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207Y1 - Hands-free device of room mirror type - Google Patents
Hands-free device of room mirror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7207Y1 KR200257207Y1 KR2020010026999U KR20010026999U KR200257207Y1 KR 200257207 Y1 KR200257207 Y1 KR 200257207Y1 KR 2020010026999 U KR2020010026999 U KR 2020010026999U KR 20010026999 U KR20010026999 U KR 20010026999U KR 200257207 Y1 KR200257207 Y1 KR 2002572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phone
- hands
- circuit unit
- free device
- mirr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08000029215 central polydactyly of finger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06 ci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4 troubleshoo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 내장되며, 파워 스위치와 다수개의 기능 선택 스위치 및 해당 기능 모드를 실행하는 핸즈프리 구동회로를 구비한 회로부와; 전원 공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회로부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핸드폰 연결코드와; 적용하고자 하는 핸드폰의 모델에 해당하는 스펙을 구비하여 상기 핸드폰 연결 코드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핸드폰의 입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멀티 잭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는 미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 적소에 설치되어 장애물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 센서와; 상기 미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근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과의 거리 및 방향을 출력하는 근접상태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main housing; A circuit unit embedded in the main housing, the circuit unit including a power switch, a plurality of function selection switches, and a hands-free driving circuit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mode; A battery unit which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circuit unit in response to a power supply signal; A mobile phone connection cord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A multi-jack having a specification corresponding to a model of a mobile phone to be applied, coupled to an end of the mobile phone connection cord, and connected to an input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A front cov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It provides a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rro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In addition, the room-mirror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hicle location and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rror further includes a proximity stat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Description
본 고안은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 fre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om mirror type hands free device.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각 국에서는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을 규제하기 위한 각종 법안을 제정하여 시행중에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자에게 범칙금과 벌점을 부여하는 등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As traffic accidents increase due to the use of mobile phones while driving, each country has enacted various laws to regulate the use of mobile phones while driving. Korea also provides penalties and penalties for mobile phone users while driving.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use of mobile phones.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에 따라 각 핸즈프리 업체들은 안정성과 실용성을 갖춘 새로운 형태의 핸즈프리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이다. 상기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운전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고, 대시보드 등에 별도로 새로운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자동차 룸미러에 내장하는 형태라는 점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핸즈프리 장치이다.As a result of this social trend, each hands-free company is developing a new type of hands-free product with stability and practicality. One of them is a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is a hands-fre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position closest to the driver and has many advantages in that it is incorporated in an existing car room mirror instead of installing a new device separately on a dashboard or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구동 전원을 차량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아야 하므로,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케이블선과 실내등 혹은 시거 잭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 과정이 요구되는 등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needs to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vehicle's power supply,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such as a separate installation process for connecting the cable line of the room mirror-type hands-free device to the indoor light or the cigar jack. There was a problem of damaging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또한, 종래의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제품 개발 당시 적용 가능한 휴대전화의 모델이 셋팅되므로, 새로 개발되는 휴대전화 모델 및 초기 개발시 누락된 휴대전화 모델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사용상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be used for a newly developed mobile phone model and a mobile phone model that is missing during initial development because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applicable at the time of product development is se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 충전 가능한 전원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과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설치시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m mirror-type hands-free device that has a power supply means that can be recharged itself, and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s simple and does not damage the vehicle during installation.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 개발사, 제품 모델에 구애됨이 없이 모든 휴대전화에 적용 가능한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phones regardless of the product developer, product model.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동작 여부 및 각 기능의 정상 작동 여부 등 사용 상태 테스트가 용이한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that is easy to test the use state, such as whether the operation and normal operation of each function.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후진시 장애물의 유무 및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stacles an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to inform the driver when revers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 내장되며, 파워 스위치와 다수개의 기능 선택 스위치 및 해당 기능 모드를 실행하는 핸즈프리 구동회로를 구비한 회로부와; 전원 공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회로부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핸드폰 연결코드와; 적용하고자 하는 핸드폰의 모델에 해당하는 스펙을 구비하여 상기 핸드폰 연결 코드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핸드폰의 입력 커넥터와 연결되는 멀티 잭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는 미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main housing; A circuit unit embedded in the main housing, the circuit unit including a power switch, a plurality of function selection switches, and a hands-free driving circuit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mode; A battery unit which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circuit unit in response to a power supply signal; A mobile phone connection cord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A multi-jack having a specification corresponding to a model of a mobile phone to be applied, coupled to an end of the mobile phone connection cord, and connected to an input connector of the mobile phone; A front cov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It provides a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rro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ont cover.
또한, 본 고안은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에 내장되며, 파워 스위치와 다수개의 기능 선택 스위치 및 해당 기능 모드를 실행하는 핸즈프리 구동회로를 구비한 회로부와; 상기 회로부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회로부에 입력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폰과; 휴대폰의 이어폰잭에 연결되는 휴대폰 연결잭,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전기 신호를 휴대폰 연결잭에 제공하는 마이크 회로, 상기 휴대폰 연결잭을 통해 입력된 상대방 음성 신호를 송신부로 제공하는 스피커 회로 및 입력된 상대방 음성 신호를 상기 회로부로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로 이루어진 마이크 유니트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 부착되는 미러와; 차량 적소에 설치되어 장애물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감지 센서와; 상기 미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근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과의 거리 및 방향을 출력하는 근접상태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main housing; A circuit unit embedded in the main housing, the circuit unit including a power switch, a plurality of function selection switches, and a hands-free driving circuit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mode;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ircuit unit; A speaker phon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input to the circuit unit; A mobile phone connection jack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of the mobile phone,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caller's voice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 signal, a microphone circuit for providing the electric signal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jack, and providing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obile phone connection jack to a transmitter A microphone unit comprising a speaker circuit and a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input counterpart voice signal to the circuit unit; A front cov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A mirro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A proximity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 vehicle location and detecting proximity of an obstacle;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rror provides a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comprising a proximity state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bstacle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om mirror typ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room mirror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프론트 커버와 미러의 결합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cover and the mirror of the room mirror type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멀티 잭을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ulti-jack of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멀티 잭을 나타낸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jack of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om mirror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마이크 유니트를 나타낸 구성도.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icrophone unit of a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메인 하우징 120 : 프론트 커버110: main housing 120: front cover
130 : 미러 140 : 회로부130: mirror 140: circuit portion
150 : 배터리부 160 : 핸드폰 연결코드150: battery unit 160: mobile phone connection cord
170 : 멀티 잭170: multi jack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프론트 커버와 미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멀티 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멀티 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om mirror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room mirror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jack of a room mirror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jack of the room mirror hands fre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jack of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100)는 크게 룸미러부인 메인 하우징(110), 프론트 커버(120) 및 미러(130)와, 핸즈프리부인 회로부(140) 및 배터리부(150), 접속부인 핸드폰 연결코드(160) 및 멀티 잭(170) 그리고 충돌 경고부인 근접상태 표시부(180)와 근접 감지 센서(190)로 구성된다.1 to 5,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housing 110, a front cover 120, a mirror 130, and hands-free, which are largely a room mirror part. The denial circuit unit 140 and the battery unit 150, the connection part mobile phone connection code 160 and the multi-jack 170, the proximity state display unit 180 and the collision warning unit and the proximity detection sensor 190.
1. 룸미러부1. Room mirror
상기 메인 하우징(110)은 내장된 회로부(140)를 보호하며, 차량의 룸미러에 장착되는 외부 덮개 부재이다. 상기 메인 하우징(110)은 배면 양쪽에 거치 수단(112)을 구비한다. 상기 거치 수단(112)은 기존의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룸미러를 장탈할 필요없이 본 고안의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거치 수단(112)은 상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차량의 룸미러 규격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다.The main housing 110 protects the built-in circuit unit 140 and is an outer cover member mounted to the room mirror of the vehicle. The main housing 110 has mounting means 112 o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The mounting means 112 allows the installation of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need to mount the room mirror installed in the existing vehicle. In addition, the mounting means 112 can be adjusted up and down intervals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room mirror size of the vehicle.
상기 프론트 커버(120)는 메인 하우징(11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 덮개 부재이다. 상기 프론트 커버(120)는 전면에 형성한 미러 부착홈(122)과, 상기 미러 부착홈(122)의 측단에 돌출 형성한 리브(124) 및 다수개의 버튼홀(BH)을 가진 조작 패널(126)을 구비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120)는 체결품을 이용한 체결 방식 혹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메인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상기 리브(124)는 미러 부착홈(122)에 미러(130)가 부착된 높이보다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미러(13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론트 커버(120)에 부착된 미러(130)의 날카로운 측단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The front cover 120 is a front cover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housing 110. The front cover 120 has an operation panel 126 having a mirror attachment groove 12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 rib 124 protruding from a side end of the mirror attachment groove 122, and a plurality of button holes BH. ). The front cover 120 is coupled to the main housing 110 in a fastening method or interference fit method using a fastener. The rib 12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eight of the mirror 130 is attached to the mirror attachment groove 122, not only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mirror 130 by the impact but also attached to the front cover 120 The sharp side end of the mirror 130 prevents the user's hand from being injured.
상기 미러(130)는 프론트 커버(120)의 전면에 부착되는 반사 부재이다. 상기 미러(130)는 실버 코팅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버 코팅처리는 차량 후방의 시야를 넓혀 주고, 야간 주행시 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로 인해 눈이 부시는 현상을 방지해 준다. 또한, 상기 미러(130)는 배면 전체에 스티커(132)를 부착한다. 상기 스티커(132)는 차량 사고나 충격에 의해 미러가 파손되더라도 미러의파편들이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막아, 미러 파편에 의해 운전자나 탑승객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The mirror 130 is a reflective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over 120. The mirror 130 is preferably silver coated. The silver coating treatment widens the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and prevents the eyes from being blinded by the headlights of the rear vehicle at night. In addition, the mirror 130 attaches a sticker 132 on the entire back surface. The sticker 132 prevents the mirror fragments from popping out even if the mirror is broken by a vehicle accident or an impact,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 or passengers from being injured by the mirror fragments.
2. 핸즈프리부2. Hands free
상기 회로부(140)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다수개의 구동 소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하우징(110)에 내장된다. 상기 회로부(140)는 파워 스위치(142)와 다수개의 기능 선택 스위치(144) 및 모드 실행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모드를 실행하는 핸즈프리 구동회로(146)를 구비한다.The circuit unit 14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driving element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mbedded in the main housing 110. The circuit unit 140 includes a power switch 142, a plurality of function selection switches 144, and a hands-free driving circuit 146 that executes a corresponding mode in response to input of a mode execution signal.
상기 파워 스위치(14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 온/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기능 선택 스위치(14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선택 신호를 출력하며, 핸즈프리/이어폰 모드 선택 스위치, 녹음 모드 스위치, 중지 스위치, 재생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핸즈프리 구동회로(146)는 오디오 필터, 에코 필터 및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power switch 142 outputs a power on / off signal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e function selection switch 144 outputs a preset mode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includes a hands-free / earphone mode selection switch, a recording mode switch, a stop switch, and a playback switch. The hands-free driving circuit 146 includes an audio filter, an echo filter, and a controller.
또한, 상기 회로부(140)는 배터리의 잔량 상태를 출력하는 표시 수단, 표시 수단 구동 회로 및 마이크로 폰(148)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표시 수단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149) 혹은 액정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 수단을 통해 배터리의 충전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폰(148)은 운전자가 주행시에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고 음성 입력을 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In addition, the circuit unit 140 further includes a display means, a display means driving circuit, and a microphone 148 for outputting a remaining state of the battery. As the display mean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149 or a liquid crystal display as shown may be used. The user may determine the charging time of the battery through the display means. The microphone 148 is a means for allowing a driver to input voice without using a mobile phone while driving.
상기 배터리부(150)는 상기 회로부(140)에 필요한 구동 전원(DC)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부(150)는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 예를 들면 차량 시거잭으로부터의 직류 전원 공급없이 룸미러 핸즈프리 장치 내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별도의 연결 작업이 필요없어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전 자체 전원만으로 테스트가 가능하다. 상기 배터리부(150)는 메인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설치되어 회로부(140)와 연결된 접속 단자 및 상기 접속 단자에 양단이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전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전지의 실시예로 7.2V 600mA의 정격 전압 및 전류의 축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battery unit 150 supplies the driving power DC required for the circuit unit 140. The battery unit 150 is a means for supplying a driving voltage into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without supplying power from a vehicle, for example, supplying DC power from a vehicle cigar jack. Therefore,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a separate connection work for receiving power supply from the vehicle, and is easy to install, and can be tested using only its own power supply before installation. The battery unit 150 includes a battery case installed in the main housing 110, a connection terminal installed in the battery case and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140, and at least one storage battery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connection terminal. As an example of the battery, a battery having a rated voltage and current of 7.2 V 600 mA may be used.
상기 핸즈프리부는 스피커 폰(180)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스피커 폰(180)은 핸드폰으로부터 회로부(140)에 입력된 음성을 재생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시에도 상대방의 음성을 들으면서 통화하게 한다. 상기 스피커 폰(180)은 별도의 볼륨 조절 노브(147)에 의해 출력이 조절된다.The hands free unit further includes a speaker phone 180. The speaker phone 180 reproduces and outputs the voice input to the circuit unit 140 from the mobile phone, thereby allowing the driver to talk while listening to the other party's voice even while driving. The speaker phone 180 has an output controlled by a separate volume control knob 147.
또한, 상기 핸즈프리부는 보이스 레코더를 구비한다. 상기 보이스 레코더는 음성 녹음 수단으로서, 운전중 필요한 사항에 대한 녹음이 가능하다.The hands free unit also includes a voice recorder. The voice recorder is a voice recording means, and it is possible to record necessary matters during operation.
3. 접속부3. Connection
상기 핸드폰 연결코드(160)는 회로부(140)와 멀티 잭(170) 사이를 연결하는 도선이다. 상기 핸드폰 연결코드(160)의 단부에는 멀티 잭(170)과의 접속을 위해 별도의 커넥터(162)를 연결한다.The mobile phone connection cord 160 is a conductive wire connecting between the circuit unit 140 and the multi jack 170. An end of the mobile phone connection cord 160 connects a separate connector 162 for connection with the multi-jack 170.
상기 멀티 잭(170)은 적용하고자 하는 핸드폰의 모델에 해당하는 스펙을 구비하여 상기 핸드폰 연결코드(160)의 단부에 결합되며, 핸드폰에 형성한 입력 커넥터에 연결된다. 상기 멀티 잭(170)은 핸드폰의 입력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핀(172), 입력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회로부(140)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폰(174) 및 증폭 회로(175)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핀(172)은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와 핸드폰간의 전원 이동을 위한 전원 커넥터핀(172a)와,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와 핸드폰간의 데이터 신호 이동을 위한 데이터 커넥터핀(172b)으로 이루어진다.The multi jack 170 is provided with a spec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to be applie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mobile phone connection cord 160, it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formed on the mobile phone. The multi jack 170 includes a connector pin 172 connected to an input connector of a mobile phone, a microphone 174 and an amplifying circuit 175 for converting an input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it to the circuit unit 140. . The connector pin 172 includes a power connector pin 172a for moving power between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and a mobile phone, and a data connector pin 172b for moving data signals between the room mirror type hands free device and the mobile phone.
상기 멀티 잭(170)은 적용하고자 하는 핸드폰의 모델에 맞게 커넥터 핀(172)의 구조를 변경하고, 정격 충전 전압을 셋팅함으로써, 본 고안의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가 핸드폰의 제품 개발사 및 제품 모델에 관계없이 멀티 잭(170)의 교체만으로 모든 핸드폰에 적용 가능하도록 한다.The multi-jack 170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pin 172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to be applied, and by setting the rated charging voltage,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roduct developer and product model of the mobile phone Irrespective of the replacement of the multi jack 170, it is applicable to all mobile phones.
상기 멀티 잭(170)은 충전 선택 스위치(176) 및 출력 조절 회로(178)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 선택 스위치(17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핸드폰 충전 모드 혹은 핸드폰 비충전 모드로 전환시킨다. 즉, 상기 멀티 잭(170)을 핸드폰에 접속한 상태에서 충전 선택 스위치(176)를 핸드폰 충전 모드로 전환시키면, 룸미러형 핸즈프리로부터 핸드폰으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핸드폰의 배터리 충전이 진행된다. 상기 출력 조절 회로(178)는 핸드폰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의 출력을 미리 설정된 레벨로 조절하여 상기 회로부(140)로 출력하는 회로로서, 핸드폰 제조 회사 및 모델별로 상이한 마이크 출력을 일정한 레벨로 조절하여 출력한다.The multijack 170 includes a charge select switch 176 and an output control circuit 178. The charging selection switch 176 switches to the cellular phone charging mode or the cellular phone non-charging mod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at is, when the charge selection switch 176 is switched to the mobile phone charging mode while the multi-jack 170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the battery of the mobile phone is charged while power is supplied from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to the mobile phone. The output control circuit 178 is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phone to a predetermined level to output to the circuit unit 140, the output by adjusting the microphone output different by the cell phone manufacturer and model to a constant level do.
4. 충돌 경고부4. Collision Warning
상기 근접 감지 센서(180)는 차량 적소에 설치되어 장애물의 근접을 감지한다. 상기 근접 감지 센서(180)는 차량의 전후 범퍼 양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ximity sensor 18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location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obstacle. The proximity sensor 180 may be installed at both front and rear bumpers of the vehicle.
상기 근접상태 표시부(190)는 미러 일측, 바람직하게는 미러 중앙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근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과의 거리 및 방향을 출력한다. 상기 근접상태 표시부(190)는 근접거리 표시창(192)과 좌우방향 표시등(194)으로 구성된다. 상기 근접거리 표시창(192)은 장애물과의 거리를 0.1미터 단위의 숫자로 표시한다. 상기 좌우방향 표시등(194)은 차량의 좌, 우측 장애물의 위치를 표시한다.The proximity state display unit 19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irror, preferably on the upper side of the mirror, and outputs a distance and a direction of an obstacle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display 190 includes a proximity display 192 and a left and right indicator light 194. The proximity display window 192 displays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in the number of 0.1 meter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dicators 194 indicate positions of left and right obstacles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충돌 경고부는 장애물과의 거리에 비례하는 단계별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 출력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보음 출력부는 장애물과의 근접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높고 빠른 경보음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llision war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tep-by-step alarm soun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The alarm sound output unit outputs a higher and faster alarm sound as the proximity distance to the obstacle becomes closer.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의 마이크 유니트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icrophone unit of a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룸미러형 핸즈프리 본체(200), 마이크 유니트(300) 및 근접 감지 센서(4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om mirror type hands-free main body 200, a microphone unit 300, and a proximity detection sensor 400.
상기 룸미러형 핸즈프리 본체(200)와 근접 감지 센서(400)의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바 있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main body 200 and the proximity sensor 4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마이크 유니트(300)는 핸드폰과 유선으로 연결된 음성 입력 수단이자 룸미러형 핸즈프리 본체(200)와는 무선으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음성 전달 수단이다. 상기 마이크 유니트(300)는 휴대폰의 이어폰잭에 연결되는 휴대폰 연결잭(310), 통화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320), 상기 전기 신호를 휴대폰 연결잭(310)에 제공하는 마이크 회로(330), 상기 휴대폰 연결잭(310)을 통해 입력된 상대방 음성 신호를 송신부(350)로 제공하는 스피커 회로(340) 및 입력된 상대방 음성 신호를 룸미러형 핸즈프리 본체(200)에 내장된 회로부로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폰 연결잭(310)에는 GSM용 보조잭(312)을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The microphone unit 300 is a voice input means connected to a mobile phone by wire and a voice transmission means wirelessly transmitting a voice signal with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main body 200. The microphone unit 300 includes a mobile phone connection jack 310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of a mobile phone, a microphone 320 for receiving a caller's voice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 signal, and a microphone circuit for providing the electric signal to the mobile phone connection jack 310. 330, a speaker circuit 340 providing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obile phone connection jack 310 to the transmitter 350, and a circuit unit embedded in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main body 200. It consists of a transmitter 350 for wireless transmission. The mobile phone connection jack 31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auxiliary jack 312 for GS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자체에 구동 전원 제공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차체 전원 등 외부 전원과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 과정이 간단하고, 장치 설치시 차량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iving power supply means on its ow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onnect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such as a vehicle body power supply, so the installation process is simple and does not damage the vehicle when installing the device. It does not work.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핸드폰의 제품 개발사 및 제품 모델에 관계없이 멀티 잭 혹은 마이크 잭만으로 모든 핸드폰에 적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phones using only a multi jack or a microphone jack, regardless of the product developer and the product model of the mobile phone, there is an excellent compatibility effect.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없이 내부 전원에 의해 동작 여부 및 각 기능의 정상 작동 여부 등 사용 상태 테스트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선택시 정상 유무를 판별하기에 간편하고, 고장 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oom mirror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test the operation status and the normal operation of each function by the internal power supply without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normal. It is easy to perform, and there is an effect of easy troubleshooting.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룸미러형 핸즈프리 장치는 후진시 장애물의 유무 및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주정차시 발생할 수 있는 접촉 혹은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oom mirror type hands-fre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resence of obstacles and the distance to the vehicle when reversing, and informs the driver, thereby preventing contact or collision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parking. It works.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6999U KR200257207Y1 (en) | 2001-09-04 | 2001-09-04 | Hands-free device of room mirror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6999U KR200257207Y1 (en) | 2001-09-04 | 2001-09-04 | Hands-free device of room mirror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7207Y1 true KR200257207Y1 (en) | 2001-12-24 |
Family
ID=7306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699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7207Y1 (en) | 2001-09-04 | 2001-09-04 | Hands-free device of room mirror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720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702B1 (en) * | 2007-10-16 | 2008-1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handsfree device |
-
2001
- 2001-09-04 KR KR2020010026999U patent/KR200257207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702B1 (en) * | 2007-10-16 | 2008-1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r handsfre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00752A1 (en) | Vehicle rearview mirror assembly incorporating a communication system | |
CN101390372A (en) | User interface unit for a telephone | |
EP0343571B1 (en) | Mobile station for an automobile telephone system | |
KR20060123722A (en) | Handsfree Kit for Cell Phones | |
JPH08256098A (en) | Multifunctional hand-free mobile phone adapter | |
US921937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 |
KR200257207Y1 (en) | Hands-free device of room mirror type | |
CN214396603U (en) | Central control navigator and automobile | |
US7657280B2 (en) | Wireless signal receiving apparatus with clamping device and speaker device | |
CN1260915A (en) | Car radio with dismountable operating and telephone unit | |
WO1998017503A1 (en) | Mobile telephone | |
KR200249979Y1 (en) | Cellular Phone Alarm Appratus of Hands-free for Vehicles | |
JPH1159283A (en) | Car mounted hand-free device | |
KR200176394Y1 (en) | Built-in wireless handfree kit for a vehicle | |
KR100465517B1 (en) | a handsfree instal center-panel of car | |
KR200184588Y1 (en) | Voice recordable hands free apparatus for vehicle | |
KR20000018088U (en) | Apparatus for handsfree communication using infrared device | |
KR200236265Y1 (en) | Hands free apparatus set up within a room mirror | |
KR200214828Y1 (en) | Hands-free with a keypad | |
GB2423213A (en) |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telephone | |
KR200252211Y1 (en) | hands-free unit for trunked radio system phone | |
WO2002012024A1 (en) | Hand free apparatus having built-in a room mirror | |
JPH0221759A (en) | Automobile telephone system | |
KR200254506Y1 (en) | Hands-free apparatus using full-duplex | |
KR100432916B1 (en) | Hands fre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90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111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9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