반적이다. 홈부(2)의 단면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들면 바닥면 부분이 굽은 면이라도, V자형의 경사구조라도 무방하나, 직선적으로 하면 적삭가공이 용이하다. 세로방향의 직선만, 또는 가로방향의 직선만이라도 종횡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타일형상이나 연화무늬(煉瓦模樣)라도 무방하다. 이 홈부(2)는 나중에 형성되는 프레스면 및 파쇄면이 존재해도, 그 기계적으로 절삭되는 바닥면 부분이 그대로 연속하여 남게 됨으로써, 홈부(2)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다.
또, 패널의 끝부분의 형상은 홈부(2)와 동일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절삭가공하지않은 비교적 평탄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통상 경량기포 패널의 표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존재한 기포 및 그 가장자리는 절단시에 피아노선에 의해, 변형되기 때문에 비교적 평탄한 중질층으로 되어 있다. 또, 절삭가공된 표면은 기포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과 절삭공구의 칼날에 의해 압괴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레스면 및 파쇄면은 프레스 및 파쇄용구(7)로 평면부(9)에 가압하는 힘을 부여하여 국부를 프레스 및 파쇄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이 프레스면(5 )및 파쇄면(8)은 일정한 폭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부분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기포 패널 표면의 복수 개소에 연속 또는 불규칙적으로 존재해도 무방하다. 프레스면(5) 및 파쇄면(8)은 점 형상 또는 격자 형상, 또는 이들의 복합형상이거어도 무방하다. 또한 프레스면 및 파쇄면이 경량기포 패널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프레스 및 파쇄용구(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기포 패널의 평면부(9)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상하운동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수평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수직방향으로 상하운동하지 않아도 경량기포 콘크리트 평면부에 가압하는 힘을 가할 수 있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 프레스면(5) 및 파쇄면(8)의 구별은, 프레스 및 파쇄용구(7)의 형상, 배치방법, 수량, 각도, 속도 등의 제반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레스 및 파쇄용구(7)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의장,가공성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으나, 경량기포 패널의 평면부에 가압하는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단이 곡면(曲面)의 것, 평평한 것, 닻 형상의 것이라도 무방하며, 무늬가 있는 형틀이라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된 경량기포 패널은, 가로 세로의 직선적인 홈부(2)에 포위된 부분의 표면에 임의의 프레스면 및 파쇄면이 형성된 것이다. 프레스면 및 파쇄면의 단면도를 도 2, 도 11, 도 13, 도 16에 도시한다. 5가 프레스면 및 파쇄면 부분이다.
이 프레스면 및 파쇄면의 표면은 홈부(2)와 동일하게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기포의 절단면이 그대로 표면에 노출된 부분과 압괴된 중질층으로 되어 있으나, 홈부의 표면과는 달라진 표면의 텍스처로 되어 있다. 예들면, 경량기포 패널의 표면은, 제조시에 반경화의 단계에서 피아노선 등으로 절단되므로 기포의 가장자리가 변형되거나 찌부러져 있고, 또 회전칼날 등으로 형성되는 홈부(2)의 측면부분(3)이나 바닥면부분(4)는 비교적 평활한 면이다. 이와같이, 프레스면(5) 및 파쇄면(8)의 부분이 결락 및 함몰 및 압괴된 중질부분과, 파쇄되어 기포의 내면이 그대로 노출한 부분으로 凸凹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의 표면가공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경량기포 패널의 평면부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및 파쇄용구(7)를 평면부(9)에, 바람직하게는 진동을 가하면서 가압하는 힘을 부여한다. 그렇게하면, 프레스 및 파쇄용구(7)의 근방이 파쇄, 결락, 함몰 및 압괴되어, 기포의 절단면이 노출된 부분과 압괴된 중질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스면(5) 및 파쇄면(8)이 형성된다. 프레스 및 파쇄용구(7)의 진동하는 방향은, 수직방향이거나 수평방향이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스 및 파쇄공구(7)와 경량기포 패널의 평면부(9)와의 이루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어니나, 45도부터 135도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도부터 100도이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 도 7, 도 10,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표면가공된 경량기포 패널이 얻어진다. 예컨대, 보통의 경량기포 패널은,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오토클레이브 양생에 의해 경화되기 전의 반가역성(半可逆性)의 상태로, 커다란 블록으로부터 피아노선을 사용하여 다수의 패널로 절단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경량기포 패널 표면에 있었던 기포는 피아노선에 의해 압괴되어 비교적 평탄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은 보통의 경량기포 패널의 평면부에 프레스면 및 파쇄용구(7)로 가압하는 힘을 부여하고, 프레스 및 파쇄면을 형성시키고, 반가역성의 상태로 피아노선에 의해 절단된 비교적 평활한 표면부분, 복잡하고 완만한 구배를 가진 프레스면 및 파쇄면으로 구성되는 또는, 이들에 더하여 다시 직선적인 홈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미묘한 콘트라스트를 가지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고, 외벽에 사용한 경우, 보통의 경량기포 패널에는 없는 독특한 자연형상의 텍스처 외관 및 임의의 무늬가 얻어진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경량기포 패널을 결손, 균열, 상처를 발생시키지 않는 동시에, 생산효율을 악화시킴이 없이 얻을 수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평가는 다음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1) 충격시험
실시예에서 얻어진 샘플패널을 8매씩 대(臺)에 적중하여 와이어로프로 고정한 후, 1.5G의 중력가속도를 패널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3시간 반복하여 계속 부여한 후, 결손, 균열의 유무에 대해 관찰하였다.
(2) 도장시험
실시예에서 얻어진 샘플패널을 8매씩 시공대(施工臺)에 세워 넣고, 패널표면의 바탕(下地)조정을 충분히 행한 후, 시중에서 판매되는 경량기포 패널용 도료를 패널표면에 밑칠(下塗), 본칠(本塗), 덧칠(上塗)의 수순으로 뿜어서 칠하였다. 덧칠 후 24시간 후의 최종 양생을 끝낸 시점에서, 패널표면의 도착(塗着)상태 및 의장성을 눈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10cm, 폭 60cm, 길이 300cm의 경량기포 패널 표면에 , 전처리로서 통상의 회전날을 사용하여 통상의 가공방법으로 세로방향에 홈부(2)를 가공하였다.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부(9)에 도면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승강하는 기구를 가진 프레스 및 파쇄용구(7)를 가압력을 작용시켰다. 그 결과, 기포의 절단면이 노출된 부분과 기포가 압괴된 중질층으로 이루어지는 거의 원주형상의 프레스면(5) 및파쇄면(8)이 형성되었다. 6은 결락(缺落)된 부분이다. 이상의 가공을 모든 홈부(2)의 근방에 따라 연속적으로 행한 바, 천연석을 파쇄한 것과같은 凸凹의 주름을 가지는 프레스면(5) 및 파쇄면(8)이 얻어졌다.
(실시예 2)
도 1은 홈부(2)에 포위된 부분의 임의의 평면부(9)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한 패널표면이다.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단면도를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한다. 돌표면 형상의 경량기포 패널이 얻어졌다.
(실시예 3)
도 7은 홈부를 종횡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경량기포 패널의 홈부(2)의 양측의 측면부분(2)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패널표면이다.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단면도를 각각 제8도, 제9도에 도시한다. 돌결형상의 의장의 경량기포 패널이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
도 10과 도 11은 각각 평면부(9)의 임의의 부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한 패널표면과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프레스면 및 파쇄면(5)를 가지는 부분과 미가동의 평면부분으로 구성되는 경량기포 패널이 얻어졌다.
(실시예 5)
도 12는 홈부(2)에 포위된 평면부(9)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한 패널표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프레스면 및 파쇄면과 미가공의 홈부분(2)으로 구성되는 경량기포 패널이 얻어졌다.
<실시예의 평가 결과〉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두께10cm, 폭60cm, 길이 300cm의 경량기포 패널을 각각 8매씩 준비하여 쌓아놓고 충격시험을 실시한 바, 홈부의 에지부 측면부분에서 흠결이나 균열은 전혀 발생하지 않고, 가공직후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경량기포 패널 모두에 대해 도장시험 및 시공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도장시, 홈부의 측면부에 있어서의 도료의 부착부족이나 도장얼룩등의 발생은 전혀 없고, 또 외벽으로서 사용한 겨우, 프레스면 및 파쇄면에 凹凸주름이 있는 형상에 의해 통상의 경량기포 패널의 건축물에는 볼 수 없는 미묘한 콘트라스트, 자연형상의 텍스처가 얻어졌다.
본 고안의 경량기포 패널은, 오토클레이브 양생후 이 경량기포 패널에 프레스면 및 파쇄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공정 또는 수송, 시공시의 결손 및 균열의 발생이 적다. 또한 생산효율을 악화시키는 일도 없으며, 프레스면 및 파쇄면의 중질부분은 기포가 노출된 부분에 비해 도료의 도장효과가 좋고, 또한 소량의 도료로 도장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스 및 파쇄에 의해 석할, 돌결, 돌살갗, 나무결둥 자연석 형상의 표면텍스처의 외관 및 임의의 무늬가 얻어지고, 통상의 경량기포 패널 만으로는 당성될 수 없는 우수한 의장성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1)

  1. 평탄한 표면부(9)를 갖는 경량기포 패널에 있어서,
    상기 경량기포 패널 표면의 일정 부위를 절삭공구로 잘라내어 형성시킨 적어도 하나의 홈부(2)와, 수평방향의 운동 및 수직방향의 상하운동이 가능한 프레스 및 파쇄용구(7)에 의해 상기 각각의 홈부(2)의 저면(4)에 형성되는 프레스면(5)과, 상기 홈부(2)의 측면(3)에 형성되는 파쇄면(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기포 패널.
KR2020010032490U 2001-10-24 2001-10-24 경량 기포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200262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490U KR200262075Y1 (ko) 2001-10-24 2001-10-24 경량 기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490U KR200262075Y1 (ko) 2001-10-24 2001-10-24 경량 기포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075Y1 true KR200262075Y1 (ko) 2002-02-06

Family

ID=7311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49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2075Y1 (ko) 2001-10-24 2001-10-24 경량 기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0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0202A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natural stone veneer product
EP1264053B1 (en) Surface groove system for building sheets
US6237294B1 (en) Decorative three dimensional panel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893098A (en) Means for applying simulated masonry to walls and the exterior surfaces of buildings
US20140199553A1 (en) Laminated product produced by placing one layer onto a semi set partially cured base layer
JP2023078963A (ja) フラット系の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構造体および建築物
EP1790790A2 (en) Gypsum board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6446399B1 (en) Pre-fabricated curved-profile architectural element and method for pre-fabricating this element
KR200262075Y1 (ko) 경량 기포패널
JP4294113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表面加工方法
JP3969811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表面加工方法
JP2000169264A (ja) 表面加工された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H11254417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表面加工方法
RU22165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JP4387045B2 (ja) 破砕面と切削溝を有する意匠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4278748B2 (ja) 表面加工された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表面加工方法
JP2000169263A (ja) 表面加工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US20160002918A1 (en) Bonded building block assembly
JP4443730B2 (ja) 破砕面を有する意匠パネル
JP2000169262A (ja) 表面加工されたパネル
US1910844A (en) Acoustical material
JP4275281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97785A (ja) 擬態造形物の製造方法
JP2000159583A (ja) パネル
KR100582660B1 (ko) 유리섬유강화시멘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W10-W00-oth-UT02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N-5-6-H10-H12-rvc-UT0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501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11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