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0854Y1 - 척추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척추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854Y1
KR200250854Y1 KR2020010020940U KR20010020940U KR200250854Y1 KR 200250854 Y1 KR200250854 Y1 KR 200250854Y1 KR 2020010020940 U KR2020010020940 U KR 2020010020940U KR 20010020940 U KR20010020940 U KR 20010020940U KR 200250854 Y1 KR200250854 Y1 KR 200250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fixing device
head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기
박상수
정상일
임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이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이춘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854Y1/ko

Links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장치의 지지부에 연장지지대를 일체로 연장시켜 헤드부를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척추골마다 고정장치를 로드에 연결하여 삽입시 함몰된 척추에 삽입된 고정장치의 헤드부에도 고정너트가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함몰된 척추를 끌어올릴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지지부와 연장지지대의 사이 내부벽에 절단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연장지지대를 안쪽으로 꺾어 절단시 헤드부의 외부벽에 거칠게 생기는 절단면이 결합된 고정너트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살이나 근육을 자극시키지 않고 보호할 수 있게 한 척추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척추골 내에 일정 깊이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에 결합되어 척추를 지지하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척추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척추골 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척추경나사부재와, 상기 척추경나사부재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벽에 나사돌기를 형성하면서 상기 로드를 지지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상단부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감싸 누르면서 상기 나사돌기를 따라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내 고정장치{SPIN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정장치의 지지부에 연장지지대를 일체로 연장시켜 헤드부를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척추골마다 고정장치를 로드에 연결하여 삽입시 함몰된 척추에 삽입된 고정장치의 헤드부에도 고정너트가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함몰된 척추를 끌어올릴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지지부와 연장지지대의 사이 내부벽에 절단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연장지지대를 안쪽으로 꺾어 절단시 헤드부의 외부벽에 거칠게 생기는 절단면이 결합된 고정너트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살이나 근육을 자극시키지 않고 보호할 수 있게 한 척추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가 골절되거나 질병이 발생되면 척추를 고정시켜 주게 되는데, 이러한 척추를 적절한 관계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는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방식은 척추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장치인 나사못이 결합되고, 상기한 나사못은 척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로드와 누름판에 의하여 눌러지면서 결합되며, 상기한 로드와 로드는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인 상기한 고정장치는 척추에 결합되는 척추경나사부재와, 로드가 결합되며 외부벽에 절단홈을 형성한 헤드부와, 상기 척추경나사부재를 눌러주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감싸며 상기 헤드부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인 고정장치를 함몰된 척추골 내에 삽입하게 될 경우에, 양단 척추골에 삽입된 고정장치와 연결된 로드의 높이에 고정장치의 헤드부가 짧아 위치하지 못하게 됨으로 고정너트로 결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장치의 지지부에 연장지지대를 일체로 연장시켜 헤드부를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척추골마다 고정장치를 로드에 연결하여 삽입시 함몰된 척추에 삽입된 고정장치의 헤드부에도 고정너트가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함몰된 척추를 끌어올릴 수 있게 한 척추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와 연장지지대의 사이 내부벽에 절단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연장지지대를 안쪽으로 꺾어 절단시 헤드부의 외부벽에 거칠게 생기는 절단면이 결합된 고정너트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살이나 근육을 자극시키지 않고 보호할 수 있게 한 척추내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척추를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가 삽입되어 척추를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고정장치 4:제1로드 6:제2로드
8:연결부 10:척추경나사부재 12:헤드부
14:나사돌기 16:지지부 18:연장지지대
20:로드 22:'U'자형 홈 24:고정너트
26:안내부 28:누름판 30:절단홈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척추골 내에 일정 깊이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에 결합되어 척추를 지지하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척추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척추골 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척추경나사부재와, 상기 척추경나사부재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벽에 나사돌기를 형성하면서 상기 로드를 지지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상단부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감싸 누르면서 상기 나사돌기를 따라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함몰된 척추골에 상기 고정장치를 삽입시 상기 로드의 높이에 맞게 상기 헤드부 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 연장지지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내부벽에 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정너트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안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절이나 질병 등의 사유로 인해 척추가 불안정하게 되면 척추를 안정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장치(2)가 사용되는데, 상기 고정장치(2)는 척추를 길이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로드
(4)와 제2로드(6)를 따라 척추의 길이방향으로 2열로 연속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2로드(4,6)는 연결부(8)에 의해서 연결폭이 조절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한편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2)는 각 척추골 내에 일정 깊이로 척추경나사부재(10)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척추경나사부재(10)
의 상부에는 일정 길이로 형성된 헤드부(12)가 외부벽에 나사돌기(14)를 형성하면서 상기 척추경나사부재(10)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헤드부(12)는 지지부(16)와 상기 지지부(16)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함몰된 척추골에 상기 고정장치(2)가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로드(20)의 높이에 맞게 위치를 조절가능하게 한 연장지지대(1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2) 내에는 'U'자형 홈(22)이 형성되어 상기 'U'자형 홈
(22) 내로 로드(20)가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2)의 상단부에는 고정너트(24)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
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수술자의 결합실수로 살이나 근육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는 안내부(26)가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U'자형 홈(22) 내로 관통된 로드(20)의 상단부에는 상기 로드(20)를 척추경나사부재(10) 쪽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누름판(28)이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12)의 상단부 둘레에는 상기 고정너트(24)가 상기 나사돌기
(14)를 따라 상기 누름판(28)을 감싸 누르며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12)의 내부벽에는 상기 고정너트(24)의 결합 후, 상기 헤드부(12)의 상기 연장지지대(18)를 잘라내기 위한 절단홈(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하고자 하는 척추골마다 고정장치(2)의 척추경나사부재(1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된 상기 고정장치(2)의 헤드부(12) 내로 도 1 과 같이 제1,2로드(4,6)가 관통되어 척추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제1,2로드(4,6)를 교정하고자 하는 척추의 모양에 맞게 배치하여 지지한 다음, 상기 헤드부(12) 내에 관통된 상기 로드(20) 상단부에 누름판(28)을 위치시켜 상기 로드(20)를 눌러준다.
그리고 고정너트(24)를 상기 헤드부(12)의 안내부(26)를 기점으로 하여 나사돌기(14)의 둘레방향으로 체결하여 상기 누름판(28)을 감싸 누르며 상기 누름판
(28)이 상기 로드(20) 상단부를 누르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24)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헤드부(12)의 연장지지대(18)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헤드부(12)의 내부벽에 형성된 절단홈(30)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꺾어 절단할 수 있으며, 절단 후, 상기 헤드부(12)의 외부벽 쪽에 거칠게 남게되는 절단면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너트(24) 내측으로 위치됨으로써 도 2 의 고정너트(24) 상단면과 같이 절단면이 상기 고정너트(24) 내부에 위치해 매끈하여 살이나 근육에 자극을 주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골이 함몰된 경우에는, 함몰된 척추골에 상기 고정장치(2)의 척추경나사부재(1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지지부(16)에 상기 연장지지대(18)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2)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단 척추골에 고정된 고정장치(2)와 연결된 상기 로드(20)의 높이에 맞게 상기 헤드부(12) 내에서 상기 로드(20)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로드(20) 상단부에 누름판(28)을 설치시킨 후, 고정너트(24)로 상기 나사돌기(14)의 상단부를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척추골 내에 고정장치(2)의 조립을 마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8)를 이용해 제1로드(4)와 제2로드(6)의 폭을 조절하여 척추를 교정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고정장치의 지지부에 연장지지대를 일체로 연장시켜 헤드부를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로드의 높이에 맞게 헤드부 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함몰된 척추에 삽입된 고정장치의 헤드부에도 고정너트가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함몰된 척추를 끌어올릴 수 있고, 그리고 지지부와 연장지지대의 사이 내부벽에 절단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연장지지대를 안쪽으로 꺾어 절단시 헤드부의 외부벽에 거칠게 생기는 절단면이 결합된 고정너트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살이나 근육을 자극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척추골 내에 일정 깊이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에 결합되어 척추를 지지하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척추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척추골 내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척추경나사부재와, 상기 척추경나사부재의 상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벽에 나사돌기를 형성하면서 상기 로드를 지지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상단부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감싸 누르면서 상기 나사돌기를 따라 체결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내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함몰된 척추골에 상기 고정장치를 삽입시 상기 로드의 높이에 맞게 상기 헤드부 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 연장지지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척추내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부벽에 절단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척추내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정너트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안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척추내 고정장치.
KR2020010020940U 2001-06-19 2001-07-11 척추내 고정장치 KR2002508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4786 2001-06-19
KR1020010034786 2001-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854Y1 true KR200250854Y1 (ko) 2001-11-17

Family

ID=7310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40U KR200250854Y1 (ko) 2001-06-19 2001-07-11 척추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8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15B1 (ko) * 2002-09-16 2005-08-09 신수철 척추경 나사못 및 이를 갖는 척추경 나사못 조립체
US7727259B2 (en) 2004-09-22 2010-06-01 Kyung-Woo Park Bio-flexible spinal fixation apparatus with shape memory allo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15B1 (ko) * 2002-09-16 2005-08-09 신수철 척추경 나사못 및 이를 갖는 척추경 나사못 조립체
US7727259B2 (en) 2004-09-22 2010-06-01 Kyung-Woo Park Bio-flexible spinal fixation apparatus with shape memory all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117B1 (ko) 경추고정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드라이버
EP1304967B1 (en) Spinal fixation system
JP3086455B2 (ja) 脊椎固定装置
KR100895243B1 (ko) 완충형 척추경 나사못
US5810822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long bone deformation
EP1600111B1 (en) Device for connecting the rod of a spinal osteosynthesis device to a vertebra, and osteosynthesis system comprising this device
US20060264944A1 (en) Bone Fix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AU2001260001A1 (en) Spinal fixation system
KR20030062532A (ko) 골수강내 금속정과 이의 나사삽입장치 및 나사삽입방법
KR20010031993A (ko) 척추 이식장치
KR20070012706A (ko) 로드 퍼스웨이더
KR200250854Y1 (ko) 척추내 고정장치
JP2009535090A (ja) 開放型背部調整連結装置
US20050070919A1 (en) Device for guiding insertion of a medical device into the spinal epidural space and method therefor
CN215651464U (zh) 脊柱椎板引导固定装置
JPS5836544A (ja) 大腿骨骨折を固定するための骨釘
KR102548060B1 (ko) 윈도우 홀을 구비하는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플레이트 몸체 및 이를 이용한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고정 플레이트 장치
KR200192901Y1 (ko) 척추수술용 위치안내기구
KR102146697B1 (ko) 침소침습성 강선 제거장치
KR100307306B1 (ko) 척추내 고정장치
AU678473B2 (en) Drill guide and method for avoiding intramedullary nails in the placement of bone pins
CN217793287U (zh) 一种横连器
KR101662668B1 (ko) 외과 수술용 정복기구
KR20030011265A (ko) 척추경 나사못과 로드 고정구의 결합을 위한 시술용수술기구
KR100319411B1 (ko) 척추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7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7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6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