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0526Y1 -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 Google Patents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526Y1
KR200250526Y1 KR2020010019569U KR20010019569U KR200250526Y1 KR 200250526 Y1 KR200250526 Y1 KR 200250526Y1 KR 2020010019569 U KR2020010019569 U KR 2020010019569U KR 20010019569 U KR20010019569 U KR 20010019569U KR 200250526 Y1 KR200250526 Y1 KR 200250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space
family
worshipers
decea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묵
Original Assignee
박성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묵 filed Critical 박성묵
Priority to KR2020010019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52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유골함을 모실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납골당에, 납골당을 찾는 참배객이 참배를 할 수 있는 공간과, 참배객의 침목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을 독립적으로 가지는 가족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인 납골당 내부에 별도의 공간으로 가족단위로 구성된 가족 납골당을 형성하므로, 외부와 독립된 가족 납골당에서 선대별로 구별하여 다수개의 유골함을 유골함 내장실을 이용하여 영구히 보관할 수 있으며, 참배객들이 망자를 기념하기 위한 제사 및 종교의식이나 기념의식의 거행함에 있어서, 충분한 공간을 확 보할 수 있어, 주변의 참배객에게 불편을 주거나 방해를 받지않고 경건하게 망자를 기념할 수 있으며, 참배객이 휴식하거나 침목을 도모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하게 납골당에 방문하여 기념하거나 참배하므로, 망자를 선의로 기념하는 한국인 정서에 부합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Description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family charnel}
본 고안은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수의 유골함을 모실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납골당에, 납골당을 찾는 참배객이 참배를 할 수 있는 공간과, 참배객의 침목을 도모할 수 있는 공간을 독립적으로 가지는 가족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상(祖上) 또는 망자(亡者)를 모실때에는, 성격에 따라 개인묘, 종중묘, 공동묘 등의 형식으로 매장이나 화장을 하게 되는데, 매장을 하는 경우에관에 안치한 후, 개개의 지면 공간에 매립하는 방법인데, 이러한 매장의 경우에는 각 시신마다 소정의 지면을 차지하고, 더욱이 한번 사용된 묘는 그 차지하는 면적을 영구히 지니고 있어, 세대가 흐를수록 많은 묘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 국토면적이 좁고 매장의 풍습이 강한 우리나라 실정에는, 묘지부지 확보에 어려움이 심화되고,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이 어려워 국가에서는 화장문화를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장문화를 보편화와 대중화를 위해 시행되고 있는 것이 납골당을 이용한 방법인데, 납골당의 형태 및 구조는 다향하게 제안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납골당의 구족가 획일된 공간내에 정해진 측벽에 아파트 형태로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유골과 기타 비품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으로 사용하고, 외면에는 납골당에 안치된 사람의 영정이나 기타 비품을 부착 또는 진열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납골당의 구조는 매장과 시신의 육탈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사용자들에게 많은 편리를 주고 있으나, 망자의 유골이 보관되는 수납공간이 독립적인 공간이 아닌 개방된 공동공간에 동일하게 안치되므로, 망자를 참배하기 위해 납골당을 찾는 참배객은 공동공간에서, 망자를 참배하고 기타 의식을 진행하여야 했다.
하지만 종래의 납골당의 구조가 공동공간 내에서 모든 의식이나 행사를 진행하여야 하므로, 참배객이 제사를 모시거나 기타 망자를 기념하는 행위를 할 경우 주변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해야 하고, 이는 참배객 상호간에 동일하게 부담으로 작용하며, 납골당에서 망자의 유골을 안치하는 수납구가 아파트형의 수납공간으로 되어 있어, 전면부에 제사상이나 기념을 위한 단상을 마련하여 망자를 추고하고자 해도, 추모하고자 하는 망자가 누구인지 또는 망자의 유골이 안치된 수납구가 어느것인지 주변 사람들이 쉽게 인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참배 후 참배격이 망자를 기념하며 참배객 간에 친목을 도모하거나 단란한 시간을 가지고 싶어도, 독립적인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주변 참배객들에 불편을 준다는 이유로 자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수의 유골함을 안치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수납공간 전면부로 외부의 공동구역과 구별되는 독립공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동공간과 구별된 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을 형성하여, 납골당에 참배하는 참배객들이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망자를 위한 제사 및 기념행위를 거행할 수 있으며, 참배객들이 납골당 내에서 친목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공간 구획도
도2는 본 고안 가족 납골당의 구획도
도3은 본 고안의 유골함 내장실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납골당 2;가족 납골당 3;벽장 공간부 4;유골함 내장실
5;명패 6;개폐문 7;문서대 8;비품 수납대 9;유골함 수납대
전체적인 납골당(1)에서 일정공간을 구획하여 구획된 공간을 가족 납골당(2)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 납골당에는 벽장 공간부(3)를 확보하고, 확보된 벽장 공간부(3)에 유골함 내장실(4)을 다단계의 층을 상· 하로 구비하여, 공동 또는 가족의 선대별의 유골을 보관하기 적합하게 하고, 그 전면에는 명패(5)가 새겨진 개폐문(6)을 형성하고, 전방면에 망자의 인적사항 등을 표시하는 문서대(7)를 형성하고, 유골함 내장실(4) 하측으로 비품을 수납하는 비품 수납대(8)를 형성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출입문을 표시한다.
이와 같인 된 본 고안은, 납골당(1)의 전체적인 공간에서 일정공간을 구획하여, 유골함 내장실(4)과 비품 수납대(8)를 가지는 가족 납골당(2)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가족 납골당(2)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가족 중에 망자가 발생하면 화장터에서 육탈의 과정을 거친 후 분쇄된 유골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 납골당(2)에 안치하는 방법으로, 가족 납골당(2)의 벽장공간부(3)에 형성된 유골한 내장실(4)의 구획된 유골함 수납대(9)을 이용하여 유골이나, 망자의 비품 등을 내입하여 보관한다.
유골한 내장실(4) 전면 개폐문(6)에 형성된 명패(5)에는 유골함 내장실(4)에 보관되어 있는 망자의 이름이나, 기타 망자를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하므로, 유골함 내장실(4)에 안치된 망자의 신분을 알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문서대(7)에는 망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기재하여, 참배을 위해 방문하는 조문객이나 참배객들에게, 망자의 대한 기억을 회상할 수 있는 자료 즉 사진, 그림, 기념패 등을 기록 또는 비취하여, 참배격이 망자에 대한 회상이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유골함 내장실(4) 하측에 형성된 비품 수납대(8)에는 조문이나 참배에 사용되는 경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가족 납골당(2)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 것이며, 이러한 본 고안은 납골당(1) 전체구역에서 외부와 독립된 개별 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구획된 일정 공간을 통해, 별도의 납골당으로서 가족 납골당(2)의 개념을 가지는 것이며, 구획된 공간은 참배객이 외부의 장애 없이, 망자를 기념하는의식이나 기타 행위를 할 수 있으며, 망자를 회상하면서 가족끼리 단란한 친목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망자를 위한 행위들이 전체 납골당(1)을 방문하는 타인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 독창적인 행위를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체적인 납골당(1) 내부에 별도의 공간으로 가족단위로 구성된 가족 납골당(2)을 형성하므로, 외부와 독립된 가족납골당(2)에서 선대별로 구별하여 다수개의 유골함을 유골함 내장실(4)을 이용하여, 영구히 보관할 수 있으며, 참배객들이 망자를 기념하기 위한 제사 및 종교의식이나 기념의식의 거행함에 있어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주변의 참배객에게 불편을 주거나 방해를 받지않고 경건하게 망자를 기념할 수 있으며, 참배객이 휴식하거나 침목을 도모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하게 납골당에 방문하여 기념하거나 참배하므로, 망자를 선의로 기념하는 한국인 정서에 부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체적인 납골당(1)에서 일정공간을 구획하여 구획된 공간을 가족 납골당(2)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 납골당에는 벽장 공간부(3)를 확보하고, 확보된 벽장 공간부(3)에 유골함 내장실(4)을 다단계의 층을 상· 하로 구비하여, 공동 또는 가족의 선대별의 유골을 보관하기 적합하게 하고, 그 전면에는 명패(5)가 새겨진 개폐문(6)을 형성하고, 전방면에 망자의 인적사항 등을 표시하는 문서대(7)를 형성하고, 유골함 내장실(4) 하측으로 비품을 수납하는 비품 수납대(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목 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KR2020010019569U 2001-06-25 2001-06-25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Expired - Fee Related KR200250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569U KR200250526Y1 (ko) 2001-06-25 2001-06-25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569U KR200250526Y1 (ko) 2001-06-25 2001-06-25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526Y1 true KR200250526Y1 (ko) 2001-10-19

Family

ID=7306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56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0526Y1 (ko) 2001-06-25 2001-06-25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5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20A (ko) * 2015-04-24 2016-11-02 장선옥 이동식 가족 납골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20A (ko) * 2015-04-24 2016-11-02 장선옥 이동식 가족 납골당
KR101687905B1 (ko) * 2015-04-24 2016-12-19 장선옥 이동식 가족 납골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98564B2 (en) Patron-accessible memorialization structures
US8087132B2 (en) Vessel for interring cremated remains and associated methods
US7703185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Khalili Places of memory and mourning: Palestinian commemoration in the refugee camps of Lebanon
US20050005409A1 (en) Portable grave time capsule
Caplan ‘NEVER AGAIN’: GENOCIDE MEMORIALS IN RWANDA.
Goodson Building for bodies: The architecture of saint veneration in early medieval Rome
Williams Remembering and Forgetting the Medieval Dead: Exploring death, memory and material culture in monastic archaeology
Crangle A Study of Post-Depositional Funerary Practices in Medieval England.
US7406754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7934298B1 (en) Memorials for deceased individuals
KR200250526Y1 (ko)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Grzyb Unsettled Memory
US9107791B2 (en) Container for cemetery mausoleum
CA2769135C (en) Container for cemetary mausoleum
Graham Discarding the destitute: ancient and modern attitudes towards burial practices and memory preservation amongst the lower classes of Rome
JP2008097059A (ja) 参拝システム
Kloner Did a rolling stone close Jesus' tomb?
Stevanović josip broz tito: hero oF the nation or traitor
US20190264462A1 (en) Memorial suite and a multi-floor building structure for housing same
Kearl Cremation: Desecration, purification, or convenience?
US20020133360A1 (en) Method for raising funds with burial structures
JP3251106U (ja) ふるさと合同墓
Blessing Buildings of Commemoration in Medieval Anatolia: The Funerary Complexes of Ṣāḥib ʿAṭā Fakhr al-Dīn ʿAlī and Māhperī Khātūn
Tylim Skyscrapers and Bones: Memorials to Dead Objects in the Culture of Des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6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10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3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