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0797Y1 -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797Y1
KR200250797Y1 KR2020010019768U KR20010019768U KR200250797Y1 KR 200250797 Y1 KR200250797 Y1 KR 200250797Y1 KR 2020010019768 U KR2020010019768 U KR 2020010019768U KR 20010019768 U KR20010019768 U KR 20010019768U KR 200250797 Y1 KR200250797 Y1 KR 200250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necting portion
anchor bolt
outer diameter
bol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배
Original Assignee
김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배 filed Critical 김광배
Priority to KR2020010019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7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owe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시 슬리브를 벌리지 않고도 연결부에 간단하게 끼울 수 있도록 슬리브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슬리브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나사부(11),연결부(12) 및 확장부(13)를 일체로 구비하는 볼트부재(10)와; 다수개의 절개부(21) 및 걸림돌기(22)를 구비하여 볼트부재(10)의 연결부(12)에 끼워지는 슬리브(20)로 구성되는 앵커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11)의 외경을 연결부(1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이 나사부(11)로 슬리브(20)를 끼워 연결부(12)에 위치시키고, 상기 슬리브(20)와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멈춤링 (30)을 나사부(11)에 끼워 가압하여 고정시킨 구성이다.

Description

앵커볼트{anchor bolt}
본 고안은 앵커볼트(anchor bolt)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슬리브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 또는 천정등에 어떠한 물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근래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앵커볼트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1),멈춤턱부(2),연결부(3) 및 확장부(4)를 일체로 구비하는 볼트부재(5)와; 다수개의 절개부(6) 및 걸림돌기(7)를 구비하여 볼트부재(5)의 연결부(3)에 끼워지는 슬리브(8)로 구성된다. 이때, 슬리브(8)와 나사부(1),멈춤턱부(2),확장부(4)의 외경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앵커볼트는 슬리브(8)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턱부(2)가 볼트부재(5)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구조적으로 슬리브(8)와 확장부(4) 및 멈춤턱부(2)의 외경이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조립시 슬리브(8)를 외측으로 벌려서 연결부(3)에 끼운 후 다시 슬리브(8)를 원상태로 오므려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슬리브(8)의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조립시 슬리브를 벌리지 않고도 연결부에 간단하게 끼울 수 있도록 슬리브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슬리브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앵커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볼트부재의 나사부를 통해 연결부에 직접 슬리브를 끼울 수 있도록 나사부의 외경을 연결부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에 슬리브를 끼운 상태에서 멈춤링을 나사부에 끼워 가압하여 고정시킨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앵커볼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앵커볼트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볼트부재 11 : 나사부
12 : 연결부 13 : 확장부
20 : 슬리브 21 : 절개부
22 : 걸림돌기 30 : 멈춤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앵커볼트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사부(11),연결부(12) 및 확장부(13)를 일체로 구비하는 볼트부재(10)와; 다수개의 절개부(21) 및 걸림돌기(22)를 구비하여 볼트부재(10)의 연결부(12)에 끼워지는 슬리브(20)로 구성되는 앵커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11)의 외경을 연결부(1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이 나사부(11)로 슬리브(20)를 끼워 연결부(12)에 위치시키고, 상기 슬리브(20)와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멈춤링(30)을 나사부(11)에 끼워 가압하여 고정시킨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부재(10)는 나사부(11)와 연결부(12) 및 확장부(13)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으로, 이때 나사부(11)는 슬리브(20)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연결부(1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조립시 종래와 같이 슬리브(20)를 벌리지 않고서도 나사부(11)로 슬리브(20)를 간단하게 끼워 연결부(12)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멈춤링(30)은 연결부(12)에 끼워진 슬리브(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멈춤링(30)은 나사부(11)로 끼워져 나사부(11)와 연결부(12)의 경계면인 나사부(11) 하부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기계적인 힘으로 가압함에 의해 나사부(11)에 일체형으로 간단하게 고정된다. 이때, 멈춤링(30)의 외경은 슬리브(2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립시 슬리브(20)를 벌리지 않고서도 나사부 (11)로 슬리브(20)를 간단하게 끼워 연결부(12)에 위치시킨 후, 나사부(11)에 멈춤링(30)을 끼운 상태에서 외부에서 간단하게 기계적인 힘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슬리브(2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앵커볼트를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볼트부재(10)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41)을 콘크리트 바닥(40)에 형성한다. 이때, 구멍(41)은 슬리브(20)와 확장부(13) 및 멈춤링(30)의 외경과 같은 크기로 형성하되, 구멍(41)의 깊이는 정확하게 형성할 필요 없이 규정치 이상만 되면 삽입하는데 문제가 없다.
상기 구멍(41)에 볼트부재(10)를 삽입할 때는 망치등으로 살짝 두드리면 되는데, 슬리브(20)의 걸림돌기(22)가 구멍(41)의 크기보다 조금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손으로는 밀어 넣을 수가 없고 망치등으로 가볍게 타격하면 멈춤링(30)이 슬리브(20)를 밀고 들어가므로 걸림돌기(22)가 구멍(41)의 내벽을 조금씩 긁으면서 삽입된다. 이때 볼트부재(10)를 삽입하는 깊이는 고정되었을 때의 필요한 길이보다 조금 더 삽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나사부(11)에 조임너트(50)를 체결하여 조이면 볼트부재(10)가 외부로 빠지면서 고정되는데, 이때 슬리브(20)는 걸림돌기(22)에 의해 구멍(41)의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이므로 조임너트(50)를 조이면 볼트부재(10)만이 외부로 서서히 빠져나온다.
따라서 다수개의 절개부(21)가 형성된 슬리브(20)의 하단이 확장부(13)에 의해 확장되면서 구멍(41)의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므로 앵커볼트가 구멍(41)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앵커볼트는 조립시 슬리브를 벌리지 않고 나사부를 통해 연결부에 슬리브를 간단하게 직접 끼운 후, 슬리브가 빠지지 않도록 나사부에 멈춤링을 끼운 상태에서 간단하게 가압하여 고정시키므로 슬리브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나사부(11),연결부(12) 및 확장부(13)를 일체로 구비하는 볼트부재(10)와; 다수개의 절개부(21) 및 걸림돌기(22)를 구비하여 볼트부재(10)의 연결부(12)에 끼워지는 슬리브(20)로 구성되는 앵커볼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11)의 외경을 연결부(12)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이 나사부(11)로 슬리브(20)를 끼워 연결부(12)에 위치시키고, 상기 슬리브(20)와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멈춤링(30)을 나사부(11)에 끼워 가압하여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KR2020010019768U 2001-06-30 2001-06-30 앵커볼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250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768U KR200250797Y1 (ko) 2001-06-30 2001-06-30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768U KR200250797Y1 (ko) 2001-06-30 2001-06-30 앵커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797Y1 true KR200250797Y1 (ko) 2001-10-19

Family

ID=7306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76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0797Y1 (ko) 2001-06-30 2001-06-30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7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42U (ko) 2015-01-29 2016-08-08 이종엽 셋트 앙카 볼트
KR20180003609U (ko) 2017-06-14 2018-12-24 이종엽 타격용 앵커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742U (ko) 2015-01-29 2016-08-08 이종엽 셋트 앙카 볼트
KR20180003609U (ko) 2017-06-14 2018-12-24 이종엽 타격용 앵커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3287C (en) Concrete form spacing fixture
DK164673B (da) Indstilleligt fastgoerelsesorgan
US20070160418A1 (en) Quick assembly bolt jacket
US5913792A (en) Device for installing impact-type anchoring means
KR100839228B1 (ko) 앵커 볼트
IE862695L (en) Fixing a handle on a tool
KR200250946Y1 (ko) 앵커볼트
KR200250797Y1 (ko) 앵커볼트
HU206763B (en) Tightening key
JP2010203097A (ja) 壁面ボルト固定部材とその取り付け工法
KR20110008780A (ko) 너트조임에 의해 고정가능한 앵커볼트
KR200286627Y1 (ko) 콘크리트앵커볼트
KR200303223Y1 (ko) 앵커볼트
JP2004197933A (ja) 継手
KR200196458Y1 (ko) 난간 고정구
JP2009046943A (ja) 手摺用ブラケット
KR200344501Y1 (ko) 배관 체결구
KR200275978Y1 (ko) 셋트앵커볼트
JP2532270Y2 (ja) 配管固定具
GB2437303A (en) Apparatus for fixing an object to a wall having a plasterboard wall spaced from an underlying structure
KR200313579Y1 (ko) 스트롱 앙카
KR200250961Y1 (ko) 앵커볼트용 로커
KR200241757Y1 (ko) 볼트 일체형 앵커볼트
EP1282781A1 (en) Anchor and nut assembly
KR200381417Y1 (ko)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이탈되지 않는 크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6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7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