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5079Y1 -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079Y1
KR200255079Y1 KR2019990008645U KR19990008645U KR200255079Y1 KR 200255079 Y1 KR200255079 Y1 KR 200255079Y1 KR 2019990008645 U KR2019990008645 U KR 2019990008645U KR 19990008645 U KR19990008645 U KR 19990008645U KR 200255079 Y1 KR200255079 Y1 KR 200255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carriage
carriage
guide
slide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081U (ko
Inventor
곽동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8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079Y1/ko
Publication of KR20000021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0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079Y1/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고, 스캐닝 캐리지의 원활한 이송을 장시간 동안 보장할 수 있도록 한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학 요소가 탑재되는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화상 독취 기기의 본체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상의 가이드 샤프트와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상의 가이드 레일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스캐닝 캐리지가 상기 가이드 수단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상기 스캐닝 캐리지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드 부시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면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하는 상부 및 하부 부시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시의 슬라이드 접촉면간의 간격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두께에 비해 설정치만큼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부시와 가이드 샤프트의 접촉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캐리지의 이송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고, 스캐닝 캐리지의 원활한 이송을 장시간 동안 보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APPARATUS FOR SENDING SCANNING CARRIAGE OF SCANNER}
본 고안은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캐닝 캐리지의 일측은 유동이 없는 폐쇄형으로 설치하고, 타측은유동이 가능한 개방형으로 설치하므로써,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고, 스캐닝 캐리지의 원활한 이송을 장시간 동안 보장할 수 있도록 한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광 거울, 노광 램프 등을 탑재한 화상 독취 기기(복사기, 스캐너 등)의 스캐닝 캐리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원고 대상물에 놓여진 원고의 상(像)을 감광 드럼에 노광한다.
이러한 스캐닝 캐리지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복사 배율로 모터의 구동 속도가 변화되어 그 이동 속도가 결정되는데, 보통 복사 배율이 클수록 스캐너 캐리지의 이동 속도는 느려지게 된다.
또한, 스캐닝 캐리지는 출력되는 기록지상의 화질을 개선하고 복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원고의 화상 독취 영역 밖에서는 가속됨으로써 빠른 속도로 이송되며, 화상 독취 영역 내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어 정상 상태에서 원고의 상을 독취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감광 드럼(미도시)에 원고의 상을 노광시키는 노광 램프(미도시)와, 노광 램프로 광원(미도시)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미러(미도시)가 탑재되는 스캐닝 캐리지(110)는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가이드 샤프트(120,1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샤프트(120,120')의 일측에는 타이밍 벨트(131)를 권회하기 위한 아이들 풀리(1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아이들 풀리(132)의 반대방향에는 타이밍 풀리(133)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이밍 풀리(133)는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기어에 치합되어 있고, 타이밍 벨트(131)의 일부분은 스캐닝 캐리지(110)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는 스캐닝 캐리지(110)가 가이드 샤프트(120,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캐닝 캐리지(110)의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된 안내공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샤프트(120,120') 상에서의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드 부시(1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에 의하면, 캐리지의 반복적인 이송에 의해 슬라이드 부시가 마모되고, 슬라이드 부시의 마모에 의해 슬라이드 부시와 가이드 샤프트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며, 이 틈새는 슬라이드 부시 및 가이드 샤프트의 표면 가공 상태에 따라 좌우 틈새가 서로 다르게 발생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스캐닝 캐리지의 양측이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유동이 없는 폐쇄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캐닝 캐리지의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 동작시에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고, 독취되는 화질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캐닝 캐리지의 일측은 유동이 없는 폐쇄형으로 설치하고, 타측은 유동이 가능한 개방형으로 설치하므로써,스캐닝 캐리지의 이송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고, 스캐닝 캐리지의 원활한 이송을 장시간 동안 보장할 수 있도록 한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캐닝 캐리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캐닝 캐리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캐닝 캐리지 20 : 가이드 샤프트
20' : 가이드 레일 40 : 슬라이드 부시
40' : 슬라이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는, 스캐닝 캐리지를 설치함에 있어서 캐리지의 일측은 유동이 없는 폐쇄형으로 설치하고, 타측은 유동이 가능한 개방형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광학 요소가 탑재되는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화상 독취 기기의 본체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상의 가이드 샤프트와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상의 가이드 레일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스캐닝 캐리지가 상기 가이드 수단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상기 스캐닝 캐리지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드 부시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면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하는 상부 및 하부 부시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시의 슬라이드 접촉면간의 간격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두께에 비해 설정치만큼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슬라이더는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벽면을 구비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하부면이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홈이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더의 설치 구조를 단순화 하기 위해, 슬라이더에는 마주보는 한쌍의 탄성 걸림편이 구비되고, 캐리지에는 탄성 걸림편이 삽입되는 걸림턱이 구비된다.
그리고, 캐리지의 이송시에 마찰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부시는 원호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시와 가이드 샤프트의 접촉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캐리지의 이송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고, 스캐닝 캐리지의 원활한 이송을 장시간 동안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캐닝 캐리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화상 독취 기기의 본체(미도시) 일측에는 스캐닝 캐리지(10)의 일측을 폐쇄형으로 설치하기 위한 소정 직경의 가이드 샤프트(20)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샤프트(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본체에는 캐리지(10)의 타측을 개방형으로 설치하기 위한 소정 두께(t)의 가이드 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20)와 가이드 레일(20')은 노광 램프(미도시)와 반사 미러(미도시)가 탑재되는 스캐닝 캐리지(10)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스캐닝 캐리지(10)는 일측은 슬라이드 부시(40)를 개재하여 가이드 샤프트(20)에 설치되고, 타측은 슬라이더(40')에 의해 가이드 레일(20')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40'a)과 하부면(40'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면(40'c)을 구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40'a,40'b)에는 캐리지의 이송시에 마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원호형의 단면을 갖는 상부 및 하부 부시(41'a.41'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40'b)은 탄성홈(42')을 구비하도록 소정치만큼 절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부면(40'b)은 슬라이더(40')의 길이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시(41'a,41'b)의 슬라이드 접촉면간의 거리(l)는 가이드 레일(20')의 두께(t)에 비해 소정치만큼 작게 설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0')의 상부면에는 마주보는 한쌍의 탄성 걸림편(43')이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고, 캐리지(10)의 하부면에는 탄성 걸림편(43')이 삽입되는 걸림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도 1과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캐닝 캐리지(10)의 양측을 가이드 샤프트(20)와 가이드 레일(20')에 각각 설치하면, 가이드 샤프트(20)에는 슬라이드 부시(40)가 접촉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20')에는 슬라이더(40')의 상부 및 하부 부시(41'a,41'b)가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40')의 하부면(40'b)은 부시(41'a,41'b)의 슬라이드접촉면간의 간격(l)이 가이드 레일(20')의 두께(t)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음으로 인해 탄성적으로 휘어져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20')에는 상부 및 하부 부시(41'a,41'b)가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캐닝 캐리지를 설치한 상태에서 모터를 구동시키면, 타이밍 풀리(133)가 회전되어 타이밍 벨트(131)에 의해 스캐닝 캐리지(10)가 가이드 샤프트(20)와 가이드 레일(20') 상에서 미끄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스캐닝 작동이 이루어지는 바, 캐리지(10)의 반복적인 이송에 따라 슬라이드 부시(40)와 상ㆍ하부 부시(21'a,21'b)가 각각 마모된다.
그리고, 캐리지의 반복적인 이송에 따라 슬라이드 부시(40)와 상ㆍ하부 부시(41'a,41'b)가 마모되면, 슬라이드 부시(40)와 가이드 샤프트(20)의 접촉면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는 반면, 가이드 레일(20')과 상ㆍ하부 부시(41'a,41'b)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좌우 틈새가 서로 다르게 발생되면 캐리지의 양측이 모두 폐쇄형으로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캐리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캐리지의 일측은 가이드 샤프트(20)에 의해 폐쇄형으로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가이드 레일(20')에 의해 개방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좌우 틈새가 서로 다르게 발생되더라도 캐리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의 표면 가공 상태가 정밀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더(40')의 하부면이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캐리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시와 가이드 샤프트의 접촉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캐리지의 이송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고, 스캐닝 캐리지의 원활한 이송을 장시간 동안 보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광학 요소가 탑재되는 스캐닝 캐리지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화상 독취 기기의 본체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는 두개의 가이드 수단과, 상기 스캐닝 캐리지가 상기 가이드 수단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상기 스캐닝 캐리지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설치하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상의 가이드 샤프트와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상의 가이드 레일로 각각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와 슬라이드 접촉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드 부시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면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하는 상부 및 하부 부시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면에는 탄성 걸림편이 구비되고, 상기 캐리지에는 상기 탄성 걸림편이 삽입되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캐리어에 탄성결합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시의 슬라이드 접촉면간의 간격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두께에 비해 설정치만큼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벽면을 구비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하부면이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하기 위한 탄성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
  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부시는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
KR2019990008645U 1999-05-20 1999-05-20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 KR200255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645U KR200255079Y1 (ko) 1999-05-20 1999-05-20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645U KR200255079Y1 (ko) 1999-05-20 1999-05-20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81U KR20000021081U (ko) 2000-12-15
KR200255079Y1 true KR200255079Y1 (ko) 2001-12-13

Family

ID=5476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645U KR200255079Y1 (ko) 1999-05-20 1999-05-20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0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6471B2 (ja) * 2001-07-2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平面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81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0431A (en)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jam-prevention feature
US5680203A (en) Image processor having a document conveyor with document suppressing rollers and a document suppressing plate, providing a uniform space for document passage
JP2002235763A (ja) 連結装置、回転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100514354C (zh) 原稿扫描装置
JPH10150513A (ja) 画像形成装置
KR200255079Y1 (ko) 화상 독취 기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 장치
US20170180603A1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image reading device
US6144465A (en) Guiding mechanism for slidable movement of a carrier in an image processor
US6853826B2 (en) Image reader, image forming device, and bearing retaining structure
US4377337A (en) Document scanning apparatus for an electrostatic copier
US74474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45017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tical means for image magnification change
JP2009290441A (ja) 原稿供給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原稿読取装置
KR100291423B1 (ko) 화상형성기의스캐닝캐리지이송장치
JP2021123478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GB2213801A (en) Tractor with belt tensioning mechanism
JP2003051920A (ja) 平面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79097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の給紙機構
JP4527313B2 (ja) スキャナ装置及び複写機
JPH01151873A (ja) 画像読取装置
KR200153789Y1 (ko) 화상형성기의 스캐닝 캐리지 이송장치
JP2002328437A (ja) スキャナ装置及び複写機
JP3696027B2 (ja) 動力伝達装置と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290370B2 (ja) 自動原稿供給装置
JP2007306054A (ja) 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5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102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1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11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