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9909Y1 - 돌비빔기 - Google Patents

돌비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909Y1
KR200259909Y1 KR2020010030017U KR20010030017U KR200259909Y1 KR 200259909 Y1 KR200259909 Y1 KR 200259909Y1 KR 2020010030017 U KR2020010030017 U KR 2020010030017U KR 20010030017 U KR20010030017 U KR 20010030017U KR 200259909 Y1 KR200259909 Y1 KR 200259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by
body portion
present
stone
dolb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원
Original Assignee
양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원 filed Critical 양성원
Priority to KR2020010030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909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돌비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받침부재와 몸체부로 이루어진 돌비빔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하부 외주연 영역에는 단차부(31)가 형성되어 다수의 돌비빔기(10) 적층시 돌비빔기(10)의 수용부(40) 상단이 밀착됨으로써 다수의 돌비빔기(10)를 안정되게 적층하여 보관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돌비빔기의 몸체부 하부 외주연에 단차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여러개의 돌비빔기를 순차적으로 높게 쌓아 보관하게 되어 좁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돌비빔기{A STONE BOILED WITH ASSORTED MIXTURES}
본 고안은 돌비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비빔기의 몸체부 외주연에 단차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여러개의 돌비빔기를 높게 적층 보관하게 되어 좁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비빔기는 일반 밥솥이나 전자밥솥 등에서 지은 밥을 돌솥에서 지은 밥맛을 얻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돌비빔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돌비빔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돌비빔기가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돌비빔기(100)는 받침부재(200)와 몸체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200)는 받침대에 올려놓기가 용이하도록 하단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전체가 원형을 유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300)는 받침부재(200)의 외주연에 동일한 곡률과 길이를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적정 곡률을 유지하여 내용물, 즉 밥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400)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비빔기(100)는 주로 열을 가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돌비빔기(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전자밥솥 등에서 지은 밥을 돌비빔기(100)의 수용부(400)에 적정량 넣은 다음, 이를 가스렌지 등에 올려놓고 내부의 밥이 약간 눌을 정도로 가열하게 된다. 그러면, 돌비빔기(100)가 가열되어 재질의 특성상 돌솥에서 지은 밥맛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집게 등을 이용하여 돌비빔기(100)의 받침부재(200)를 받침대(미도시)에 올려놓은 다음, 각종 나물, 양념 및 참기름 등을 넣고 골고루 비비게 되면, 돌솥 비빔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돌비빔기는 도 2에서와 같이 여러개를 쌓아 보관하게 될 경우에는 몸체부의 외주연이 수용부 상단에 걸리게 되어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여 쓰러지게 됨으로써 높게 쌓지 못하게 되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높게 쌓아 보관이 가능하여 좁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돌비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받침부재와 몸체부로 이루어진 돌비빔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 외주연 영역으로부터 상단까지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돌비빔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돌비빔기가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돌비빔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돌비빔기가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돌비빔기 20 : 받침부재
30 : 몸체부 31 : 단차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돌비빔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돌비빔기의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돌비빔기(10)는 받침부재(20)와 몸체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20)는 받침대에 올려놓기가 용이하도록 하단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전체가 원형을 유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30)는 받침부재(20)의 외주연에 동일한 곡률과 길이를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적정 곡률을 유지하여 밥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40)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30)의 하부 외주연 영역에는 단차부(31)가 형성되어 다수의 돌비빔기(10) 적층시 돌비빔기(10)의 수용부(40) 상단이 밀착됨으로써 다수의 돌비빔기(10)를 안정되게 적층하여 보관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단차부(31)는 몸체부(30)의 하부 외주연 영역으로부터 상단까지 적정두께를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돌비빔기(10)는 주로 열을 가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돌비빔기(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전자밥솥 등에서 지은 밥을 돌비빔기(10)의 수용부(40)에 적정량 넣은 다음, 이를 가스렌지 등에 올려놓고 내부의 밥이 약간 눌을 정도로 가열하게 된다. 그러면, 돌비빔기(10)가 가열되어 재질의 특성상 돌솥에서 지은 밥맛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집게 등을 이용하여 돌비빔기(10)의 받침부재(30)를 받침대(미도시)에 올려놓은 다음, 각종 나물, 양념 및 참기름 등을 넣고 골고루 비비게 되면, 돌솥 비빔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돌비빔기(10)를 적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돌비빔기(10)의 수용부(40)에 다른 돌비빔기(10)의 외주연부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돌비빔기(10)의 몸체부(30) 외주연에 형성된 단차부(31)가 다른 돌비빔기(10)의 수용부(40) 상단에 밀착되게 걸리게 된다.
이러한 공정으로 제 3.4.5...돌비빔기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보관하게 됨으로써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은, 돌비빔기의 몸체부 하부 외주연에 단차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여러개의 돌비빔기를 순차적으로 높게 쌓아 보관하게 되어 좁은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이와 같이 돌비빔기를 적층시키는 구조는 돌비빔기에 한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돌솥 및 그 밖의 그릇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받침부재와 몸체부로 이루어진 돌비빔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하부 외주연 영역으로부터 상단까지 단차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비빔기.
KR2020010030017U 2001-09-28 2001-09-28 돌비빔기 KR200259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017U KR200259909Y1 (ko) 2001-09-28 2001-09-28 돌비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017U KR200259909Y1 (ko) 2001-09-28 2001-09-28 돌비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909Y1 true KR200259909Y1 (ko) 2002-01-09

Family

ID=7310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017U KR200259909Y1 (ko) 2001-09-28 2001-09-28 돌비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9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0124A (en) Dish for holding food to be heated in a microwave cooking chamber
US4143647A (en) Dish for holding food to be heated in a microwave cooking chamber
JP3336313B2 (ja) 補助蒸し器
KR200259909Y1 (ko) 돌비빔기
US4032097A (en) Nestable pot stands
USD913042S1 (en) Tequila tray
JP5947195B2 (ja) 釜置き台
KR20160124486A (ko) 접이식 조리 용기
TWI777186B (zh) 料理架及料理架組合
US5988385A (en) Frying pan protector
KR101372873B1 (ko) 접이식 용기
KR200198749Y1 (ko) 용기 받침대 손상방지구조
KR200230570Y1 (ko) 조리용기
JP6928373B2 (ja) 調理器具用つまみ
US20060289331A1 (en) Carton and clip assembly for packaging and shipping a water heater or similar appliance
JP2975936B1 (ja) コッヘル
TWM598652U (zh) 烹調器具
KR200264320Y1 (ko) 돌비빔기 세트용 포장 케이스
WO2024136771A1 (en) Packaging for a hob
KR101100928B1 (ko) 조리용품 적층용 스페이서
JP3213652U (ja) クッカー
KR200491406Y1 (ko) 음식 거치대
USD426654S (en) Candle and array
TWM565534U (zh) Steaming rack
US11213164B2 (en) Coo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9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9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3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