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9948Y1 - 전선 접속구 - Google Patents

전선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948Y1
KR200249948Y1 KR2020010021634U KR20010021634U KR200249948Y1 KR 200249948 Y1 KR200249948 Y1 KR 200249948Y1 KR 2020010021634 U KR2020010021634 U KR 2020010021634U KR 20010021634 U KR20010021634 U KR 20010021634U KR 200249948 Y1 KR200249948 Y1 KR 200249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s
wire
pressing pieces
operating force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이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미 filed Critical 이선미
Priority to KR2020010021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94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전선을 연결하거나 연결된 전선의 해제를 편리하게 하는 전선 접속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성 : 이 전선 접속구는, 연결 홀이 형성된 절연체의 바디(1), 이 바디의 연결 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된 도전체의 홈통(3), 이 홈통의 상측에 각각 제공되어 대향하는 전선의 일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1,2누름 편(5,7), 이 제1,2누름 편에 각각 조작력을 가하는 제1,2캠(9,11), 그리고 이 제1,2캠이 제1,2누름 편에 조작력을 가하거나 가해진 조작력의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2캠과 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제1,2토글 스프링(13,15)으로 구성되어 있다.
효과 : 이 전선 접속구는 홈통 상측에 제공되는 제1,2누름 편을 제1,2토글 스프링에 연결된 제1,2캠으로 조작케 함으로서, 제1,2토글 스프링이 제1,2캠을 조작된 상태로 유지시켜 줌에 따라 제1,2누름 편이 홈통에서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전선의 연결 및 연결 해제 조작 시, 제1,2캠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전선 접속구 {cable connector}
본 고안은 전선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 터치 방식으로 전선을 연결하거나 전선의 연결을 해제하는 전선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 접속구는 필요에 따라 다수의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즉, 전선 접속구는 각종 전기 기기 상호간의 연결, 전원에서 각종 기기로 전원을 분배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전선 접속구는 양측이 개방된 도전성 관체(51), 이 관체(51)를 삽입하여 사출 성형한 절연성 바디(53), 이 관체(51)의 내부에서 상, 하 이동하면서 관체(51)에 삽입된 전선(55,57)의 선단을 도전성 관체(51)에 고정시켜 전선 (55,57)을 상호 연결하는 도전성 누름 편(59), 그리고 이 누름 편(59)을 상, 하로 이동시키는 누름 나사(61)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선 접속구는 관체(51)와 누름 편(59) 사이에 전선(55,57)의 일 단을 대향 삽입하고, 누름 나사(61)를 조임으로서 누름 편(59)과 관체(51)로 전선 (55,57)의 양단을 견고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전선 접속구는 전선(55,57)의 연결에 대한 강한 신뢰감을 제공하지만, 전선(55,57)을 연결하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누름 나사(61)를 조이거나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전선을 연결하거나 연결된 전선의 해제를 편리하게 하는 전선 접속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는 전선 접속구는, 전선들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연결 홀을 구비하고 절연체로 성형되는 바디, 이 바디의 연결 홀에 각각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그 상측과 연결 홀 측이 개방된 도전체의 홈을 형성하는 홈통, 이 홈통의양측에 형성된 안내 홈에 돌기로 결합되어 각각 상, 하 이동하면서 하나의 홈통에 대향하는 전선의 일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1,2누름 편, 이 제1,2누름 편 각각의 상측에서 제1,2누름 편을 향하여 선회하면서 제1,2누름 편에 조작력을 가하도록 바디에 힌지로 장착되는 제1,2캠, 그리고 이 제1,2캠이 제1,2누름 편에 각각 조작력을 가하거나 가해진 조작력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1,2캠과 바디에 그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제1,2토글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2토글 스프링은 비틀림의 중심 부분이 자유 상태를 유지하고, 그 양단이 제1,2캠의 일측과 바디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을 연결하거나 전선의 연결을 해제할 때, 제1,2캠의 조작에 일정 범위 내의 절도 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제1,2토글 스프링의 제1,2캠 측 선단이 제1,2캠의 회전 중심인 힌지보다 하측에 위치할 때에는 제1,2캠이 제1,2누름 편에 조작력을 해제한 상태로 유지되며, 제1,2토글 스프링의 제1,2캠측 선단이 힌지보다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제1,2캠이 제1,2누름 편에 조작력을 가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 접속구는, 전선의 양단이 삽입되는 부분을 상측이 개방된 홈통과 제1,2누름 편으로 형성하고, 이 제1,2누름 편을 제1,2토글 스프링에 연결된 제1,2캠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제1,2토글 스프링이 제1,2캠을 조작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고, 이에 따라 제1,2누름 편이 홈통에서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전선의 연결 및 연결 해제 조작 시, 제1,2캠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전선 접속구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는 전선을 연결하는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전선의 연결 해제 상태도.
도 4는 전선의 연결 상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관련된 전선 접속구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3 : 홈통
5,7 : 제1,2누름 편
9,11 : 제1,2캠
13,15 : 제1,2토글 스프링
본 고안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전선 접속구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로서, 바디(1), 홈통(3), 제1,2누름 편(5,7), 제1,2캠(9,11), 그리고 제1,2토글 스프링(13,15)을 포함하여 전선 접속구를 구성하고 있다.
바디(1)는 전선 접속구의 외관을 절연체로 형성하며, 대향하는 전선(17,19)의 일단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 홀(21)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결 홀(21)은 바디(1)에 1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1쌍 이상의 전선(17,19)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는 2쌍의 전선(17,19)을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연결 홀(21)이 2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하여야 할 전선(17,19)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연결 홀(21)이 다수로 형성된 바디(1)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2개의 연결 홀(21)이 형성된 바디(1)를 다수 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바디(1)의 연결 홀(21)에는 전선(17,19)을 직접 연결하는 도전체의 홈통(3)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있다. 즉, 전선(17,19)의 선단이 연결되는 부분이 절연체의 바디(1)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홈통(3)은 그 상측(도 1에서, 이하 생략)이 개방되고 연결 홀(21) 측(도 1에서 좌, 우측)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통(3)의 상측에 제1,2누름 편(5,7)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홈통(3)의 측 방에는 안내 홈(23,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홈(23,25)에 결합되도록 제1,2누름 편(5,7)의 양측에는 돌기(27,2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2누름 편(5,7)은 돌기(27,29)가 안내 홈(23,25)에서 상, 하로 이동함에 따라 홈통(3)에 위치하는 전선(17,19)의 선단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누름 편(5,7)의 상측에는 각각 제1,2캠(9,11)이 힌지(31,33)로 선회 가능하게 바디(1)에 장착되어 있다. 제1,2캠(9,11)은 제1,2누름 편(5,7)의 상측에서 제1,2누름 편(5,7)을 향하여 선회하면서 그 외주가 제1,2누름 편(5,7)에 상하 방향의 조작력을 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2캠(9,11)은 힌지(31,33)에서 편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2캠(9,11)의 선회가 원활하도록 바디(1)의 상측에는 캠 선회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2캠(9,11)의 일 측에는 조작 돌기(37,39)가 형성되어 제1,2캠 (9,11)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이 조작 돌기(37,39)의 반대 측에 각각 제1,2토글 스프링(13,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돌기(37,39)는 불필요하게 조작되어 전선(17,19)의 연결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캠 선회 홈(35)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1,2캠(9,11)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제1,2토글 스프링(13,15)은 제1,2캠(9,11)이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제1,2토글 스프링(13,15)의 비틀림 부분은 자유 상태로 캠 선회 홈(35)에 위치하고, 그 양단은 제1,2토글 스프링(13,15)의 반대측 제1,2캠(9,11)과 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토글 스프링(13,15)의 제1,2캠(17,19) 측 선단이 제1,2캠(9,11)의 회전 중심인 힌지(31,33)보다 하측에 위치할 때에는 제1,2캠(9,11)이 제1,2누름 편(5,7)에 조작력을 해제한 상태로 유지되고, 제1,2토글 스프링(13,15)의 제1,2캠(9,11) 측 선단이 힌지(31,33)보다 상측에 위치할 때에는 제1,2캠(9,11)이 제1,2누름 편(5,7)에 조작력을 가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로 결합되는 제1,2토글 스프링(13,15)은 전선(17,19)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위하여 제1,2캠(9,11)을 조작할 때, 절도 감을 제공하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전선 접속구로 전선(17,19)을 연결하고, 전선 (17,19)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일 측 전선(17)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대향 측 전선(19)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9)이 해제된 상태에서 전선(17)의 선단을 홈통(3)과 제1누름 편(5) 사이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는 토글 스프링(13)의 선단이 제1캠(9)의 회전 중심인 힌지(31)에서 높이(h)만큼 하측(도 3에서)에 위치하게 된다.
제1캠(9)은 힌지(31)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회전하려는 회전 모멘트를 받게 되어 제1누름 편(27)에 조작력을 가하지 못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17)은 제1누름 편(27)과 홈통(3) 사이에서 단순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캠(9)의 조작 돌기(37)를 도 4의 상태로 조작하면, 제1캠(9)의 외주는 제1누름 편(27)에 조작력을 가한다.
이 조작력은 전선(17)으로 전달되어 전선(17)을 제1누름 편(27)과 홈통(3) 사이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토글 스프링(13)의 선단이 제1캠(9)의 회전 중심인 힌지(31)의 상측에 거리(l)만큼 우측(도 4에서)에 위치하게 된다.
제1캠(9)은 힌지(31)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 모멘트를 받게 되어 제1누름 편(27)에 조작력을 가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선(17)은 제1누름 편(27)과 홈통(3) 사이에서 연결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도 3,4와 같은 조작을 전선(17)의 대향 측 전선(19)에서도 동일하게 실시 할 경우, 전선(17,19)의 대향 단은 상호 연결 및 연결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 접속구는 전선의 양단이 삽입되는 부분을 상측이 개방된 홈통과 제1,2누름 편으로 형성하고, 이 제1,2누름 편을 제1,2토글 스프링에 연결된 제1,2캠으로 조작하게 구성함으로서, 제1,2토글 스프링이 제1,2캠을 조작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고, 이에 따라 제1,2누름 편이 홈통에서 조작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전선의 연결 및 연결 해제 조작 시, 제1,2캠에 형성된 조작 돌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가능함으로서, 누름 나사를 조이거나 풀어서 전선을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대향하는 전선의 일단을 연결하거나 전선의 연결을 해제하는 조작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Claims (1)

  1. 전선들의 대향하는 일단이 양측에서 삽입되는 다수의 연결 홀을 구비하여 절연체로 성형되는 바디(1),
    상기 바디의 상기 연결 홀들에 각각 인서트 성형되어 그 상측과 상기 연결 홀 측이 개방된 도전체의 홈을 형성하는 홈통(3),
    상기 홈통의 안내 홈에서 그 양측에 형성된 돌기로 결합되어 각각 상, 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홈통에 위치하는 상기 전선의 대향하는 일단을 각각 고정시키는 제1,2누름 편(5,7),
    상기 제1,2누름 편의 상측에서 상기 제1,2누름 편을 향하여 선회하면서 상기 제1,2누름 편에 조작력을 가하도록 상기 바디에 힌지로 장착되는 제1,2캠(9,11),
    상기 제1,2캠이 상기 제1,2누름 편에 각각 조작력을 가하거나 가해진 조작력을 해제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1,2캠과 상기 바디에 그 양단이 설치되는 제1,2토글 스프링(13,15)을 포함하는 전선 접속구.
KR2020010021634U 2001-07-18 2001-07-18 전선 접속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249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34U KR200249948Y1 (ko) 2001-07-18 2001-07-18 전선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34U KR200249948Y1 (ko) 2001-07-18 2001-07-18 전선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948Y1 true KR200249948Y1 (ko) 2001-11-17

Family

ID=7310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63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9948Y1 (ko) 2001-07-18 2001-07-18 전선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948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91B1 (ko) 2006-03-15 2009-03-09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KR100933460B1 (ko) 2009-09-22 2009-12-23 (주)정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KR100943203B1 (ko) 2008-03-21 2010-02-2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KR100976533B1 (ko) * 2008-03-05 2010-08-17 (주) 동원엔지니어링 전기 케이블 커넥터
WO2011034265A1 (ko) * 2009-09-17 2011-03-24 Lee Young Hwan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099002B1 (ko) 2011-03-08 2011-12-29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143452B1 (ko) 2010-06-21 2012-05-22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WO2014084436A1 (ko) * 2012-11-28 2014-06-05 주식회사 조우테크 무탈피 다접점 전자 및 전기기구 접속용 커넥터
KR20210089844A (ko) 2020-01-09 2021-07-19 한을수 2극 전선 연결 커넥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791B1 (ko) 2006-03-15 2009-03-09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속결단자장치 및 배선기구
KR100976533B1 (ko) * 2008-03-05 2010-08-17 (주) 동원엔지니어링 전기 케이블 커넥터
KR100943203B1 (ko) 2008-03-21 2010-02-2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WO2011034265A1 (ko) * 2009-09-17 2011-03-24 Lee Young Hwan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026503B1 (ko) * 2009-09-17 2011-04-0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KR100933460B1 (ko) 2009-09-22 2009-12-23 (주)정엔지니어링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KR101143452B1 (ko) 2010-06-21 2012-05-22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101099002B1 (ko) 2011-03-08 2011-12-29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
WO2014084436A1 (ko) * 2012-11-28 2014-06-05 주식회사 조우테크 무탈피 다접점 전자 및 전기기구 접속용 커넥터
KR20210089844A (ko) 2020-01-09 2021-07-19 한을수 2극 전선 연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141B2 (en) Transfer plug for a variety of sockets
US570016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female and male contacts of cables
JP3100036U (ja) ガイドピン係合手段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装置
US5591046A (en) Electrical cord clamp
US6116945A (en)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US6935878B2 (en) Electrical plug with pivotable and retractable terminals
KR200249948Y1 (ko) 전선 접속구
US4477132A (en) Connector for twin axial cable
US8007307B2 (en) Connector with fastening and extension plates for fastening cover thereof to body thereof
KR900003571B1 (ko) 케이블 결속단자대
US6716044B2 (en) Eject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use
US6333846B1 (en) Power supply shut-off apparatus
GB2226191A (en) Pin plug connector
US5588870A (en) Electrical cord clamp
US12261404B2 (en) Terminal block with handle structure
JP2568730Y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A1116711A (en) Electrical ribbon connector and hood
US7396251B2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stress relief
US4081641A (en) Toggle switch with hinged split housing and insulation piercing contacts
CA2327868A1 (en) Self-aligning electrical interconnect
US7137845B2 (en) Plug connector
CN111416228B (zh) 电缆快速拆接用耦合器
US5338222A (en) Clamping assembly for electrical cables
EP4195417A1 (de) Kabelanschlussdose zum werkzeuglosen anschluss eines anschlusskabels
KR19990083703A (ko) 전원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7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719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31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