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8407Y1 - 등속조인트 - Google Patents

등속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407Y1
KR200258407Y1 KR2020010000361U KR20010000361U KR200258407Y1 KR 200258407 Y1 KR200258407 Y1 KR 200258407Y1 KR 2020010000361 U KR2020010000361 U KR 2020010000361U KR 20010000361 U KR20010000361 U KR 20010000361U KR 200258407 Y1 KR200258407 Y1 KR 200258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velocity
velocity joint
friction
guide member
flang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광모
김용상
Original Assignee
홍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욱 filed Critical 홍순욱
Priority to KR2020010000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40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속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구동축과 종동축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이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회전시 정숙성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안내부재, 상기 플랜지와 안내부재 사이에 회전마찰에 대한 내마모성을 확보하고 정숙한 동작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마찰부재로 이루어진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선단부에 회전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마찰재질로 이루어진 마찰부재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됨으로써, 작업공정이 단순화되는 동시에 작업의 정밀성이 확보되고, 내마모성이 개선되어 부품의 수명이 연장되며, 변동하중에 대한 흡수력이 향상되는 등속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속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
본 고안은 등속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내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마찰부재가 내마모재로 제작되면서 안내부재와 일체로 성형 사출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됨으로써, 회전마찰에 대한 내마모성 및 정숙성이 확보되는 등속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속조인트는, 두 축간의 교차각도에 변화가 생기는 이음부에서 입력축과 출력축간의 교차각도 변동에 무관하게 입력축의 회전력을 동일 속도로 출력축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등속조인트(100)는 구동축(미도시)과 종동축(미도시) 선단부에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호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120, 1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안내홈(142)을 갖는 환형상의 안내부재(140)가 내장되었다.
또한, 상기 플랜지(120, 130)의 맞닿는 위치에 일정형상의 결합홈(102)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02)의 양측면에는 환형상의 워셔(122, 132)가 장착되면서 저면에는 수지재질인 환형상의 충격완화부재(148)가 장착되었다.
상기 안내부재(140)의 결합홈(102)측 양선단부에는 결합홈(102)에 소정의 위치에 돌기(145)가 형성된 센터플레이트(144)가 결합되고, 상기 돌기(145)의 외주면 양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각각 분리되도록 상부에서 하부의 순서대로 복수의 스프링(147)과 수지시트(146)가 부착되면서 상기 워셔(122, 132)와 맞닿음 접촉되었다.
상기 볼요크(110)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형돌기(112)는 안내부재(140)에 형성된 안내홈(142)에 장착되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랜지(120, 130)의 상호 결합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돌기(145)가 일체로 형성된 안내부재(140)가 복수개의 O-ring(150, 152)이 내측 소정의 위치에 장착된 결합홈(102)에 맞닿음 접촉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등속조인트(100)는 양축(미도시)의 이음부에 위치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결합홈(102)과 돌기(145)에 장착된 부재(122, 132, 146, 147, 148, 150, 152)들의 접촉에 의한 마찰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압에 대한 완화 및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등속조인트(100)가 안내부재(140)와 센터플레이트(144)로 분리되어 제작됨으로써 부품이 증가되고, 작업공정 수의 증가와 동시에 작업의 정밀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140)에 설치되는 스프링(147) 또는 결합홈(102)에 장착되는 O-ring(150, 152)은 다수의 부재(122, 132, 146, 147, 148)가 부착되므로 조립의 복잡성 및 조립상태의 확인공정에 어려움이 있거나, 접촉면이 적어 변동흡수에 대해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착안된 것으로, 안내부재에 내마모재인 마찰부재 하나만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됨으로써, 작업공정이 단순화되는 동시에 작업의 정밀성이 확보되고, 내마모성이 개선되어 부품의수명이 연장되며, 재질의 변경으로 변동하중에 대한 흡수력이 향상되는 등속조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등속조인트의 일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등속조인트의 다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등속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안내부재와 플랜지가 분해되어 도시된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3의 요부인 마찰부재가 도시된 확대부분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등속조인트 20...볼요크,
22...구형돌기 30...구동축,
40...종동축 50...안내부재,
52...안내홈 54...돌기,
60...마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동축과 종동축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이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회전시 정숙성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안내부재, 상기 플랜지와 안내부재 사이에 회전마찰에 대한 내마모성을 확보하고 정숙한 동작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마찰부재로 이루어진 등속조인트에 있어서,상기 안내부재의 선단부에 회전마찰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마찰재질로 이루어진 마찰부재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가 별도 제작되어 안내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며,상기 마찰부재는 MC PLASTIC과 NYLON4/6로 제작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결합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속조인트(10)는 일정한 꺽임각을 유지하는 구동축(12)과 종동축(14) 선단부에 형성되면서 구형돌기(22)를 갖는 볼요크(20)가 내장되도록 양축 선단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호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30 40), 이 플랜지(30, 40)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두 축의 꺽임각 확보를위해 일정량 편심되어 형성된 안내홈(52)을 갖는 안내부재(50)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30, 40)의 맞닿는 위치에 일정형상의 결합홈(32)이 형성된다.
상기 볼요크(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구형돌기(22)는 구동축(12)에서 종동축(14)으로 전해지는 회전력에 대해 동일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부재(50)에 형성된 안내홈(52)에 장착된다.
상기 안내부재(50)의 결합홈(32)측 외주면에 결합홈(32)과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끼움결합되도록 마찰부재(60)가 형성된 돌기(54)가 성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찰부재(60)은 돌기(54)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2)과 접촉되어 회전시 상하방향 및 다양한 각도에서의 외압에 의한 변동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도록 내마찰재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상기 마찰부재(60)가 돌기(54)와 동일한 형상으로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돌기(54)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마찰부재(60)의 재질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MC PLASTIC 또는 NYLON 4/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의 결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찰부재(6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안내홈(52)에 구형돌기(22)가 결합된 안내부재(50)를 사이에 두고 양축(12, 14)의 선단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플랜지(30, 4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60)가 별도로 사출성형시 안내부재(50)의 돌기(54)에 장착된 후, 안내부재(50)를 사이에 두고 양축(12, 14)의 선단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플랜지(30, 4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속조인트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등속조인트에서 다수개의 부재가 부착되어야만 했던 복잡한 구조가 단지 마찰부재만이 안내부재에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작업공정과 제품 완성후 확인공정이 단순화되면서 정밀성을 최대화하였다.
둘째, 마찰부재의 재질 변경으로, 내마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부품의 수명을 극대화하였다.
셋째, 종래의 O-ring만이 부착되어 마찰부재와 플랜지의 접촉면적의 적음으로 변동흡수에 미비했던 점이 돌기를 감싸도록 된 마찰부재에 의해 플랜지의 접촉면적의 증가로 피로하중의 집중을 최저화하면서 변동하중에 대한 흡수를 크게 향상시켰다.

Claims (1)

  1. 구동축(12)과 종동축(14)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한 쌍으로 대향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30, 40)와, 이 플랜지(30, 40)의 마주하는 내주부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홈(32)에 끼움 결합되는 돌기(54)를 가지는 안내부재(50)를 포함하는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32)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마찰부재(60)가 상기 돌기(54)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
KR2020010000361U 2001-01-06 2001-01-06 등속조인트 Expired - Lifetime KR200258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61U KR200258407Y1 (ko) 2001-01-06 2001-01-06 등속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361U KR200258407Y1 (ko) 2001-01-06 2001-01-06 등속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407Y1 true KR200258407Y1 (ko) 2001-12-28

Family

ID=7306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361U Expired - Lifetime KR200258407Y1 (ko) 2001-01-06 2001-01-06 등속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4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779B2 (en) Pulley type torque transmitting apparatus
EP0584400A2 (en) Shaft coupling
US7887423B2 (en) Universal joint
US4579546A (en) Preloaded drive assembly
KR200258407Y1 (ko) 등속조인트
JPH07224855A (ja) 軸継手
JP2007263315A (ja) プーリ
KR960005315B1 (ko) 축커플링
US5358445A (en) Variable angle torque transmitting coupling device
EP1083355B1 (en) Flexible coupling for coaxial shafts
JP4603441B2 (ja) 等速ジョイント
KR102770429B1 (ko) 등속조인트
JP3698878B2 (ja) ベルトテンショナ機構
KR200258415Y1 (ko) 스티어링용 등속조인트
JP2006322613A (ja) 等速ジョイント
JPH08326770A (ja) 等速自在継手
US3668892A (en) Flexible drive coupling
JPH06337021A (ja) フレキシブル軸継手
KR20150049179A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
JP2004293637A (ja) 軸継手
JP4436144B2 (ja) 軸継手
KR100804186B1 (ko) 조향장치의 슬립 조인트
JPH04312212A (ja) 軸継手、及びそれに用いる回転力伝達部材の製造方法
KR200242572Y1 (ko) 등속조인트
JP2596689B2 (ja) 軸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1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1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