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6940Y1 - 전선보호관 체결구 - Google Patents

전선보호관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940Y1
KR200256940Y1 KR2020010024302U KR20010024302U KR200256940Y1 KR 200256940 Y1 KR200256940 Y1 KR 200256940Y1 KR 2020010024302 U KR2020010024302 U KR 2020010024302U KR 20010024302 U KR20010024302 U KR 20010024302U KR 200256940 Y1 KR200256940 Y1 KR 200256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ipe
wire
fastening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의식
Original Assignee
허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의식 filed Critical 허의식
Priority to KR2020010024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94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호관을 통해 연결되는 전선과 체결구 사이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편으로는 전선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호관에 긴밀하게 고정되는 전선보호관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2)이 삽입되는 보호관(1)을 고정벽체(71)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관고정구(21)의 일측에 전선체결구(11)를 서로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체결구(11) 내의 고무패킹(41)이 패킹지지구(31)와 함께 상기 관고정구(21)에 형성된 경사부(23)에 의해 전선(2)의 표면쪽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전선(2)과 체결구 사이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습기나 먼지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관고정구(21)의 타측에 보호관(1)을 연결하는 관연결체(62)가 취부되는 관체결캡(61)을 서로 체결시켜 전선(2)을 보호하는 보호관(1)이 상기 관고정구(2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완결시, 전체가 고정벽체(71)에 고정되며, 고정벽체(71) 내부에로 습기나 먼지 등이 침투할 가능성을 원인적으로 제거토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선보호관 체결구 {Electric wire protecting tube connector}
본 고안은 전선을 보호하는 보호관을 전장품 등의 하우징이나 기타 벽체에 고정시키는 전선보호관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보호관을 통해 유입되는 전선과 체결구 사이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전선과 보호관에 긴밀하게 고정되는 전선보호관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 및 자동화시스템의 발달로 인해 자동화, 원격운전 및 무인화 등에 사용되는 각종 전기, 전자기기 및 기계부품에는 반드시 전선이 연결되고, 사용자가 필요한 제어시스템을 구성, 사용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되는 기기 및 부품은 자체의 성능 뿐 아니라 기기의 외함 관련 방수, 방진 등급에 대해서도 충분히 검토 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 유지가 기기자체의 성능 외에 기기를 구성하는 외함, 즉 방수, 방진의 구조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성이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선연결방법은 케이블 그랜드(cable grand) 방법 및 플렉서블 커넥터(flexible connector)들이 있으나, 각각 단점이 있다.
케이블 그랜드방법의 경우, 케이블 그랜드와 전선 사이의 공간으로 수분 및 먼지 등이 유입될 가능성은 적으나, 전선의 피복이 기기의 외부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어 장시간 사용할 때 전선의 절단, 절손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고가의 특수 보호 피복 처리된 전선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커넥터의 경우, 플렉서블 튜브에 의해 전선의 외피를 보호할 수는 있으나 전선의 외피와 플렉서블 튜브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수분 및 먼지로부터기기를 전혀 보호하지 못하는 단점(튜브 내로 수분 침투 시 기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됨)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전선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전선이 고정되는 위치에서 전선을 따라 기기 내로 수분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방진, 방폭의 기능을 갖는 전선보호관 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관 체결구가 보호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관 체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호관 2 : 전선
11 : 전선체결구 12 : 제1체결나사
13 : 제2체결나사 14 : 제1체결돌기
21 : 관고정구 22 : 제3체결나사
23 : 경사부 24 : 제2체결돌기
25 : 제4체결나사 31 : 패킹지지구
32 : 가변날개 41 : 고무패킹
51 : 벽체고정너트 61 : 관체결캡
62 : 관연결체 71 : 고정벽체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관 체결구는, 보호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관고정구와, 상기 관고정구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보호관 속을 통과하는 전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전선체결구와, 상기 전선체결구 내에 취부되어 상기 관고정구와 전선체결구의 체결시 전선의 표면에 밀착되는 고무패킹과, 상기 고무패킹을 지지하며, 고무패킹의 전선 표면에의 밀착을 강화시키는 가변날개를 갖는 패킹지지구와, 일측에 상기 전선체결구가 체결된 상기 관고정구의 타측에 체결되어 보호관을 고정시키는 관체결캡과, 상기 관체결캡 내에 취부되어 상기 보호관을 상기 관고정구에 고정시키는 관연결체 및 상기 관고정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체결되는 전선체결구와 관체결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구 전체를 고정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전선체결구는 상기 고정벽체에의 고정을 위한 벽체고정너트와 나합되는 제1체결나사와, 후술되는 관고정구의 제3체결나사와 나합되는 제2체결나사와, 상기 관체결구 전체를 체결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하는 제1체결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고정구는 상기 관체결구의 제2체결나사와 나합되는 제3체결나사와, 관고정구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에 상기 고무패킹을 밀착시키기 위한 상기 패킹지지구의 가변날개를 내측으로 밀어넣기 위한 경사부와 상기 관고정구 전체를 체결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하는 제2체결돌기 및 상기 관체결캡과 나합되는 제4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관 체결구는, 전선(2)이 삽입되는 보호관(1)을 고정벽체(71)에 고정시킴에 있어서 관고정구(21)의 일측에 전선체결구(11)를 서로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전선체결구(11) 내의 고무패킹(41)이 패킹지지구(31)와 함께 상기 관고정구(21)에 형성된 경사부(23)에 의해 전선(2)의 표면쪽으로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전선(2)과 체결구 사이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습기나 먼지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관고정구(21)의 타측에 보호관(1)을 연결하는 관연결체(62)가 취부되는 관체결캡(61)을 서로 체결시켜 전선(2)을 보호하는 보호관(1)이 상기 관고정구(2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조립 완결시, 전체가 고정벽체(71)에 고정되며, 고정벽체(71) 내부에로 습기나 먼지 등이 침투할 가능성을 원인적으로 제거토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2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보호관 체결구는 보호관(1)을 고정시키기 위한 관고정구(21)와, 상기 관고정구(21)와 서로 체결되어상기 보호관(1) 속을 통과하는 전선(2)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전선체결구(11)와, 일측에 상기 전선체결구(11)가 체결된 상기 관고정구(21)의 타측에 체결되어 보호관(1)을 고정시키는 관체결캡(61)과, 상기 관체결캡(61) 내에 취부되어 상기 보호관(1)을 상기 관고정구(21)에 고정시키는 관연결체(6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체결구(11)는 고정벽체(71)에의 고정을 위한 벽체고정너트(51)와 나합되는 제1체결나사(12)와, 후술되는 관고정구(21)의 제3체결나사(22)와 나합되는 제2체결나사(13)와, 상기 전선체결구(11) 전체를 체결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하는 제1체결돌기(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선체결구(11)의 제1체결나사(12)는 전자기기 등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고정벽체(71) 상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전선(2)을 통과시키되, 전선(2) 이외의 다른 것들은 통과시키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전선(2)이 확실히 고정되도록 하여야 함에 있어, 전선(2)을 보호하는 보호관(1) 자체를 고정벽체(71)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전선체결구(11)와 관고정구(21) 간 및 상기 관고정구(21)와 관체결캡(61) 간의 나합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체결구로 고정되었을 때, 보호관(1)과 체결구 전체를 고정벽체(71)에 고정시킬 때 이 제1체결나사(12)를 고정벽체(71)의 홈에 삽입하고, 고정벽체(71)의 반대편에서 상기 고정벽체(71)를 통해 돌출한 상기 제1체결나사(12)에 벽체고정너트(51)를 나합시켜 상기 제1체결나사(12)와 일체로 형성된 전선체결구(11) 및 이 전선체결구(11)에 일체로 결합된 관고정구(21), 그리고 이들 전선체결구(11)와 관고정구(21) 간의 결합에 의한 체결구 전체가 상기 고정벽체(71)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전선체결구(11)에는 상기 제1체결나사(12)와는 반대 방향으로 제2체결나사(13)가 형성되며, 이 제2체결나사(13)는 상기 관고정구(21)의 제3체결나사(22)와 나합되어 상기 전선체결구(11)와 상기 관고정구(21)가 하나의 체결구로 완전히 합체되도록 하며, 이때, 이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체결구가 그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2)을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전선체결구(11)에 형성된 제1체결돌기(14)는 4각형상, 6각형상 또는 8각형상 등 통상의 펜치, 플라이어, 스패너 등으로 파지하고, 용이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관고정구(21)는 상기 전선체결구(11)의 제2체결나사(13)와 나합되는 제3체결나사(22)와, 관고정구(21)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2)에 상기 고무패킹(41)을 밀착시키기 위한 상기 패킹지지구(31)의 가변날개(32)를 내측으로 밀어넣기 위한 경사부(23)와 상기 관고정구(21) 전체를 체결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하는 제2체결돌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체결나사(22)는 상기 전선체결구(11)의 제2체결나사(13)와 나합되어 이들 전선체결구(11)와 관고정구(21)를 서로에 대해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관고정구(21)에도 4각형상, 6각형상 또는 8각형상 등 통상의 펜치, 플라이어, 스패너 등으로 파지하고, 용이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제2체결돌기(24)가 형성된다. 상기 관고정구(21) 내에는 패킹지지구(31)와 고무패킹(41)이 수용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패킹지지구(31)의 가변날개(32) 내에 고무패킹(41)이 위치하도록 하여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선체결구(11)와 관고정구(21)를 상기 제2체결나사(13) 및 제3체결나사(22)를 사용하여 서로에 대해 나합시키면, 나사의 작용으로 전선체결구(11)가 관고정구(21) 쪽으로 전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전선체결구(11)에 의해 패킹지지구(31)가 관고정구(21) 내측으로 더욱 밀리게 된다. 상기 패킹지지구(31)가 점차 관고정구(21) 내측으로 밀려감에 따라 상기 패킹지지구(31)의 가변날개(32)는 상기 관고정구(21)의 경사부(23)와 접촉하여 점점 중심쪽으로 밀려지게 되고, 상기 가변날개(32) 내에 수용된 고무패킹(41) 역시 상기 패킹지지구(31)의 가변날개(32)에 밀려 점점 중심쪽으로 밀리게 된다. 중심부에는 전선(2)이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상기 고무패킹(41)은 상기 전선(2)의 외면에 매우 긴밀하게 밀착되게 되며, 그에 따라 전선(2)의 외면을 따라 수분이나 먼지 등이 전자기기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은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선(2)이 긴밀하게 고정벽체(71)에 고정되고, 고정벽체(71)와 전선(2) 사이에는 외부에서 수분이나 먼지가 유입될 틈이 없게 되며, 전선(2)은 안전하게 보호관(1) 내부를 통하여 외부에서 전자기기의 내부로 전기에너지를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전자기기의 외부에서 전선(2)을 보호하는 상기 보호관(1)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체결캡(61)과 그 내부에 취부되는 관연결체(62)가 사용된다. 상기 관체결캡(61)은 일측에 상기 전선체결구(11)가 체결된 상기 관고정구(21)의 타측에 형성된 제4체결나사(25)에 나합된다. 또한, 상기 관체결캡(61)의 내부에는 보호관(1)을 고정시키기 위한 관연결체(62)가 취부되며, 이 관연결체(62)는 그 일측단부가 주로 보호관(1)의 단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삽입되어 보호관(1)과 결합되고, 그 타측단부는 둥글게 가공되어 상기 관고정구(21)의 제4체결나사(25)의 내면으로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연결체(62)를 보호관(1)에 결합시키고, 보호관(1)이 결합된 상기 관연결체(62)를 상기 관고정구(21)의 제4체결나사(25) 내면에 압입한 후, 상기 관체결캡(61)을 상기 관고정구(21)의 제4체결나사(25)에 나합시키는 것에 의해 보호관(1)을 상기 관고정구(21)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벽체(71)를 통한 전선(2)의 유입시 고정벽체(71)와 전선(2) 사이를 따라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먼지 등이 전자기기 등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며, 특히 전선(2)을 고정시킴에 있어, 관고정구(21)의 일측에 체결되는 전선(2)고정구에 의해 전선(2)을 긴밀하게 고정시키고, 전선(2)이 통과하는 보호관(1)을 상기 관고정구(21)의 타측에 체결되는 관체결캡(61)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전선체결구(11)의 제1체결나사(12)를 벽체고정너트(51)와의 나합에 의해 고정벽체(71)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보호관(1)을 고정벽체(71)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보호관(1)의 내부의 전선(2)을 상기 전선체결구(11)와 관고정구(21)의 결합에 의해 고무패킹(41)이 전선(2)의 표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전선(2)과 체결구 사이를 고무패킹(41)으로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수분이나 먼지가 기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선보호관 체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

  1. 보호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관고정구와, 상기 관고정구와 서로 체결되어 상기 보호관 속을 통과하는 전선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전선체결구와, 상기 전선체결구 내에 취부되어 상기 관고정구와 전선체결구의 체결시 전선의 표면에 밀착되는 고무패킹과, 상기 고무패킹을 지지하며, 고무패킹의 전선 표면에의 밀착을 강화시키는 가변날개를 갖는 패킹지지구와, 일측에 상기 전선체결구가 체결된 상기 관고정구의 타측에 체결되어 보호관을 고정시키는 관체결캡과, 상기 관체결캡 내에 취부되어 상기 보호관을 상기 관고정구에 고정시키는 관연결체 및 상기 관고정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체결되는 전선체결구와 관체결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구 전체를 고정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체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전선체결구는 상기 고정벽체에의 고정을 위한 벽체고정너트와 나합되는 제1체결나사와, 후술되는 관고정구의 제3체결나사와 나합되는 제2체결나사와, 상기 관체결구 전체를 체결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하는 제1체결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고정구는 상기 관체결구의 제2체결나사와 나합되는 제3체결나사와, 관고정구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에 상기 고무패킹을 밀착시키기 위한 상기 패킹지지구의 가변날개를 내측으로 밀어넣기 위한 경사부와 상기 관고정구 전체를 체결을 위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파지하는 제2체결돌기 및 상기 관체결캡과 나합되는 제4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관 체결구.
KR2020010024302U 2001-08-10 2001-08-10 전선보호관 체결구 Expired - Lifetime KR200256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302U KR200256940Y1 (ko) 2001-08-10 2001-08-10 전선보호관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302U KR200256940Y1 (ko) 2001-08-10 2001-08-10 전선보호관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940Y1 true KR200256940Y1 (ko) 2001-12-24

Family

ID=7310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302U Expired - Lifetime KR200256940Y1 (ko) 2001-08-10 2001-08-10 전선보호관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94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43B1 (ko) 2007-01-31 2008-05-22 에이앤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침수방지 전선 클램프
KR100884331B1 (ko) 2008-07-21 2009-02-20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101062400B1 (ko) 2011-05-20 2011-09-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접속부 누수방지 장치
KR101080373B1 (ko) 2009-09-14 2011-11-07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의 광케이블 인입구 씰링구조
KR102104387B1 (ko) * 2019-01-23 2020-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이탈 방지장치, 분전반용 안전시스템, 분전반 및 분전반 전원 연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343B1 (ko) 2007-01-31 2008-05-22 에이앤피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침수방지 전선 클램프
KR100884331B1 (ko) 2008-07-21 2009-02-20 일강알앤비(주) 공동주택용 전선 보호관 연결구조
KR101080373B1 (ko) 2009-09-14 2011-11-07 선일텔레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의 광케이블 인입구 씰링구조
KR101062400B1 (ko) 2011-05-20 2011-09-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접속부 누수방지 장치
KR102104387B1 (ko) * 2019-01-23 2020-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이탈 방지장치, 분전반용 안전시스템, 분전반 및 분전반 전원 연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5352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US4822293A (en) Bell housing sealing assembly for mounted connector
US20110147081A1 (en) Cable Gland
CN103119797B (zh) 电力线缆连接器
JPH077837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JP7378579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
KR200256940Y1 (ko) 전선보호관 체결구
KR100937192B1 (ko) 케이블 그랜드
KR100829712B1 (ko) 방수광커넥터 모듈
JPS62500349A (ja) ケ−ブル用の密封および緊張軽減ねじ取付け部品
JPH11336961A (ja) シールコネクタ
KR200273900Y1 (ko) 플렉서블 관에 체결 가능한 화재 감지기 베이스
KR101217847B1 (ko) 지중 송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0937194B1 (ko) 케이블 그랜드
JP4222532B2 (ja) 筐体解体用金具および筐体解体方法
CN221175045U (zh) 一种公母光纤快速转接系统
US10676285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motorized rollers
JP2004063872A (ja) ボックス
KR200175393Y1 (ko) 전선관 커넥터
US11909191B1 (en) Electrical junction apparatus with sliding sleeve containment
JP3239071U (ja) 多重の気密性、防水性及び耐引張性を有するケーブル及び波形管の固定ヘッド
JP2001021066A (ja) 防水型ケーブルクランプ構造
US121428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waterproof member thereof
KR200179917Y1 (ko) 나선관 밀폐구
JPH03400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8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1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30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