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7700Y1 -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700Y1
KR200257700Y1 KR2020010027733U KR20010027733U KR200257700Y1 KR 200257700 Y1 KR200257700 Y1 KR 200257700Y1 KR 2020010027733 U KR2020010027733 U KR 2020010027733U KR 20010027733 U KR20010027733 U KR 20010027733U KR 200257700 Y1 KR200257700 Y1 KR 200257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que
signal
transmission module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영
Original Assignee
전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영 filed Critical 전기영
Priority to KR2020010027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70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본체에 장착되어 이동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고유ID를 가지고 자동차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자체 메모리에 상기 고유ID를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CPU와;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에 설치 가능한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을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원격리모콘을 휴대하지 않고도 주차위치로부터 일정 이내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언록 상태로 유지시키고, 일정 범위를 이탈하면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록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Signal Transmitting Module Attachable to Mobile Phone for Locking/Unlocking Automobile Door Automatically}
본 고안은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 대다수의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에 설치하여 자동차의 주차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진입하면 도어스위치를 자동으로 구동시켜 자동차도어를 언록(Unlock)시키고, 주차위치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록(Lock)시키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자동차는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하여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전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일정 부품을 동작시킬 수 있는 원격조정장치가 개발되어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향상시킨다. 원격조정장치는 운전자가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전파를 송수신하여 엔진의 시동이나 에어컨 또는 히터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경보음이나 헤드라이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차가 동작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자동차에 도난방지를 위하여 각종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비상등 또는 경보음을 이용하여 도난방지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원격조정장치는 운전자가 원격리모콘 송신기로부터 작동신호를 보내면 송신된 무선신호가 메인박스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 증폭 및 여과되어 각 구동장치로 출력되고, 자동차의 각 기능을 동작시켜 운전자가 직접 작동시키는 것을 대신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원격조정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주차위치로부터 일정 거리이내에서 직접 원격리모콘 송신기를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원격리모콘에 내장되어 있는 고유ID를 인식하기 위해서 원격리모콘과 메인박스를 일체로 제작하여 판매하는 1:1 매칭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원격리모콘과 메인박스의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비가 증가되어 원격리모콘의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야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최근 대다수의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에 설치하여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3목적은,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의 고유ID를 주기적으로 메인박스로 무선 송신하고, 고유ID를 송신 받은 메인박스는 등록된 고유 ID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언록(Unlock)시키고 설정 시간간격으로 ID에 따른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록(Lock)시키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4목적은, 운전자가 이그니션 홀더에 키를 삽입한 상태에서 IG(Ignition)Ⅰ 또는 IG Ⅱ가 감지되거나 자동차도어가 열린 상태이면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차단하여 운행 중에 자동차도어가 언록 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을 장착된 이동단말기와 메인박스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의 실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과 메인박스 사이의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인박스의 내부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단말기 3 : 이동단말기본체
5 : 배터리 7 : 입력버튼
10 :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13 : CPU
15 : 무선송신부 20 ; 메인박스
21 : 무선수신부 23 : CPU
25 : 메모리부 27 : 컨트롤버퍼
30 : 도어록모터 40 ; 이그니션감지부
50 : 경보발생부 60 : 레귤레이터
70 : 도어열림감지부 80 : ID전환신호감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단말기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고유ID를 가지고 자동차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있어서, 자체 메모리에 상기 고유ID를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CPU와;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는 상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ID를 저장 및 등록시키고, 상기 등록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스위치를 언록 상태로 구동시키고, 상기 등록된 고유ID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어스위치를 록 상태로 구동시키고, 이그니션홀더에 삽입된 키 위치가 ON 및 ACC 상태에 있으면 상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며, 고유 ID의 변경을 위한 고유ID전환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고유ID를 변경시키는 메인박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이 구비된 이동단말기와 메인박스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의 실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과 메인박스 사이의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은 이동단말기(1)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본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에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도어스위치(31)를 동작시키는 메인박스(20)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은 주기적(예컨대, 2초)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박스(20)에는 메인박스(20)에서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도어스위치(31)를 작동시켜 자동차도어(33)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도어록모터(30)와, 이그니션홀더에 삽입된 키위치가 ON 및 ACC 상태에 있으면, IG감지신호를 메인박스(20)로 인가하는 이그니션감지부(40)와, 메인박스(20)에 인가되는 방향등 구동신호에 따라 방향등을 구동시키고 메인박스(20)에 인가되는 경보발생신호에 따라 자동차 혼(Horn) 또는 자체의 사이렌을 이용하여 경보음을 출력시키는경보발생부(50)와, 자동차도어(33)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70)와, 메인박스(20)에 고유ID 저장 및 저장된 고유ID를 새로운 고유ID로 변경시키는 ID전환신호감지부(80)가 연결되어 있다.
자동차도어(33)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은 CPU(13) 및 무선송신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메인박스(20)는 무선수신부(21), CPU(23), 메모리부(25), 컨트롤버퍼(2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인박스(20)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의 고유ID를 저장하고, 저장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스위치(31)를 언록상태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메인박스(20)에 고유ID가 저장되려면, 메인박스(20)에 연결된 ID전환신호감지부(80)로 기설정된 고유ID전환신호가 인가되어야 하며, ID전환신호감지부(80)로 고유ID전환신호가 인가된 후 도어개페송신모듈(10)로부터 송신되는 고유ID를 등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유ID전환신호는 운전자가 이그니션홀더의 'ON'상태와 'OFF'상태 사이를 왕복하는 동작을 수회(예컨대, 3회) 반복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같은 고유ID전환신호를 메인박스(20)에 인가하여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의 고유ID를 변경 등록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그니션홀더의 ON상태와 OFF상태 사이를 반복하는 것으로 고유ID전환신호를 설정하였지만, 이와 달리 도시 생략된도어스위치의 록동작과 언록동작을 복수회 반복하는 동작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박스(20)는 일정시간 이내에 저장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어스위치(31)를 록상태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이그니션홀더의 IG Ⅰ상태('ON'상태) 또는 IG Ⅱ 상태('OFF'상태)가 감지되거나 도어열림감지부(70)에서 자동차도어(33)가 열린 상태임을 감지하면 저장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특정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도 1에는 메인박스(20)가 자동차와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별도로 도시한 것으로 메인박스(20)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전술한 메인박스(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메인박스(20)에 연결되는 도어록모터(30)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로(10)부터 메인박스(20)로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도어스위치(31)를 구동시켜 자동차도어(33)의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이그니션감지부(40)는 도시 생략된 이그니션홀더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그니션홀더에 삽입된 키 위치를 판명하여 키가 이그니션홀더의 온위치 또는 ACC위치에 위치하면 IG감지신호를 메인박스(20)로 인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보발생부(50)는 메인박스(20)에 연결되어 메인박스(20)로 인가되는 방향등 구동신호 및 경보발생신호에 따라 방향등을 구동시키고 자동차 혼 또는 자체의 사이렌을 이용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어열림감지부(70)는 자동차도어(33)의 열림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차도어(33)가 열린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특정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1)의 내부에 장착된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은 이동단말기본체(3)에 장착되어 이동단말기본체(3)로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단말기용 배터리(5)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에는 이동단말기(1)에 장착된 배터리(5)에 충전된 전원이 완전히 방전되는 경우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이 작동하지 않는 것을 대비하여 도시 생략된 별도의 보조전원부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보조전원부는 배터리(5)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충전을 계속 하다가 배터리(5)의 전원이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 보조전원부에 충전된 충전전원을 이용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을 동작시킴으로서 자동차도어(33)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의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은 CPU(13) 및 무선송신부(15)를 포함하며, 무선송신부(15)는 발진기(151), 위상고정루프(152), 루프필터(153), 전압제어발진기(154) 및 전력증폭기(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PU(13)는 고유ID를 가지며 자체 메모리에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로부터 주기적(예컨대, 2초 간격)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CPU(13)에는 도시 생략된 타이머가 내장되어 있어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의 송출을 주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을 구성하는 무선송신부(15)는 CPU(13)에 연결되어있으며, CPU(13)로부터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생성하여 송신용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송신부(15)에는 안정한 주파수(예컨대,400MHz)를 생성하기 위한 발진기(151), 발진기(151)에서 생성된 기준주파수를 이용해 정해진 주파수를 만들어내고 만약 주파수가 높거나 낮으면 주파수를 빼거나 더하여 주파수 변화 없도록 하는 위상고정루프(152), 위상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위상고정루프에서 합성된 주파수를 필터링하는 루프필터(153), 정밀한 가변주파수를 생성하는 전압제어발진기(154), 전압제어발진기(154)에서 생성된 주파수를 증폭하여 일정한 진폭의 신호로 출력하여 송신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력증폭기(155)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무선송신부(15)는 전압제어발진기(154)의 출력단을 위상고정루프(152)로 피드백시켜 오차 없는 주파수가 생성되도록 구현한다.
여기서, 전력증폭기(155)를 구성할 때 파형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증폭기를 이용하여 오프셋전압 및 이득계수를 조절하여야 한다. 같은 오프셋의 크기로 진폭이 다른 신호의 온/오프를 결정하면 듀티비율이 바뀌게 되어 파형이 변조될 수 있으므로 오프셋전압 및 이득계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인박스의 내부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박스(20)는 무선수신부(21), CPU(23), 메모리부(25), 컨트롤버퍼(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메인박스(20)에는 자동차전원을 이용하여 메인박스(20)에 일정한 전원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60)가 연결되어 있다. 메인박스(20)를 구성하는 무선수신부(21)에는 RF증폭기(211), RF필터(212), 발진기(213), 필터(214), 믹서(215), SAW필터(216), 증폭기 (217)및 IF IC(218)를 포함한다.
무선수신부(21)는 송신부(10)를 통해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원래의 신호로 복조 및 디지털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수신부(21)를 구성하는 RF증폭기(211)는 수신용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신호의 수신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증폭하는 것이며, RF필터(212)는 RF증폭기(211)에 의해 증폭된 신호 중에서 일정한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고 그 이외의 주파수는 제거시키도록 필터링한다.
또한, 무선수신부(21)를 구성하는 믹서(215)는 RF필터(212)에서 필터링된 주파수와 필터(214)에서 필터링된 주파수를 혼합하여 일정한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며, 표면탄성파 필터(SAW 필터: 216)는 믹서(215)에서 생성된 중간주파수에서 특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켜 혼선과 잡음을 없애준다. 증폭기(217)는 SAW필터(216)에서 필터링된 중간주파수를 증폭하며, 중간주파수 IC(218)는 증폭기(217)에 의해 증폭된 중간주파수를 원래의 송신주파수로 복조하여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RF증폭기(211)는 능동소자를 포함한 회로의 일부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성능은 떨어지더라도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발진기(213)는 발진출력이 충분하고 안정하여야 하면 고주파 함유율이 적고 주파수 조정이 간단하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217)는 구현하고자 하는 기기에 따라 설계자가 중간주파수를 높게 증폭하거나 낮게 증폭할 수 있다. 중간주파수를 높게 증폭하는 경우에는 인입현상에 의해 영향이 개선되고 전송대역주파수 특성이 개선된다는 이점이 있고, 중간주파수를 낮게 증폭하는 경우에는 감도 및 안정도가 좋아지고 단일조정이 용이하며 근접 주파수에 대한 선택도가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중간주파수를 낮게 증폭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CPU(23)는 중간주파수 IC(218)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변환된 주파수 데이터를 판독하여 등록된 고유ID인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도어록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고 경보 출력여부를 지시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CPU(23)는 ID전환신호감지부(80)를 통해 ID등록 및 변경을 위한 고유ID전환신호(예컨대, 이그니션홀더의 온오프동작을 복수회 반복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의 고유ID를 등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모리부(25)는 CPU(23)와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CPU(23)로부터 인가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의 고유ID를 저장하고, CPU(23)의 ID추출명령에 따라 해당 ID를 CPU(23)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버퍼(27)는 CPU(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로부터 CPU(23)를 보호하고, CPU(23)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외부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트롤버퍼(27)에서 저장되는 데이터블록에는 도어스위치(31)를 록 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한 도어록신호, 도어스위치(31)를 언록상태로 구동시키기 위한 도어언록 신호, 도어의 열림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열림 감지신호, 이그니션 홀더의 상태를 감지하여 IG Ⅰ상태 또는 IG Ⅱ상태를 판별하는 IG 감지신호, 방향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방향등 구동신호, 자동차 혼 또는 자체의 사이렌을 이용하여 정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발생신호, 고유ID의 전환을 위한 고유ID전환신호 등이 있다. 메인박스(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안정한 전원을 공급하는 레귤레이터(60)를 통해 공급받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을 이용한 자동차도어개폐에 대한 동작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이 장착된 이동단말기(1) 소지자는 자신의 이동단말기(1)에 설치된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의 고유ID를 메인박스(20)에 등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메인박스(20)에 연결되어 있는 ID전환신호감지부(80)를 통해 설정된 고유ID전환신호가 입력되면,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로부터 송신되는 고유ID가 메인박스(20)에 등록된다.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은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주기적으로 자신의 고유ID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를 외부로 송신하므로 메인박스(20)의 무선수신부(21)는 해당 무선주파수를 수신하여 CPU(23)로 인가한다. 다만, 일정범위 이내에 위치한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에서 송신되는 무선주파수는 모두 CPU(23)로 인가되지만, 전술한 고유ID를 포함한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무선주파수를 무시한다. 따라서, 메인박스(20)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의 고유ID에 의해서만 동작되도록 세팅된 것이며, ID전환신호감지부(80)로 고유ID전환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새로운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에 따른 고유ID를 등록시킬 수 있다.
특정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소지자가 일정 범위 이내에 진입하면, 메인박스(20)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에서 송신되는 고유ID를 수신한 후, 해당 ID가 등록된 고유ID인가를 우선 판별한다. 해당 고유ID가 등록된 고유ID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신호를 무시하고, 등록된 ID인 경우에는 컨트롤버퍼(27)로 도어언록 신호를 송출하여 도어록모터(30)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도어언록 신호가 인가되면 도어록모터(30)는 도어스위치(31)를 구동시켜 자동차도어(33)가 열림 상태가 되도록 동작한다. 이와 동시에 메인박스(10)는 컨트롤버퍼(27)로 방향등 구동신호 및 경보발생신호를 송출하여 자동차도어(33)가 열림 상태에 있음을 외부로 통보한다. 예컨대, 좌/우 방향등을 구동(예컨대, 두 번 깜빡임)시킴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예컨대, 두 번의 경보음)시킴으로서,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을 구비한 이동단말기(1)를 소지한 소지자는 자동차도어(33)가 열림 상태에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의 소지자가 일정범위(예컨대, 4m이내)를 이탈하면(특정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로부터 무선주파수가 검출되지 않으면), 메인박스(20)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소지자가 주자위치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간주하여 컨트롤버퍼(27)로 도어록 신호를 송출하여 자동차도어(33)가 잠김 상태에 있음을 외부로 통보한다. 예컨대, 좌/우 방향등을 구동(예컨대, 한번 깜박임)시킴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예컨대, 한번의 경보음)시킴으로써,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을 구비한 이동단말기(1)의 소지자는 자동차도어(33)가 잠김 상태에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을 구비한 이동단말기(1)를 소지한 상태에서 운전석에 앉은 경우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도어스위치(31)가 잠김 상태가 된다 하더라도 메인박스(20)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로부터 등록된 고유ID가 계속 수신되므로 도어 언록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이 장착된 이동단말기의 소지자가 차량 내에 있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도어언록 상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인박스(20)는 컨트롤버퍼(27)로부터 IG감지신호가 인가되면, 그 이후에 등록된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10)의 고유ID가 수신되더라도 해당 신호를 무시함으로서, 운전 중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도어스위치(31)가 잠김 상태가 된 경우에 도어스위치(31)를 열림 상태로 구동시키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가 자동차도어(33)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일정범위를 이탈한 경우에 등록된 ID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자동차도어(33)를 록상태로 구동시키지 않고 현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IG 감지 신호는 이그니션 홀더에 연결된 이그니션감지부(40)에 의해 검출되며, 운전자가 키를 이그니션홀더에 삽입한 상태에서 키를 온 또는 ACC상태로 회전할 때 IG감지신호가 검출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의하면, 대다수의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에 자동차도어를 원격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을 설치함으로서 자동차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원격리모콘을 휴대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의하면, 자동차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지 않고도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이 장착된 이동단말기 소지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언록상태로 유지시키고,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이 장착된 이동단말기 소지자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자동차도어를 록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이 장착된 이동단말기 소지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는 이그니션홀더의 키 위치를 판별하여 키가 IG 상태에 위치하였다고 감지되면,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로부터 송신되는 ID를 무시하여 운전 중에 도어스위치가 자동으로 언록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동단말기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단말기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고유ID를 가지며 자동차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 있어서,
    자체 메모리에 상기 고유ID를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고유ID를 포함한 데이터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CPU와;
    상기 CPU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CPU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신호에 해당하는 무선주파수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에는
    상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유ID를 저장 및 등록시키고, 상기 등록된 고유ID와 동일한 신호가 수신되면 도어스위치를 언록 상태로 구동시키고, 상기 등록된 ID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어스위치를 록 상태로 구동시키고, 이그니션홀더에 삽입된 키 위치가 ON 및 ACC 상태에 있으면 상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차단시키고, 상기 고유 ID의 변경을 위한 고유ID전환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상기 고유ID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메인박스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은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본체로 전원이 공급될 때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보조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KR2020010027733U 2001-09-10 2001-09-10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200257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33U KR200257700Y1 (ko) 2001-09-10 2001-09-10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33U KR200257700Y1 (ko) 2001-09-10 2001-09-10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700Y1 true KR200257700Y1 (ko) 2001-12-24

Family

ID=7308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73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7700Y1 (ko) 2001-09-10 2001-09-10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7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7844B1 (en)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device for mobile body
JP3003668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US5767588A (en) Wireless vehicle control system
KR20060042955A (ko) 수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20080100429A1 (en) Tire pressure monitoring (tpm) and remote keyless entry (rke) system for a vehicle
US4783658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encoded radio signals
JPH1159331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用の送信機及び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US20060164210A1 (en) On-board wireless receiver having two antennas
JP3309777B2 (ja) 移動体用機器遠隔制御装置
JP2004064563A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受信装置
JP3275777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US912656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0245976Y1 (ko) 카드식 rf송신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0257700Y1 (ko)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는 도어개폐신호송신모듈
KR200282671Y1 (ko) 자동차 도어 자동 개폐장치
EP1796273B1 (en) Antenna drive
JP4377039B2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KR200258125Y1 (ko)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용 배터리
KR200258126Y1 (ko) 자동차도어를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가구비된 이동단말기
JP3520786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JP3631969B2 (ja) 遠隔操作式エンジン始動装置
JP3812291B2 (ja) 移動体用機器遠隔制御装置及び移動体用携帯機
JP3159142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KR100436422B1 (ko) 차량 및 차고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및 방법
JP3133292U (ja) 無線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9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9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