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9104Y1 -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104Y1
KR200249104Y1 KR2020010019460U KR20010019460U KR200249104Y1 KR 200249104 Y1 KR200249104 Y1 KR 200249104Y1 KR 2020010019460 U KR2020010019460 U KR 2020010019460U KR 20010019460 U KR20010019460 U KR 20010019460U KR 200249104 Y1 KR200249104 Y1 KR 200249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needle
plunger
needle hub
conical 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 왕
충-흐신 양
Original Assignee
린 왕
충-흐신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 왕, 충-흐신 양 filed Critical 린 왕
Priority to KR2020010019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10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럴의 전방 단부상에 형성된 리테이닝 장치, 상기 리테이닝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대응하도록 바늘 허브상에 형성된 다수의 보스, 바늘 허브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 및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도록 플런저상에 형성된 다수의 경사진 이를 구비하며, 리테이닝 장치와 바늘 허브의 보스 사이의 맞물림이 경사진 이와 오목부의 조합에 의한 바늘 허브와 플런저의 회전 이동에 의해 해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기{SAFETY SYRINGE}
본 고안은 주사기, 특히 바늘 허브상에 형성된 래치트 장치와 플런저의 한쪽 단부상에 형성된 환상의 경사진 이(annular inclined teeth)를 구비하는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 배럴이 바늘 허브쪽으로 밀려지면 래치트 장치와 경사진 이 사이의 맞물림이 플런저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바늘을 구비한 바늘 허브를 배럴 내측으로 끌어당겨 사용된 바늘에 의해 사람이 찔리는 것을 방지한다.
플라스틱 캡은 사람들이 사용된 바늘에 의해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을 덮도록 주사기의 중공 배럴상에 항상 장착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중공 배럴상에 캡을 둘 때 종래의 캡을 쥐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된 바늘에 의해 찔릴 수 있다. 또한, 사용된 바늘은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게 위해 녹이거나 또는 태워 폐기하여야 한다. 그러나, 플라스틱 캡 및 바늘 허브와 함께 바늘을 녹이거나 또는 태울 때 유해 가스가 발생된다.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된 바늘에 의해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사기에 안전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가 주사기의 바늘 허브와 플런저상에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가 주사기의 중공 배럴내로 완전하게 밀려지면 클램프는 서로를 맞문다. 바늘을 구비한 바늘 허브는 플런저가 뒤로 끌어당겨지면 해제되어 배럴내로 완전하게 끌어당겨지게 된다. 사용된 바늘은 어떠한 접촉이나 찔림으로부터 바늘을 유지하도록 중공 배럴내에 완전히 동봉되어 유지된다.
그러나, 클램프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특정 몰드가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의 안전 장치를 구비한 주사기 제조에는 고비용이 든다. 또한, 주사기 전체는 중공 배럴, 플런저 및 허브를 포함하기 때문에 바늘을 녹이거나 또는 태울 때 유해 가스가 생성되게 된다.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럴 내측으로 사용된 바늘을 끌어당기는 개선된 주사기의 개발이 주안점이 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안전 주사기는 중공 배럴(10), 플런저(20), 바늘 허브(30) 및 바늘(40)을 포함한다.
바늘 허브(30)는 바늘 허브(30)의 후방 단부내의 수용 구멍(301)과 이 수용 구멍(301) 내측에 형성된 쇼울더(302)를 형성한다. 플러저(20)는 수용 구멍(301)에 대응하기 위한 플런저(2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원뿔형 헤드(201)를 가진다. 이 배열에 있어서, 플런저(20)가 바늘 허브(30) 쪽으로 배럴(10) 내측을 이동하여 바늘 허브(30)와 맞물리면, 원뿔형 헤드(201)가 수용 구멍(301)의 내측에 간섭끼움된다. 쇼울더(302)의 형성으로 인해, 원뿔형 헤드(201)는 수용 구멍(301) 내측에 고정되며, 플런저(20)가 중공 배럴(10)의 단부로 전부 밀려진 후, 플런저(20)가 배럴(10) 내측으로 뒤로 끌어당겨지면 바늘(40)과 함께 바늘 허브(30)가 동시에 배럴(20) 내측으로 끌어당겨진다(도 2 참조).
그러나, 바늘 허브(30)를 배럴(10) 내측으로 용이하게 끌어당기기 위해서는 바늘 허브(30)와 배럴(10)의 맞물림이 느슨하여야 하며, 달리 표현하면, 바늘 허브(30)와 배럴(10)의 내부 원주부 사이의 마찰이 플런저(20)와 바늘 허브(30) 사이의 접속을 압도할 수 있어야 하며, 바늘 허브(30)는 양호하게 배럴(10)내로 뒤로 끌어당겨지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바늘 허브(30)와 배럴(10) 사이의 맞물림이 느슨하다면 배럴 내측의 용액이 누설되어 양호하게 주사될 수 없게 된다. 또한, 바늘(40)이 코크(51)를 통하여 용기(50)내로 삽입되면, 바늘 허브(30)는 배럴(10)내에서 대향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바늘 허브(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원뿔형 헤드(201)와 쇼울더(302) 사이의 맞물림은 서로 확실하게 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바늘 허브(30)가 배널(10)내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쇼울더(302)와 원뿔형 헤드(201) 사이의 너무 이른 맞물림은 배널(10)내의 잔류 용액의 증가를 가져온다.
그러나, 바늘 허브(30)와 배럴(10) 사이의 맞물림이 증가되었다면, 배럴(10)로 바늘(40)을 구비한 바늘 허브(30)를 끌어당기기 위한 힘이 증가되어 사용자에게 추가 부담을 지우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늘 허브(30)와 배널(10) 사이의 맞물림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용 구멍(301)의 직경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원뿔형 헤드(201)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것은 수용 구멍(301)내로 원뿔형 헤드(201)를 삽입하는 수고가 필연적으로 증가되며, 이는 사용자에게 있어 가장 부적합한 사항이다.
종래의 주사기의 다른 결점은 사용자가 주사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원뿔형 헤드(201)와 쇼울더(302) 사이의 맞물림에 종종 인도되는 배럴(10) 내측의 공기를 배럴에서 평소대로 배출하여야 하며, 그 결과로 원뿔형 헤드(201)와 쇼울더(302) 사이의 너무 이른 맞물림에 의한 미사용 주사기를 허비하게 된다.
종래의 주사기의 또 다른 결점은 바늘(40)이 배럴(10)내로 뒤로 끌어당겨질 때 바늘이 측면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공된 위치지정 장치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플런저가 배널내로 전방으로 밀려질 때, 바늘(40)의 경사진 각도가 충분하지 않으면 바늘(40)은 배럴(10)의 출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배럴(10) 밖으로 더욱 연장할 것이다. 더우기, 배럴(10)이 지면에 면하고 있다면 중력효과에 의해 바늘은 배럴 밖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에게 우발적인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완화하거나 또는 경감하기 위한 개선된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늘을 구비한 바늘 허브가 배럴내로 후방으로 쉽게 끌어당겨질 수 있도록 바늘 허브에 대한 배럴의 제한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한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늘 허브가 배럴과 슬라이딩가능하게 누설없이 맞물리도록 바늘 허브와 배럴 사이의 맞물림에 의한 배럴 내측의 용액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늘 허브의 한쪽 단부상에 형성된 래치트 장치와 바늘 허브의 래치트 장치에 대응하는 플런저의 한쪽 단부상에 형성된 경사진 이를 구비하여, 래치트 장치와 경사진 이 사이의 맞물림이 바늘을 구비한 바늘 허브의 배널내로의 후퇴가 용이한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뿔형 전방 단부, 배럴의 홈통에 대응하는 전방 단부의 원주부에 형성된 다수의 보스, 축방향으로 형성된 구멍, 이 구멍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수용 구멍, 경사진 이에 대응하는 수용 구멍의 원주부내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 및 수용 구멍의 원주부내 및 플런저의 원뿔형 헤드에 대응하는 오목부 위에 형성된 쇼울더를 구비하는 바늘 허브의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플런저가 배럴의 단부로 밀려져 바늘 허브와 맞물린 후에 바늘 허브가 플런저와 단단하게 맞물려 의학 자원은 낭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뿔형 헤드와 이 원뿔형 헤드에 대응하는 대응하는 쇼울더를 갖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런저가 바늘 허브에 맞물리도록 플런저를 실수로 밀더라도 플런저를 회전시키지 않으면, 플런저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래치트 장치의 작용에 의해 바늘 허브를 해제하도록 플런저를 끌어당길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주사기의 단면도;
도 2는 바늘 허브가 배럴내로 끌어당겨진 상태의 도 1에 도시된 주사기의 단면도;
도 3은 바늘 허브와 배럴 사이의 느슨한 접속에 의해 배럴내로 후방으로 밀려진 바늘을 구비한 바늘 허브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원뿔형 헤드 또는 수용 구멍 구성이 배럴과 바늘 허브 사이의 접속력을 증가시키도록 변형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럴의 전방 단부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바늘 허브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바늘 허브와 접속하기 위한 배럴 내측의 플런저의 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바늘 허브와 단단하게 접속하기 위한 플런저의 회전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도 12는 배럴내로 후방으로 끌어당겨진 바늘을 구비한 바늘 허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럴 2 : 플런저
3 : 바늘 허브 4 : 바늘
11 : 구멍 13 : 테이퍼
21 : 넥 22 : 고무 시일
23 : 원뿔형 헤드 24 : 경사진 이
25 : 푸시 로드 26 : 플랜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는 배럴(1), 플런저(2), 바늘허브(3) 및 바늘(4)을 구비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은 축방향으로 관통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럴의 전방 단부상에 형성된 리테이닝 장치(retaining device)(110)를 구비한다. 리테이닝 장치는 관통 구멍(11)을 형성하는 내부 원주부상에 형성된 다수의 등간격으로 띄어진 핑거(111)를 구비하며, 홈통(112)이 2개의 인접한 핑거(111)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핑거는 L자 형상으로, 각각의 홈통(112)도 또한 L자 형상을 이룬다. 관통 구멍(11)의 단부는 배럴(1)로부터 플런저가 쉽게 빠지도록 배럴(1)로부터 플런저(2)를 후퇴시키기기 위해 그의 내부 원주부에 테이퍼부(13)를 가진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플런저(2)는 고무 시일이 끼워지도록 전방 단부에 형성된 넥(21), 넥(21)으로부터 돌출하는 원뿔형 헤드(23), 다수의 공간적으로 형성된 경사진 이(24), 원뿔형 헤드(23)의 단부상에 형성된 탄성 푸시 로드(25) 및 탄성 푸시 로드(25)에 대해 대향하여 플런저(2)에 형성된 플랜지(26)를 구비한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늘 허브(3)는 원뿔형 전방 단부(31), 배럴(1)의 홈통(112)에 대응하도록 전방 단부(31)의 원주부상에 형성된 다수의 보스(32), 축방향으로 형성된 구멍(33), 상기 구멍(33)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수용 구멍(34), 경사진 이(24)에 대응하도록 수용 구멍(34)의 원주부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35) 및 플런저(2)의 원뿔형 헤드(23)에 대응하도록 수용 구멍(33)의 원주부내에서 오목부(35) 위에 형성된 쇼울더(36)를 구비한다. 바늘 허브(3)는 그의 전방 단부(31)상에서 바늘(4)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시일 링(37)은 배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바늘 허브(3)상에 장착되어 있다.
바늘(4)은 슬리브(41)와 금속 튜브(42)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주사기가 조립될 때, 바늘 허브(3)는 바늘(4)의 슬리브(41)내로 삽입되어 바늘(4)과 간섭끼움된다. 그 후, 바늘(4)을 구비한 바늘 허브(3)는 배널(1)내로 삽입되어 각각의 보스(32)가 대응하는 하나의 홈통(112)에 수용되어지며, L자 형상 핑거(111)에 의해 클램핑된다. 바늘 허브(3와 바늘(4)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보스(32)가 홈통(112)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바늘(4)을 구비한 바늘 허브(3)가 배럴(1)과 단단하게 접속될 수 있다. 바늘 허브(3)와 바늘(4)은 도 3과 같이 바늘이 코크내로 삽입될 때 배럴(1) 내측으로 밀려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사기는 사용시에, 사용자는 플런저(2)를 배럴(1)내로 삽입한다. 고무 시일(22)에 의해 플런저(2)의 넥(21)에 단단하게 수용되기 때문에 배럴(1) 내측의 용액은 배럴 밖으로 완전하게 주사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용액이 배럴(1) 내측에서 비워진 후, 사용자는 계속해서 플런저(2)를 밀어 원뿔형 헤드(23)에 힘을 가하여 푸시 로드(25)가 수용 구멍(34)내로 연장하도록 하여, 탄성 푸시 로드(25)가 구멍(33)의 내부 원주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플런저(2)의 원뿔형 헤드(23)가 수용 구멍(34)내로 연장하면, 경사진 이(24)는 오목부(35)에 수용되며, 넥(21)과 원뿔형 헤드(23) 사이의 결합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울더(36)를 맞문다.
이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경사진 이(24)와 오목부(35) 사이가 맞물리도록 플런저(2)를 회전시키고, 보스(35)로의 L자 형상 핑거(111)의 제한을 해제하도록 바늘 허브(3)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보스(32)로의 핑거(111)의 제한이 해제된 후, 쇼울더(36)로의 원뿔형 헤드(23)의 맞물림은 사용자가 바늘(4)을 구비한 바늘 허브(3)를 배럴(1)내로 뒤로 끌어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바늘(4)을 구비한 바늘 허브(3)가 배럴(1)내로 뒤로 끌어당겨지면, 탄성 푸시 로드(25)는 배럴(1)의 관통 구멍(11)로의 바늘(4)을 구비한 바늘 허브(3)의 정렬을 오프셋시키도록 바늘(4)을 구비한 바늘 허브(3)에 대하여 눌려져 주사기의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한다.
사용자가 바늘 허브(3)의 쇼울더(36)에 원뿔형 헤드(23)가 맞물리도록 플런저를 실수로 밀더라도 플런저(2)를 회전시키지 않으면, 사용자는 플런저(2)를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래치트 장치의 작용에 의해 플런저(2)가 바늘 허브(3)와 해제되도록 끌어당길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수의 특징 및 이점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형상, 크기 및 주요 부품의 배열은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중공 배럴이 바늘 허브쪽으로 밀려지면 래치트 장치와 경사진 이 사이의 맞물림이 바늘 허브와 배럴 내측의 바늘을 함께 끌어당기고 플런저가 뒤로 당겨져 사용된 바늘에 의해 사람이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축방향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과 그의 전방 단부 내측에 형성된 리테이닝 장치를 구비하는 배럴;
    배럴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고무 시일이 끼워지도록 그의 전방 단부상에 형성된 넥, 상기 넥으로부터 돌출하는 원뿔형 헤드, 다수의 공간적으로 형성된 경시진 이 및 원뿔형 헤드에 대해 대향하여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하는 플런저;
    상기 배럴과 탈착가능하게 맞물리며, 상기 배럴의 리테이닝 장치에 회전가능하게 대응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보스를 갖는 원뿔형 전방 단부, 상기 배럴의 관통 구멍과 대응하여 연통하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구멍, 상기 구멍과 배럴의 관통 구멍과 연통하여 플런저의 원뿔형 헤드가 연장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 구멍, 상기 경사진 이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 및 플런저의 원뿔형 헤드에 대응하도록 상기 수용 구멍의 원주부내에 형성된 쇼울더를 구비하는 바늘 허브; 및
    상기 바늘 허브의 원뿔형 전방 헤드와 단단하게 맞물리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와 단단하게 맞물리는 금속 튜브를 구비하는 바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스는 경사진 이와 오목부의 맞물림에 의해 핑거의 클램프로부터 회전가능하게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장치는 상기 보스를 클램핑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L자 형상 핑거와 상기 보스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홈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허브의 수용 구멍의 내부 원주부에 수용되어 접촉하는 탄성 푸시 로드가 원뿔형 헤드의 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KR2020010019460U 2001-06-28 2001-06-28 주사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49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60U KR200249104Y1 (ko) 2001-06-28 2001-06-28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60U KR200249104Y1 (ko) 2001-06-28 2001-06-28 주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134A Division KR100436991B1 (ko) 2001-09-12 2001-09-12 안전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104Y1 true KR200249104Y1 (ko) 2001-10-17

Family

ID=7310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46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9104Y1 (ko) 2001-06-28 2001-06-28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1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45476A1 (en) * 2001-11-27 2003-06-05 Geo Seong Pok Safety syringe
KR100456099B1 (ko) * 2002-01-28 2004-11-06 주식회사 세즈메디컬 안전주사기
KR100947793B1 (ko) * 2001-08-01 2010-03-15 가부시키가이샤 네모또 쿄린도 주입기 배럴 및 실린더 지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793B1 (ko) * 2001-08-01 2010-03-15 가부시키가이샤 네모또 쿄린도 주입기 배럴 및 실린더 지지구
WO2003045476A1 (en) * 2001-11-27 2003-06-05 Geo Seong Pok Safety syringe
KR100456099B1 (ko) * 2002-01-28 2004-11-06 주식회사 세즈메디컬 안전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5576C (en) Safety syringe
JP4153503B2 (ja) 引き込み可能な歯科用シリンジに用いられるカルプル
US5342323A (en) Retractable needle syringe and capping system
US20100179487A1 (en) Safety syringe
CA2010508A1 (en) Protective device and syringe
RU2149029C1 (ru) Безопасный шприц
JPH08276012A (ja) 安全針シールドを持つ注射器
IL186371A (en) Injection device
EP1011766A1 (en)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assembly
US6692470B2 (en) Single-use hypodermic syringe having a removable needle assembly
US6669666B2 (en) Safety syringe
CA2381502A1 (en)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holder
JP2005169102A (ja) カルプルに使うよう意図された針保護装置、及びカルプルとこの保護装置とを具備する注射装置
JP4471630B2 (ja) 使い捨て注射器
WO2010059345A2 (en) Hinged cap for needle device
CA2409297C (en) Retractable needle and syringe combination
AP413A (en) Syringe
KR200249104Y1 (ko) 주사기
KR20030002290A (ko) 주사기
EP1231963B1 (en) Syringe of single-use type intended for injection or lab tests
CN100394991C (zh) 回缩式安全注射针筒
EP1442763A1 (en) Safety syringe with needle retracted by vacuum
US7189216B2 (en) Coupling structure for self-destruction and safety syringe
AU781969B2 (en)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holder
KR200161888Y1 (ko) 외부적으로 접속가능하고 내부적으로 철회가능한 자기-경사식 바늘을 가지는 안전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6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6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