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3076Y1 - 치약추출기 - Google Patents

치약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076Y1
KR200253076Y1 KR2020010014701U KR20010014701U KR200253076Y1 KR 200253076 Y1 KR200253076 Y1 KR 200253076Y1 KR 2020010014701 U KR2020010014701 U KR 2020010014701U KR 20010014701 U KR20010014701 U KR 20010014701U KR 200253076 Y1 KR200253076 Y1 KR 200253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stick
extractor
push
extracto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흥석
Original Assignee
강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석 filed Critical 강흥석
Priority to KR2020010014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07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4)을 편리하고 쉽게 남김없이 나오게 할수있는 방법이나 치약밀대(2)을 이용하여 치약(4)을 나오게 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치약추출기{toothpaste press}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약(4)을 쉽게 남김없이 나오게 하려는 것이다
도1을 보면 현재의 치약통은 튜브식으로 되어 있어서 처음에는 치약통(1)의 어떤 부분이나 손으로 잡고 손가락으로 누르면 치약이 잘 나온다. 그러나 절반정도 쓰면 위쪽에서 치약이 나오는 구멍(5) 쪽으로 한쪽 손으로 치약통(1)을 잡고 다른쪽 손으로 치약통(1)을 밀어 내려야 치약(4)을 짜낼수 있다 치약(4)을 쓰려면 계속해서 위의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위의 방법대로 손으로 밀어 내려서 치약을 짜낸다고 하여 치약(1)을 모두 짜낼수는 없다특히 치약(4)이 나오는 치약통(1) 끝은 딱딱해서 치약(4)을 짜더라도 힘이들고 짜고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치약(4)이 많이 남게 된다 현재의 치약통은 처음에는 사용이 편리하나 중간정도 쓰면 불편하게 짜야 하고 다 짜낼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그리고 두손을 모두 사용하므로 한손으로 할수 있는것 보다는 불편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약(4)을 남김없이 쉽게 나오게 하려는 것이다 도2의 도면은 본고안에 따른 치약추출기의 입체도 이다 사용방법은 한손으로 치약추출기 몸체(7)을 감싸쥐고 엄지 손가락으로 치약밀대(2)을 밑으로 눌러서 치약 나오는 구멍(5)으로 치약(4)이 나오게 된다 치약추출기 몸체(7)와 치약통(1), 치약밀대(2)을 플라스틱으로 만들고 뼈대 두께는 1mm 정도로 한다 이유는 치약통(1)을 짜서 치약(4)을 나오게 하는것이 아니라 치약밀대(2)을 이용하여 치약을 나오게 하기 위함이다치약추출기 몸체(7)와 치약통(1), 치약밀대(2)을 플라스틱으로 만들므로 재활용품으로 사용할수 있다한손으로 끝까지 치약(4)을 나오게 할수있는 편리함이 있고 치약(4)을 남김없이 짜낼수 있어서 치약이 절약되게 하는 치약 추출기 이다
도 1 은 종래의 치약통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약추출기의 입체도
도 3 은 도2의 분리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약추출기의 (A)는 정면 평면도
(B)는 윗면 평면도 (C)는 밑면 평면도
<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
1. 치약통 2. 치약밀대
3. 치약밀대에 부착하는 원형의 고무링
4. 치약5. 치약 나오는 구멍 6. 고무링 지지대7. 치약추출기 몸체 8.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9. 고무링에 있는 구멍 10. 원형의 둘레
본고안에 따르면 치약추출기 몸체(7)을 감싸쥐고 치약밀대(2)을 이용하여 치약(4)을 나오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약추출기의 입체도이다 사용방법은 치약추출기 몸체(7)의 윗부분을 한손으로 감싸쥐고 엄지 손가락으로 치약밀대(2)을 밑으로 누른다 엄지 손가락은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8)으로 들어간다 치약추출기(7)와 치약밀대(2)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치약밀대(2)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치약통(1)속으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치약(4)이 치약나오는 구멍(5)으로 치약(4)이 나오게 된다 치약(4)을 쓸만큼 치약밀대(2)로 밀어 내리고 치약밀대(2)을 놓으면 치약은 더이상 나오지 않는다치약(4)을 계속 나오게 하려면 치약(4)을 약간 짜낸 상태이므로 치약추출기 몸체(7)는 그대로 있고 치약밀대(2)는 치약통(1) 쪽으로 약간 내려가 있게 된다 눈으로 보면 감싸쥐기 쉬운 치약추출기 몸체(7)의 위치가 눈에 보이므로 잘 짜낼만한 치약추출기 몸체(7)의 위치에 한손으로 감싸쥐고 엄지 손가락을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8) 쪽으로 대고 치약밀대(2)을 치약통(1) 쪽으로 밀어 내려서 치약(4)을 치약 나오는 구멍(5)으로 나오게 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치약(4)을 계속해서 나오게 할수 있다 치약통(1)과 치약밀대(2)의 길이는 치약밀대(2)가 약간 길게하여 치약(4)이 남김없이 나오게 할수있게 한다손가락이 들어갈 공간(8)의 넓이는 어른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서 편안할 정도로 하고 길이는 치약통(1)보다 약간 작게 한다 도2와 도3의 도면대로 만들면은 길이는 적당하다도3은 도2의 분리도 이다 치약추출기 몸체(7)와 치약통(1)이 붙어있게 하고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8)은 어른 엄지 손가락이 들어가서 편안할 정도의 공간이 있어야 한다치약밀대(2)의 밑부분에 고무링 지지대(6)을 여러개 적당하게 만들고 고무링(3)의 구멍(9)을 고무링 지지대(6)의 갯수와 위치가 같게하여 만들고 고무링(3)을 고무링 지지대(6)에 끼울때는 고무링(3)의 안쪽과 구멍(9)은 고무링 지지대(6)와 치약밀대(2)에 부착되는 원형의 둘레(10) 보다 적당히 작게하여 빡빡하게 끼게한다 치약밀대(2)에 끼우게 되는 고무링(3)이 들어갈 깊이는 2.5mm로 한다고무링(3)의 두께는 3mm 정도로 한다 고무링(3)을 치약밀대(2)가 치약(4)이 직접 닫는 면의 원둘레 보다 0.5mm 크게 만들어서 빡빡하게 끼운다이유는 치약통(1)속에 공기가 들어가서 치약(4)이 굳는것을 막아주고 치약(4)을 남김없이 나오게 하기 위해서 이다 치약밀대(2)의 아래쪽에 직접 치약(4)이 닿는 부분의 원둘레와 고무링 지지대(6)가 돌출된 길이는 치약통(1)의 안쪽 원둘레와 같게 한다치약추출기(7)와 치약통(1), 치약밀대(2)의 뼈대 두께는 플라스틱으로 1mm 정도로 한다 이유는 치약통(1)을 눌러서 치약(4)을 짜는 것이 아니라 앞에서 말한 사용방법으로 치약(4)을 치약 나오는 구멍(5)으로 나오게 하기 위함이다 플라스틱으로 치약추출기을 만들므로 본 고안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다쓰고 재활용품으로 사용할수 있다본 고안에 따른 치약추출기는 도4에서 (B)의 윗면 평면도을 보면 원형으로 만든 이유는 원형이 손으로 잡기 편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치약(4)을 남김없이 나오게 할수 있다
현재의 치약통은 처음에는 짜는데 편리하나 중간정도 짜면 밑에서 위로 밀어 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치약을 다 짜낼수가 없어서 치약을 남겨서 버리므로 치약이 낭비된다

Claims (1)

  1. 치약추출기 몸체(7)의 윗부분을 한손으로 감싸쥐고 엄지 손가락을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8) 쪽으로 대고 치약밀대(2)을 치약통(1) 쪽으로 밀어 내려서 치약(4)을 치약 나오는 구멍(5)으로 나오게 한다
    치약밀대(2)을 눌러서 쓸만큼 나오게 하고 치약밀대(2)을 놓으면 치약(4)은 더이상 나오지 않는다
    원형의 고무링(3)을 치약밀대(2)에 약간 빡빡하게 부착하여 치약통(1)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치약(4)이 굳는것을 막고 치약(4)을 남김없이 나오게 한다
    치약추출기 몸체(7)와 치약통(1), 치약밀대(2)의 뼈대 두께는 1mm 정도로 한다 치약(4)을 짜서 나오게 하는 것이 아니라 치약밀대(2)로 밀어 내려서 치약(4)을 나오게 하기 위해서다 치약 추출기(7)의 윗부분을 한손으로 감싸쥐고 엄지 손가락을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8) 쪽으로 대고 치약밀대(2)을 치약통(1)쪽으로 밀어 내려서 치약(4)을 치약이 나오는 구멍(5)으로 나오게 한다 그렇게 되면 치약 추출기 몸체(7)는 그대로 있고 치약밀대(2)는 치약통(1) 쪽으로 내려가 있게 된다 다시 쓸때는 감싸 쥐기 쉬운 치약추출기 몸체(7)의 위치가 눈에 보이므로 잘짜낼만한 치약추출기 몸체(7)의 위치에 한손으로 감싸쥐고 엄지 손가락을 손가락이 들어갈 공간(8) 쪽으로 대고 치약밀대(2)을 치약통(1) 쪽으로 밀어내려서 치약(4)을 치약이 나오는 구멍(5)으로 나오게 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해서 사용하면 치약(4)을 남김없이 나오게 할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추출기
KR2020010014701U 2001-05-18 2001-05-18 치약추출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53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01U KR200253076Y1 (ko) 2001-05-18 2001-05-18 치약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01U KR200253076Y1 (ko) 2001-05-18 2001-05-18 치약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076Y1 true KR200253076Y1 (ko) 2001-11-16

Family

ID=7310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70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3076Y1 (ko) 2001-05-18 2001-05-18 치약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0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46459S1 (en) Oval cap container with side finger grips
USD500231S1 (en) Container with sleeve
USD471767S1 (en) Container for liquids
EP3571954B1 (en) Head structure of applicator
USD450153S1 (en) Applicator
USD428056S (en) Fountain pen
KR200253076Y1 (ko) 치약추출기
JPH05294371A (ja) ワンプッシュスクイズ式二重構造型接着剤包装容器
USD436997S1 (en) Pen cap
US5944437A (en) Single use, disposable lotion applicator
USD448417S1 (en) Liquid filled shell with pen stand
JP2678570B2 (ja) 充填式棒状化粧料容器
KR20090008298U (ko) 샤프뚜껑에 샤프심통이 내장된 샤프펜슬
TW200519718A (en) A self-inflating mouse device
KR200337724Y1 (ko) 한 손으로 열 수 있는 용기뚜껑
KR200220247Y1 (ko) 오토 매니큐어
CN211747594U (zh) 一种化妆瓶
CN2673675Y (zh) 两用修正液盖
KR200299391Y1 (ko) 샤프펜슬
JPS5911706Y2 (ja) 野菜抜型具
JP3075318U (ja) チューブ状容器搾り出し凸部
WO2003070486A2 (en) One touch openable water-based ink pen
JP3019529U (ja) ポンプ式押し出し容器
JPS5911705Y2 (ja) 野菜抜型具
KR20170098423A (ko) 볼펜형 데코레이션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29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