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9166Y1 -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166Y1
KR200249166Y1 KR2020010017234U KR20010017234U KR200249166Y1 KR 200249166 Y1 KR200249166 Y1 KR 200249166Y1 KR 2020010017234 U KR2020010017234 U KR 2020010017234U KR 20010017234 U KR20010017234 U KR 20010017234U KR 200249166 Y1 KR200249166 Y1 KR 200249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lamp
bosses
ho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7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166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 내면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커티시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도어판넬(20)에 하우징요입공(23)을 형성하고 맵포켓(30)의 보스(31)(31')사이에 압착요입단부(33)와 삽착돌기(34)를 형성하며, 커티시램프(40)를 이루는 램프하우징(41)의 좌우에 홀(42)(42')을 천공한 연결프레임(43)(43')과 이 연결프레임(43)43')사이에 삽착공(45)(45')과 훅크홀(46)을 구비한 접합테두리(44)를 길게 형성하고, 투광창(50)에는 훅크(52)를 구비한 접합테두리(51)을 형성하여 접합테두리(44)와 접합테두리(51)를 맞대접한 상태에서 훅크(52)를 훅크홀(46)에 삽착하여 투광창(50)을 램프하우징(41)에 연결하고 홀(42)(42')을 보스(31)(31')의 외경에 끼워 삽착공(45)(45')을 맵포켓(30)의 삽착돌기(34)에 삽착시켜 커티시램프(40)를 맵포켓(30)에 연결하고 보스(31)(31')를 도어판넬(20)의 구멍(21)(22)에 일치시켜 스크류(12)(12')를 구멍(21)(22)을 통하여 보스(31)(31')의 나사공(32)(32')에 나사조임하여 도어판넬(20)에 맵포켓(30)과 커티시램프(40)를 한번에 조립되도록 하므로서 그 구성을 간편하게 하여 제작과 조립작업을 간편화하고 외부로 스크류를 나타내지 않도록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보이게 되는 효과를 나타 내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Appartus for door courtesy lamp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내면에 형성한 맵포켓의 외면에 설치하여 도어 열림을 후속차량에 알려주어 도어에 부딪침을 방지하기기위한 주의 표시용으로 사용하게되는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내면에 설치되는 커티시램프는 자동차의 주.정차시에 도어를 열었을 때 점등되도록하여 자동차 후방에서 앞쪽로 오는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과 같은 후속 차량에 열린 도어에 부딪침을 방지하기 위한것으로서, 종래의 케티시램프는 도어판넬 내면에 형성한 맵포켓의 하단측 외면에 램프를 내장한 램프하우징을 스크류로 직접 연결하여 커티시램프를 설치하였던 것으로서, 이는 커티시팸프의 외면에 스크류의 두부가 나타나보이는 것이어서 외관상 좋지못할 뿐만아니라 램프의 불빛이 하향으로 비추게되어 지면에는 좀 밝게 비추나 실질적으로 후속차량의 시야에 얼른 들어오지 않게되어 도어 열림알림에 부족함이 있는 것이고, 또 커티시램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많은 부품을 필요로하게되어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또 설치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것이며, 또한 다른 종래의 것으로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판넬(100)에 두 개의 스크류(101)(102)로 장착되어지는 맵포켓(103)에 일정높이의 운두(104)를 갖는 오목한 받침(105)을 형성하여 상기 받침(105)에 램프(106)를 연결하는 램프하우징(107)을 두개의 스크류(108)(109)로 연결하고 상기 운두(104)의 내경에 형성한 턱(104')과 램프하우징(107) 사이에 투광창(110)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플랜지(110')를 끼워넣어 투광창(110)을 끼워서 되는 것이므로 맵포켓(103)에 오목한 운두(104)와 받침(105)을형성하기위한 금형제작상 어려움이 있는 것이고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조립하는데 있어서도 부품수도 많이 들어 도어판넬업체의 부품 추가와 조립공정수가 추가되는 문제가발생하는 것이며, 투광창(110)의 외부에서 내측의 스크류(108)(109)가나타나 보이게되어 이역시 외관상 미려하지 않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이 간편하고 조립하는데 부품수가 적게들며 외관상으로 스크류가 보이지않아 미려하게 보이게 되는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기재된목적을 제공하는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는 좌우에 구멍과 하우징요입공을 천공한 도어판넬과, 나사공을 굴설한 보스와 수개의 삽착돌기를 구비한 맵포켓과, 홀을 형성한 연결프레임을 좌우에 형성하고 수개의 삽착공과 훅크홀을 갖는 접합테두리를 일주연부에 형성하여서되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훅크홀에 삽착되는 훅크를 형성한 투광창으로 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을 자동차 도어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종래것의 조립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도어판넬. 21,22............. 구멍.
23................ 하우징요입공. 30................ 맵포켓.
31,31'............ 보스. 32,32'............ 나사공.
33................ 압착요입단부. 34................ 삽착돌기.
40................ 커티시램프. 41................ 램프하우징.
42,42'............ 홀 43,43'............ 연결프레임
44,51............. 접합테두리. 45,45'............ 삽착공.
46................ 훅크홀. 47................ 램프체결공.
50................ 투광창. 52................ 훅크.
도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조립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을 자동차 도어 내면에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보면, 도어(10) 내면의 도어판넬(20)에 형성한 구멍(21)(22)에 맵포켓(30)의 보스(31)(31')를 끼워 맞추어 스크류(12)(12')로 상기 보스(31)(31')의나사공(32)(32')에 나사조임하여 맵포켓(30)을 부착하고 상기 맵포켓(30)의 하방측에 커티시램프(40)를 장착하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넬(20)에는 하우징요입공(23)을 형성하고 상기 맵포켓(30)에는 압착요입단(33)을 형성하며,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커티시램프(40)는 램프하우징(41)과 반투명상의 투광창(50)을 별도로 형성하는데 램프하우징(41)은 오목하게 형성하여 그 좌우측에 홀(42)42')를 구비한 연결프레임(43)(43')과 상기 연결프레임(43)(43')를 잇는 램프하우징(41)의 일측 둘레에 형성한 접합테두리(44)에는 삽착공(45)(45')과 수개의 훅크홀(46)를, 램프하우징(41)의 바닥에는 램프체결공(47)을 형성하고, 반투명상의 투광창(50)은 접합테두리(51)에 수개의 훅크(52)을 형성하여 훅크(52)를 훅크홀(46)에 끼워넣어 접합테두리(51)를 접합테두리(44)에 맞닿게한 상태로하여 투광창(50)을 램프하우징(41)에 조립되도록하고, 상기 램프체결공(47)에 램프(48)를 끼워넣은후 램프하우징(41)의 홀(42)(42')를 맵포켓(30)의 보스(31)(31') 외경에 끼운다음 삽착공(45)(45')을 삽착돌기(34)에 삽착하여 커티시램프(40)를 맵포켓(30)에 우선 조립하고 이후 램프하우징(41)을 도어판넬(20)의 하우징요입공(23)에 끼우고 맵포켓(30)의 보스(31)(31')를 도어판넬(20)의 구멍(21)(22)과 일치되게 대접하여 스크류(12)(12')를 구멍(21)(22)으로부터 맵포켓(30)의 보스(31)(31')에 형성한 나사공(32)(32')에 나사조임하여 맵포켓(30)을 도어판넬(20)에 부착하여 커티시램프(40)를 도어(10)의 내면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훅크(52)를 훅크홀(46)에 상탁하여 투광창(50)을 램프하우징(41)에 체결하고, 램프하우징(41)의 연결프레임(43)(43')에 형성시킨 홀(42)(42')를 맵포켓(30)의 보스(31)(31')외경에 끼운다음 보스(31)(31')를 도어판넬(21)의 구멍(21)(22)과 일치시킬 때 램프하우징(41)이 도어판넬(20)의 하우징요입공(23)에 요입되도록하여 스크류(12)(12')를 구멍(21)(22')으로부터 보스(31)(31')의 나사공(32)(32')에 나사조임하여 도어판넬(20)과 맵포켓(30) 및 커티시램프(40)를 동시에 조립되도록한 것이므로 종래 도4에서 보는 바와같이 스크류가 외부로 나타나 보이지 않는 것이어서 외관상 미려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 내는 것이다.

Claims (1)

  1. 구멍(21)22)을 천공한 도어판넬(20)에 하우징요입공(23)을 형성하고, 나사공(32)(32')을 굴설한 보스(31)(31')를 구비한 맵포켓(30)에 압착요입단부(33)와 삽착돌기(34)를 형성하며, 커티시램프(40)를 이루는 램프하우징(41)의 좌우에는 홀(42)(42')을 천공한 연결프레임(43)(43')과 상기 램프하우징(41)의 일주연부에 수개의 삽착공(45)(45')과 훅크홀(46)을 구비한 접합테두리(44)를 형성하며, 투광창(50)에는 수개의 훅크(52)를 갖는 접합테두리(51)를 형성하여 훅크(52)를 훅크홀(46)에 삽착하여 투광창(50)을 램프하우징(41)에 연결하고, 상기 보스(31)(31') 외경에 홀(42)을 끼워 삽착돌기(34)에 삽착공(45)을 연결한다음 보스(31)(31')를 구멍(21)(22)과 일치대게 대접하여 스크류(12)(12')를 구멍(21)(22)으로부터 보스(31)(31')의 나사공(32)(32')에 나사조임하여 도어판넬(20)에 맵포켓(30)과 커티시램프(40)를 동시에 조립하도록 구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하는 차동차 도어의 커티시 램프장치.
KR2020010017234U 2001-06-09 2001-06-09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 KR200249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34U KR200249166Y1 (ko) 2001-06-09 2001-06-09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34U KR200249166Y1 (ko) 2001-06-09 2001-06-09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166Y1 true KR200249166Y1 (ko) 2001-11-16

Family

ID=7308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234U KR200249166Y1 (ko) 2001-06-09 2001-06-09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1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31B1 (ko) 2009-07-23 2011-05-02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커티시 램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31B1 (ko) 2009-07-23 2011-05-02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커티시 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9166Y1 (ko) 자동차 도어의 커티시램프장치
CN211011094U (zh) 一种模块化组合的户外照明设备
US20030161156A1 (en) Surface-mounted, billet-formed ball-type headlight mount
US20030043050A1 (en) Indicator light device of a computer front panel
CN218409765U (zh) 一种带有厚壁件的汽车灯具
CN101332844A (zh) 摩托车后视镜结构
CN211716478U (zh) 一种车灯
CN213513435U (zh) 明装筒灯
CN211575011U (zh) 一种基于led光源的汽车后组合灯
CN211475822U (zh) 一种机动车后尾灯
CN221497891U (zh) 一种保险杠上集成的汽车发光标结构
KR0131664Y1 (ko) 방향지시등과 안개등이 일체로된 오토바이용 등
KR0131842Y1 (ko) 자동차 도어의 내판과 내부장식판의 결합구조
CN215892139U (zh) 天花灯
CN213577301U (zh) 汽车贯穿尾灯
CN210191313U (zh) 一种汽车组合灯堵盖
US5909956A (en) Motorcycle turn signal lens cover
KR200386713Y1 (ko) 오토바이용 표시등
KR100475950B1 (ko) 자동차용 실내등의 마운팅 구조
KR970005204Y1 (ko) 자동차 범퍼의 방향지시등 체결구조
KR890004626Y1 (ko) 자동차용 스피커케이스에 내장된 보조 안전등
KR200262378Y1 (ko) 자동차용 기 게양장치
KR200225493Y1 (ko) 차량의실내등장착구조물
KR200315615Y1 (ko) Pdp 전원램프와 감지부의 일체형 조립구조 및 그것을포함하는 pdp케이스
KR0139592Y1 (ko) 자동차용 스톱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6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6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