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1583Y1 -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 Google Patents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583Y1
KR200261583Y1 KR2020010031685U KR20010031685U KR200261583Y1 KR 200261583 Y1 KR200261583 Y1 KR 200261583Y1 KR 2020010031685 U KR2020010031685 U KR 2020010031685U KR 20010031685 U KR20010031685 U KR 20010031685U KR 200261583 Y1 KR200261583 Y1 KR 200261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ens
nose
le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만
Original Assignee
이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만 filed Critical 이병만
Priority to KR2020010031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583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을 이루는 모든 부품을 수지류로 제작하되, 안경렌즈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가 코다리나 안경다리의 연결구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수지류 무테안경에 관한 것이다.
특히, 체결볼트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수지류의 코다리와 연결구에 렌즈를 끼우고 수지류로 사출성형되는 안전와셔와 관통체결너트를 이용하여 단단히 체결함에 견고하고, 그 모양이 섬세하며, 무게가 가벼운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이다.
종래의 무테안경의 경우, 안경렌즈와 안경다리 또는 코다리간의 체결을 위해 금속재의 체결너트와 체결볼트가 사용되기에 부품간의 재질의 강도 차이가 발생된다.
이는 체결볼트가 안경렌즈를 갈게 되거나, 안경렌즈에 금이가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모든 구성이 수지류로 제작되어 탄성이 살아있기에 착용감이 훌륭하고, 충격시 복원력이 우수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모든 구성이 수지류로 사출성형되기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그 모양을 형성함에 섬세하고, 매끈하다.

Description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Spectacles united bolts without frame}
본 고안은 안경을 이루는 모든 부품을 수지류로 제작하되, 안경렌즈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가 코다리나 안경다리의 연결구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수지류 무테안경에 관한 것이다.
특히, 체결볼트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수지류의 코다리와 연결구에 렌즈를 끼우고 수지류로 사출성형되는 안전와셔와 관통체결너트를 이용하여 단단히 체결함에 견고하고, 그 모양이 섬세하며, 무게가 가벼운 체결볼트 일체형의무테안경이다.
일반적으로 무테안경이란 안경렌즈를 감싸는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단지 렌즈와 렌즈를 연결하는 코다리와 안경다리를 금속재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켜 그 무게가 가볍고, 모양이 깔끔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 안경의 종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테안경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첫째, 종래의 무테안경의 경우 부품이 다양하고 구분되어 있기에, 이러한 각각의 부품을 제작하고, 서로 결합하는 공정(금형이나 용접과정등)이 많아 제작이 까다롭다.
둘째, 안경렌즈와 안경다리 또는 코다리간의 체결을 위해 금속재의 체결너트와 체결볼트가 사용되기에 부품간의 재질의 강도 차이가 발생된다.
이는 체결볼트가 안경렌즈를 갈게 되거나, 안경렌즈에 금이가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셋째, 이러한 금속재의 체결볼트는 체결너트가 죄어진채 그 끝단이 착용자의 안면을 향한상태로 안경을 착용하게 되기에, 안경이 부딪칠 경우에 이 볼트의 끝단에 눈이 찔릴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체결볼트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수지류의 코다리와 연결구에 렌즈를 끼우고 수지류로 사출성형되는 안전와셔와 관통체결너트를 이용하여 단단히 체결함에 견고하고, 그 모양이 섬세하며, 무게가 가벼운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받침과 코기둥 역시 수지류로 제작되어 코다리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체결함에 그 작업이 단순하고, 모양이 깔끔하게 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무테안경의 체결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경다리 체결부를 도시한 체결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코다리 체결부를 도시한 체결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관통체결너트를 도시한 구성물품도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너트를 도시한 구성물품도
도 6은 본 고안의 안경렌즈와 안경다리간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를 분해도시한 실시예도
본 고안은 안경렌즈의 프레임이 없는 무테안경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진다.
그 일측단에 다리연결 위해 구성한 다리연결힌지부(14)와, 타단은 안경렌즈(20)를 체결하기 위해 쌍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1,12)가 일체된 다리연결구(10)와;
안경렌즈(20)를 연결하기 위해 그 몸체의 좌.우측 끝단부에 각각 쌍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1,12)와, 몸체 전면에는 코기둥(41)을 억지끼움하기 위해 2개를 돌출 성형시킨 끼움돌기(31)가 일체로 제작된 코다리(30)와;
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의 체결볼트(11,12)가 체결되기 위하여 내측의 구멍은 관통체결너트(50)의 관통관부(51)가 끼워질수 있도록 지름이 넓은 형태로 성형시킨 관통공(21)을, 그 외부로 외측체결볼트(12)의 일부외주면에 맞닿아 렌즈의 연동을 방지시키고자한 지지홈(22)을,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형성시킨 안경렌즈(20)와;
수지류로 사출성형하여 코기둥(41)과 코받침(40)을 일체로 형성시키되, 상기 코기둥(41)에 코다리(30)의 끼움돌기(3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42)이 형성된 코받침(40)이;
안경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에 일체된 체결볼트(11,12)에 렌즈의 관통공(21)과 지지홈(22)을 끼우고 그 위에 안전와셔(25)와 체결너트(50)를 이용하여 단단히 결합한 모든 구성요소가 수지류로 제작된 체결부(60)와;
수지류 코다리(30)의 끼움돌기(31)에 끼움공(42)을 끼운 수지류 코받침(40)에 의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가볍고, 깔끔한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을 제공한다.
상기의 체결부(60)를 보다 세밀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경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에 쌍으로 일체된 수지류의 체결볼트(11,12)와;
이 체결볼트(11,12) 중 내측체결볼트(11)에 끼워지되 관통체결너트(50)의 관통관부(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름이 확장된 렌즈의 관통공(21)과, 외측체결볼트(12)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는 렌즈의 지지홈(22);
렌즈(20)를 관통한 체결볼트(11,12)에 끼워지게 2개의 구멍을 형성하되, 내측체결볼트(11)에 끼워지는 구멍은 관통체결너트(50)의 관통관부(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름이 확장된 관통공(26)을 구성한 수지류의 ''형상을한 안전와셔(25)와;
상기 관통한 체결볼트(11,12)중 내측체결볼트(11)에 끼워지되, 수직선상의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렌즈(20)와 안전와셔(25)의 관통공(21,26)에 끼워질 수 있는 지름으로 성형된 관통관부(51)와, 체결후 렌즈(20)의 지지를 위한 지지턱부(52), 그 상단부에 위치하여 볼트머리가 성형된 너트머리부(53)와, 이들을 내부에서 관통한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54)로 구성된 수지류의 관통체결너트(50)가;
서로 체결되어 안경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에 안경렌즈(20)를 결합시킬 수 있는 하나의 체결구조를 이룬다.
상기의 체결부(60)에 있어서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위해 외측체결볼트(12)에도 수직선상의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체결후 렌즈(20)의 지지를 위한 지지턱부(56), 그 상단부에 위치하여 볼트머리가 성형된 너트머리부(57)와, 이들을 내부에서 관통한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58)로 구성된 수지류의 체결너트(55)를 조여줌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고, 하기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무테안경은 안경을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가 수지류로 제작된다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따라서 도 1에서 도시된 듯이 별개의 볼트가 필요없이 안경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에 볼트가 일체된 형태로 사출로써 제작된다.
따라서 이 볼트(11,12)에 안경렌즈(20)를 체결시켜 하나의 무테안경을 제작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도 1의 굵은 일점쇄선으로 블럭처리된 체결부(6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부(60)는 안경다리(1)와 안경렌즈(20)를 연결하기 위해 안경다리연결구(10)에 성형된 체결볼트(11,12)를 안경렌즈(20)를 체결하는 구조와, 코다리(30)에 성형된 체결볼트(11,12)에 안경렌즈(20)를 체결하는 구조를 모두 말하는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수지류로 제작되는 안경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의 끝단부에는 그 몸체에서 돌출된 2개의 체결볼트(11,1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느데, 이 체결볼트(11,12)에 안경렌즈(20)가 끼워진다.
이때 주의할 것이 도시된 도 1,2,3,6에 도시된 것처럼, 안경렌즈(20)에 형성시키는 구멍의 크기이다.
즉, 내측체결볼트(11)가 관통되어 나오는 안경렌즈의 관통공(21)은 그 지름이 내측체결볼트(11)의 지름에 비하여 크다.
이에 반하여 외측체결볼트(12)에 끼워지는 안경렌즈(20)의 구멍은, 사실상 구멍이 아니라 안경렌즈(20)의 끝단에 홈을 낸 지지홈(22)의 형태이다.
이 홈에 외측체결볼트(12)의 일부외주면이 수용되어 안경렌즈(2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좌.우로 연동할 우려를 방지시키고자 의도된 것이다.
아무튼 안경렌즈(20)에는 2개의 비교적 지름이 큰 형태의 관통공(21)이 좌우로 각각 1개씩 뚫려있고, 그 외부로 외측체결볼트(12)의 외주면중 일부가 끼워지는 지지홈(22)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통해 이 안경렌즈(20)가 끼워진 모습을 상세히 볼 수 있느데, 이렇게 끼워진 안경렌즈(20)에 도시된 ''형상으로 수지류로 제작된 안전와셔(25)가 끼워진다.
이 안전와셔(25)에도 2개의 관통공(26,27)이 형성되는데, 내측체결볼트(11)가 관통되는 구멍(16)은 안경렌즈(20)에 형성된 관통공(21)과 동일한 지름의 관통공(26)이 형성되고, 외측체결볼트(12)가 관통되는 구멍(27)에는 외측체결볼트(12)의 지름과 동일한 구멍이 형성된다.
이렇게 와셔(25)까지 끼워진 각각의 체결볼트(11,12)에는 체결너트(50,55)가 체결되는데, 이 체결너트(50,55) 역시 수지류로 제작되며 도시된 도 4,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관통체결너트(50)는 내측체결볼트(11)에 조여지는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관통관부(51)가 최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부(54)와 내측체결볼트(11)가 결합하여 전진하며, 조여질때 관통관부(51)는 안전와셔(25)와 안경렌즈(20)의 관통공(21,26)으로 밀고들어가 조임의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하고, 렌즈(20)의 흔들림을 방지시킨다.
도 5에는 외측체결볼트(12)에 조여지는 체결너트(55)를 도시한 것으로 미리본 관통체결볼트(50)에 비하여 관통관부(51)가 절단된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외측체결볼트(12)에 끼워져 와셔와 렌즈를 조여주어 보다 안전한 체결을 달성한다(도 6에 상세히 도시).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이 도 5에 도시된 체결볼트(55)는 체결하지 않은 상태인 도 3에 도시된 체결구조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즉, 본 고안의 외측체결볼트(12)의 외주면은 나선형의 나사산이 구성되어 있고, 안전와셔(25)의 구멍도 이 외측체결볼트(12)의 지름과 동일하기에 억지끼움된 와셔가 풀릴 염려는 없다 즉, 나사의 굴곡에 끼워진 와셔(25)는 쉽게 빠지지 않는다.
안경다리(1)를 좌.우로 벌릴경우 안전와셔(25)에 의해 저항력은 유지되며,내측체결볼트(11)에 체결된 관통체결너트(50)에 의해서 풀릴 염려는 제거된 상태이기에 이같은 사용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무테안경에서 코받침(30)의 체결형태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억지끼움형식이 사용된다.
모든 구성요소들을 수지류로 사출 성형하는 본 안경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코기둥(30)이 일체로 성형되는 코받침(40)을 코다리(30)의 몸체에서 쌍으로 돌출된 끼움돌기(31)에 끼워 넣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모든 구성요소가 수지류로 제작되며, 체결볼트(11,12)가 일체된 무테안경은 가볍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착용이 간편하며, 모양이 깔끔하다.
모든 구성이 수지류로 제작되어 탄성이 살아있기에 착용감이 훌륭하고, 충격시 복원력이 우수한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모든 구성이 수지류로 사출성형되기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그 모양을 형성함에 섬세하고, 매끈하다.
더불어 체결볼트와 체결너트가 수지류로 제작되기에 체결시 서로 탄성이 작용하여 작은 충격들에 의해 풀릴염려가 없다.
물론 이러한 본 고안의 무테안경은 충격에 의해 부서질 우려도 적을 뿐만아니라, 착용자에게 상해를 입힐 소지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안경렌즈의 프레임이 없는 무테안경에 있어서,
    그 일측단에 다리연결 위해 구성한 다리연결힌지부(14)와, 타단은 안경렌즈(20)를 체결하기 위해 쌍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1,12)가 일체된 다리연결구(10)와;
    안경렌즈(20)를 연결하기 위해 그 몸체의 좌.우측 끝단부에 각각 쌍으로 돌출된 체결볼트(11,12)와, 몸체 전면에는 코기둥(41)을 억지끼움하기 위해 2개를 돌출 성형시킨 끼움돌기(31)가 일체로 제작된 코다리(30)와;
    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의 체결볼트(11,12)가 체결되기 위하여 내측의 구멍은 관통체결너트(50)의 관통관부(51)가 끼워질수 있도록 지름이 넓은 형태로 성형시킨 관통공(21)을, 그 외부로 외측체결볼트(12)의 일부외주면에 맞닿아 렌즈의 연동을 방지시키고자한 지지홈(22)을,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형성시킨 안경렌즈(20)와;
    수지류로 사출성형하여 코기둥(41)과 코받침(40)을 일체로 형성시키되, 상기 코기둥(41)에 코다리(30)의 끼움돌기(3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공(42)이 형성된 코받침(40)이;
    안경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에 일체된 체결볼트(11,12)에 렌즈의 관통공(21)과 지지홈(22)을 끼우고 그 위에 안전와셔(25)와 체결너트(50)를 이용하여 단단히 결합한 결합구조로써 모든 구성요소가 수지류로 제작된 체결부(60)와;
    수지류 코다리(30)의 끼움돌기(31)에 끼움공(42)을 끼운 수지류 코받침(40)에 의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가볍고, 모양이 깔끔한 것에 특징이 있는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2. 제 1항에 있어서,
    체결부(60)는,
    안경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에 쌍으로 일체된 수지류의 체결볼트(11,12)와;
    이 체결볼트(11,12) 중 내측체결볼트(11)에 끼워지되 관통체결너트(50)의 관통관부(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름이 확장된 렌즈의 관통공(21)과, 외측체결볼트(12)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는 렌즈의 지지홈(22);
    렌즈(20)를 관통한 체결볼트(11,12)에 끼워지게 2개의 구멍을 형성하되, 내측체결볼트(11)에 끼워지는 구멍은 관통체결너트(50)의 관통관부(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름이 확장된 관통공(26)을 구성한 수지류의 ''형상을한 안전와셔(25)와;
    상기 관통한 체결볼트(11,12)중 내측체결볼트(11)에 끼워지되, 수직선상의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렌즈(20)와 안전와셔(25)의 관통공(21,26)에 끼워질 수 있는 지름으로 성형된 관통관부(51)와, 체결후 렌즈(20)의 지지를 위한 지지턱부(52), 그 상단부에 위치하여 볼트머리가 성형된 너트머리부(53)와, 이들을 내부에서 관통한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54)로 구성된 수지류의 관통체결너트(50)가;
    서로 체결되어 안경다리연결구(10)와 코다리(30)에 안경렌즈(20)를 결합시킬 수 있는 하나의 체결구조를 이룸에 특징이 있는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체결부(60)는,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위해 외측체결볼트(12)에도 수직선상의 최하단부에 위치하여 체결후 렌즈(20)의 지지를 위한 지지턱부(56), 그 상단부에 위치하여 볼트머리가 성형된 너트머리부(57)와, 이들을 내부에서 관통한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58)로 구성된 수지류의 체결너트(55)를 조여줌에 특징이 있는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KR2020010031685U 2001-10-17 2001-10-17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KR200261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85U KR200261583Y1 (ko) 2001-10-17 2001-10-17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85U KR200261583Y1 (ko) 2001-10-17 2001-10-17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583Y1 true KR200261583Y1 (ko) 2002-01-23

Family

ID=7311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685U KR200261583Y1 (ko) 2001-10-17 2001-10-17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5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157B1 (ko) * 2012-04-13 2012-09-03 김승준 안경테 제조방법
KR101447816B1 (ko) 2013-04-26 2014-10-08 김광태 무테 안경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157B1 (ko) * 2012-04-13 2012-09-03 김승준 안경테 제조방법
KR101447816B1 (ko) 2013-04-26 2014-10-08 김광태 무테 안경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1583Y1 (ko) 체결볼트 일체형의 무테안경
KR20130002469U (ko) 플라스틱 안경테
KR102127686B1 (ko)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구와, 이를 구비한 무테안경
CN100592141C (zh) 多功能眼镜
KR101233660B1 (ko) 비정형 안경테(무테 안경테)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US7175272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CN221101172U (zh) 一种非金属眼镜架
KR200410499Y1 (ko) 무테안경의 렌즈지지구조
JP3086643U (ja) リムレスメガネ用止着ネジ、及びリムレスメガネ
KR200441972Y1 (ko) 와이어 타입 안경테
KR200327687Y1 (ko) 무테안경의 렌즈 조립구조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200252993Y1 (ko) 탄성 안경다리용 연결구
KR20090011566U (ko) 안경의 연결구
KR200224573Y1 (ko) 무테안경의 코받침 체결구조
KR200442374Y1 (ko) 무테안경의 렌즈고정장치
KR200347395Y1 (ko) 무테 안경용 체결구조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KR200278743Y1 (ko) 무테안경의 체결구조
KR200337979Y1 (ko) 반테 안경테와 렌즈의 조립구조
KR200198589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10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0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