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0239Y1 - 손톱소제용 가위 - Google Patents

손톱소제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239Y1
KR200260239Y1 KR2020010023119U KR20010023119U KR200260239Y1 KR 200260239 Y1 KR200260239 Y1 KR 200260239Y1 KR 2020010023119 U KR2020010023119 U KR 2020010023119U KR 20010023119 U KR20010023119 U KR 20010023119U KR 200260239 Y1 KR200260239 Y1 KR 200260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nail
scissors
trim
a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도장
Original Assignee
백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면기 filed Critical 백면기
Priority to KR2020010023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2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톱의 소제기구로 사용되는 소제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써, 양측의 각 끝단에는 손톱 주변의 군살을 제거하기 위한 날부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손가락이 삽입되어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고리부가 마련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소제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리부의 일단에 손톱주변과 접촉되는 다듬부의 형상이 상이한 다듬기를 각각 부착하여 절단 및 다듬기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소제용 가위에 소제도구인 다듬기를 형성하므로써, 사용할 때에 소제작업의 편리함은 물론 신속한 소제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손톱소제용 가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톱소제용 가위{The finger nails cleaning of scissors}
본 고안은 손톱소제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손톱 주변의 군살을 절단하는 가위기능과 손톱 가장자리의 속살 제거를 위한 밀대기능과 다듬기를 구비한 손톱소제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소제용 가위는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사용용도에 따라 손톱 소제용 가위와, 대·소의 소제용 밀대와 다듬기 등으로 만들어져서 손톱소제를 하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제기구들은 각각의 미용기구가 별개로 제작되어 손톱 소제용구들을 사용할 때에는 각각의 소제도구를 용도에 맞게 번갈아 가며 사용하므로써, 불편함은 물론 분실로 인해 용도에 맞는 사용을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손톱소제용 가위를 나타낸 것으로 손톱의 주변에 자라난 군살이나 지저분한 속살을 손톱소제용 가위(1)만으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나, 가위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을뿐 다듬기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서 도 2와 같이 별도의 다듬기(2)를 구비하여야만이 손톱주변의 군살제거나, 군살 다듬기 등의 손톱소제 작업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손톱소제용 가위(1)와 다듬기(2) 등은 각각의 도구가 별개로 제작되어 생산시에는 각 소제용구들을 별도로 생산하여 포장해야 함으로써 포장시간의 지연과 이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와 함께 보관시에는 하나의 보관대에 보관하게 되어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만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할 때에는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게 되므로 교체작업에 불편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소제용 가위에 다듬기를 일체로 마련하여 편하게 제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호하며, 편리하고 안전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손톱소제용 가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손톱주변의 군살을 제거하기 위한 날부와 손가락이 삽입되어 안전하게 잡을수 있게 한 고리부가 마련되는 소제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끝단에 절단 및 다듬기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다듬부의 형상이 상이한 다듬기가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손톱소제가위의 날부를 통하여 손톱 주변의 군살이나 지저분한 곳을 도려내어 절단을 하거나 다듬기와 밀대로 가지런하게 밀어내어 다듬어서 손톱은 물론 그 주변을 보다 미려하고 단정한 상태를 이루게 하는 손톱소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손톱주변의 군살을 제거하기 위한 날부와 손가락이 삽입되어 안전하게 잡을수 있게 한 고리부가 마련되는 소제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끝단에 손톱주변의 군살과 눈썹주변의 잔털을 뽑을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족집게가 일체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손톱소제용 가위의 평면도.
도 2는 종래에 사용되는 손톱소제용 다듬기의 사시도.
도 3a은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의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d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 날부 20, 20a - 지지대
30, 30a - 고리부 40 - 힌지축
50 - 소제용 가위 60 - 밀대
60a - 다듬기 70, 70a - 족집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은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d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용 가위는 손톱주변의 군살을 제거하기 위한 날부(10,10a)와, 상기 날부(10,10a)가 전방에 부착되어 소정각만큼 벌리고 오므릴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20,20a)와, 상기 지지대(20,20a)의 후방에 손가락의 출입이 자유롭게 되는 원형의 고리부(30,30a)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대(20,20a)가 힌지축(40)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소제용가위(50)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30,30a)의 끝단에 손톱주변과 접촉되는 다듬부의 형상이 상이한 다듬기(60,60a)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절단 및 다듬기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리부(30,30a)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듬기(60,60a)의 부착위치를 한정하지는 않지만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고리부(30,30a)의 끝단에 길게 세워서 부착되도록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에 불편하지 않는 조건에서는 지지대(20,20a)의 어느 위치에 부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먼저 손톱 소제용가위(50)로 사용할 때에는 소제용가위의 고리부(30,30a)에 엄지와 검지 또는 중지를 삽입하여 가위질이 이루어지도록 잡은 상태에서 고리부(30,30a)를 오므리고 펴는 작업을 반복하므로써 날부(10,10a)는 절단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소제용가위(50)로서의 굳은살이나 손톱주변의 어지럽게 붙어있는 속살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톱주변을 따라 정교한 다듬질을 하고자 할 때에는 고리부(30,30a)에 부착되어 있는 밀대(60)와 다듬기(60a)를 이용하게 되는데, 각형을 이룬 밀대(60)는 일시에 넓고 긴 면을 소제할 때에 사용하고,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다듬기(60a)는 손톱의 일측에 골이난 부분을 찔러 파낼때 사용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다듬작업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b와 도 3c와 같이 밀대와 다듬기가 도 3a에 국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손톱 소제용가위(50)의 고리부(30,30a) 끝단에 각각 그 단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손톱주변의 군살과 눈썹주변의 잔털을 뽑도록 된 족집게(70,70a)를 구비한다.
이로써, 손톱주변의 약한 굳은 속살을 제거할 때에는 고리부(30,30a)에 부착되어 있는 족집게(70,70a)를 이용하게 되는데 고리부에 엄지와 검지를 넣은 상태로 속살을 족집게로 잡고 들어 올려 뽑아 내면 제거가 용이하게 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눈썹주변의 잔털을 제거하므로써 눈썹을 손쉽게 다듬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소제용가위는 다듬기를 별도로 보관하지 않고도 안전한 보관 및 관리를 할 수 있으면서도 손톱소제시에 사용용도에 알맞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작업으로 양호한 손톱소제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같은 본 고안은 소제용 가위에 소제도구인 다듬기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보관과 관리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할 때에는 사용용도에 맞는 도구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어서 소제작업의 편리함은 물론 신속한 소제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손톱주변의 군살을 제거하기 위한 날부와 손가락이 삽입되어 안전하게 잡을 수 있게 한 고리부가 마련되는 소제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끝단에 절단 및 다듬기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형상이 상이한 다듬기와 밀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소제용가위.
  2. 손톱주변의 군살을 제거하기 위한 날부와 손가락이 삽입되어 안전하게 잡을 수 있게 한 고리부가 마련되는 소제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끝단에 손톱 주변의 군살과 눈썹주변의 잔털을 뽑을 수 있도록 그 단부가 상호 접촉되는 족집게가 일체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소제용 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끝단에 다듬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다듬기만을 일체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소제용가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의 끝단에 밀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밀대만을 일체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소제용가위.
KR2020010023119U 2001-07-30 2001-07-30 손톱소제용 가위 Expired - Fee Related KR200260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119U KR200260239Y1 (ko) 2001-07-30 2001-07-30 손톱소제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119U KR200260239Y1 (ko) 2001-07-30 2001-07-30 손톱소제용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239Y1 true KR200260239Y1 (ko) 2002-01-10

Family

ID=7310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11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0239Y1 (ko) 2001-07-30 2001-07-30 손톱소제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2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6129B1 (en) Hair trimmer device with comb unit
EP2194808B1 (en) Multi-function nipper device
US2906021A (en) Skinning knife
US4009517A (en) Barbering tool
JP2009500113A (ja) 一体型湿式シェービング及びトリミング手段
KR100582029B1 (ko) 미용가위
US6050269A (en) Nail scissors
CA2538975A1 (en) Hybrid scissors and razor
KR200260239Y1 (ko) 손톱소제용 가위
US3919769A (en) Barbering tool
KR200184311Y1 (ko) 손톱소제용가위
KR200175676Y1 (ko) 손톱소제용가위
KR20130073281A (ko) 손톱 손질용 미용구
KR200436168Y1 (ko) 조발용 가위
JP2005160915A (ja) カミソリのための眉剃用カバー
KR200399432Y1 (ko) 손톱 소제 용구
KR102754987B1 (ko) 다기능 눈썹 바리깡
AU2012223119B2 (en) Integrated Wet Shaving and Trimming Implement
KR200199312Y1 (ko) 자동소형 양날 레이저용구
JP2890251B2 (ja) 安全かみそり
KR200195179Y1 (ko) 미용가위
KR200240208Y1 (ko) 이미용 가위
KR200240224Y1 (ko) 이미용 가위
KR200253671Y1 (ko) 다기능 손발톱 깍기
KR200262255Y1 (ko) 레쟈기능과 틴닝기능이 구비된 미용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7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7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33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3102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011227

Request date: 20031024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50523

Appeal identifier: 200310000226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024

Effective date: 20050523

U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date: 20050524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03100002260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50523

Request date: 200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