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8942Y1 -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942Y1
KR200248942Y1 KR2020010013962U KR20010013962U KR200248942Y1 KR 200248942 Y1 KR200248942 Y1 KR 200248942Y1 KR 2020010013962 U KR2020010013962 U KR 2020010013962U KR 20010013962 U KR20010013962 U KR 20010013962U KR 200248942 Y1 KR200248942 Y1 KR 200248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bolt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2020010013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94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유리문의 외측에서 손잡이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및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현관유리문(50)의 외부에서 외부손잡이(55)의 손잡이(56)와 고정판(58)상간에 형성되는 공간(S)을 통하여 외부손잡이(55)와 도어록(51)을 해제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내,외부손잡이(53,55)를 고정하는 체결볼트(60)를 중앙에는큰 직경의 볼트바디(70)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바디(70)의 후측으로는 외부손잡이(55)의 고정판(58)에 형성되는 체결공(7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72)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바디(70)의 전측으로는 내부손잡이(53)의 고정판(58)에 형성되는 체결공(73)과 결합되어 너트(61)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74)가 형성된 볼트부(75)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볼트(60)의 고정돌기(72)를 절곡시켜 볼트바디(70)와 외부손잡이(55)의 고정판(58)을 클램핑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Handle for door}
본 고안은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문의 중간위치에 도어록을 설치할 때 유리문의 외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를 통하여 도어록의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도난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현관문은 도난의 우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목재 또는 금속재로 구성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고, 현관문에 설치되는 도어록의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건축물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거나 내부에 전시된 물품의 시각적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관문을 유리재질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현관문을 시건하기 위한 도어록이 유리문의 상,하단부에 고정되는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도어프레임과 시건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는 유리문의 손잡이가 대부분 봉체타입으로 구성되고 일부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유리문에 결합되는 손잡이도 있으나, 유리문의 특성상 일반적인 목재나 철재현관문과 같이 유리문의 중간위치에 도어록을 설치할 경우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다.
특히 판상타입의 손잡이에 도어록을 설치할 경우에는 외부손잡이에 도어록과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및 너트를 풀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도어록을 설치한경우에도 쉽게 도난의 우려가 따른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현관유리문(1)은 도 5에서와 같이, 상,하단부에 금속재의 유지판(2)을 고정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3)과 힌지 결합되는 유리문(4)의 중간위치에 판상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내,외부손잡이(5,6)를 밀착시킨다.
상기 내,외부손잡이(5,6)는 유리(7)를 관통하는 볼트(8)와 너트(9)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내,외부손잡이를 구성하는 손잡이(10)와 고정판(11) 상간에 구비되는 공간(12)을 통하여 현관유리문(1)의 외측에서 너트(9)를 풀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는 물론 시간장치를 함께 해제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시건작동의 편리성은 있으나 현관유리문의 외측에서 손잡이 및 시건장치를 쉽게 해제함으로서 도난의 우려성이 높은 단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관유리문의 중간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외부손잡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손잡이와 시건수단인 키실린더와 로크어셈블리를 해제할 수 없도록 체결수단을 개선하여 시건작동이 용이하면서도 도난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를 도시한 일부파절상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파절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현관유리문의 정면도.
도 5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현관유리문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현관유리문
53; 내부손잡이
55; 외부손잡이
60; 체결볼트
70; 볼트바디
72; 고절돌기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를 도시한 일부파절상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파절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현관유리문용 손잡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현관유리문의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현관유리문(50)의 중앙위치에 도어록(51)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현관유리문(50)의 내측과 외측에 로크어셈블리(52)와 키실린더(54)를 내장한 내부손잡이(53)와 외부손잡이(55)를 밀착시킨다.
상기 내,외부손잡이(53,55)는 판상의 부재를 절곡하여 단면이 개략 ㄷ형상이 되도록 하여 출입시 사용하는 손잡이(56)와 현관유리문(50)의 유리(57)과 밀착되는 고정판(58)으로 구성한다.
상기 내,외부손잡이(53,54)의 고정판(58)은 유리(57)를 관통하는 체결볼트(60)와 너트(61)에 의하여 체결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현관유리문(50)의 외부에서 외부손잡이(55)의 손잡이(56)와 고정판(58)상간에 형성되는 공간(S)을 통하여 외부손잡이(55)와 도어록(51)을 해제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내,외부손잡이(53,55)를 고정하는 체결볼트(60)를 중앙에는큰 직경의볼트바디(70)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바디(70)의 후측으로는 외부손잡이(55)의 고정판(58)에 형성되는 체결공(7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72)를 형성한다.
상기 볼트바디(70)의 전측으로는 내부손잡이(53)의 고정판(58)에 형성되는 체결공(73)과 결합되어 너트(61)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74)가 형성된 볼트부(75)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돌기(72)와 볼트부(75)의 직경은 볼트바디(7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고정돌기(72)는 프레싱이나 코킹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절곡시켜 볼트바디(70)와 함께 외부손잡이(55)의 고정판(58)을 클램핑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고절돌기(72)의 절곡은 외부손잡이(55)를 성형하기전에 절곡하거나 성형후 절곡하여도 될 것이며, 이는 편리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현관유리문(50)에 내,외부손잡이(53,55)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현관유리문(50)의 유리(57) 외측에 외부손잡이(55)를 밀착시킨 후 체결볼트(60)의 고정돌기(72)가 고정판(58)의 체결공(71)에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돌기(72)를 절곡시켜 체결볼트(6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측손잡이(53)의 고정판(58)에 형성된 체결공(73)에 체결볼트(60)의 볼트부(75)가 삽입되도록 하고 너트(61)로 체결하면 된다.
다른 예로서는 외측손잡이(55)의 고정판(58)에 체결볼트(60)의 고정돌기(72)를 미리 절곡시킨 상태의 경우에는 체결볼트(60)가 유리(57)를 관통하도록 한 후,내부손잡이(53)의 체결공(73)에 체결볼트(60)의 볼트부(75)를 삽입시킨 후 너트(61)로 체결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키실린더(54)를 가지는 외부손잡이(55)의 손잡이(56)와 고정판(58) 상간에 공간(S)이 있더라도 체결볼트(60)를 풀기위한 너트 등이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이를 해체할 수 없게된다.
그러므로, 손잡이를 현관유리문(50)의 중앙에 위치시키면서도 도난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현관유리문의 외측에서 손잡이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및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현관유리문의 중앙위치에 도어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도어록의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도난을 방지하고 보다 용이한 시건작동이 가능하게하여 사용자들의 편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현관유리문(50)의 중앙에 도어록(51)을 설치하기 위하여 현관유리문(50)의 내측과 외측에 로크어셈블리(52)와 키실린더(54)를 내장한 내부손잡이(53)와 외부손잡이(55)를 밀착시키고, 상기 내,외부손잡이(53,54)의 고정판(58)은 유리(57)를 관통하는 체결볼트(60)와 너트(61)에 의하여 체결되는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현관유리문(50)의 외부에서 외부손잡이(55)의 손잡이(56)와 고정판(58)상간에 형성되는 공간(S)을 통하여 외부손잡이(55)와 도어록(51)을 해제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내,외부손잡이(53,55)를 고정하는 체결볼트(60)를 중앙에는큰 직경의 볼트바디(70)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바디(70)의 후측으로는 외부손잡이(55)의 고정판(58)에 형성되는 체결공(7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돌기(72)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바디(70)의 전측으로는 내부손잡이(53)의 고정판(58)에 형성되는 체결공(73)과 결합되어 너트(61)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74)가 형성된 볼트부(75)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볼트(60)의 고정돌기(72)를 절곡시켜 볼트바디(70)와 외부손잡이(55)의 고정판(58)을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KR2020010013962U 2001-05-14 2001-05-14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248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962U KR200248942Y1 (ko) 2001-05-14 2001-05-14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962U KR200248942Y1 (ko) 2001-05-14 2001-05-14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942Y1 true KR200248942Y1 (ko) 2001-10-19

Family

ID=7310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96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8942Y1 (ko) 2001-05-14 2001-05-14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9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394A (en) Reinforced assembly of strike plate to door frame
US60792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 mounting
US20030141725A1 (en) Combination of mounting plate and rose for door locks
JPH108793A (ja) 車両用ドアキーシリンダ取付装置
KR200248942Y1 (ko)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JPS6217060B2 (ko)
US6036242A (en) Portable anti-theft door lock
US2931078A (en) Push bar for metal doors
KR200248943Y1 (ko)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KR200248941Y1 (ko)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KR200248944Y1 (ko)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체결구조
US3026080A (en) Handrail support
KR200486963Y1 (ko) 도어락 케이스의 장착구조체
JP2002081233A (ja) レバ−ハンドル
KR200225971Y1 (ko) 현관유리문용 손잡이 구조
CN1914391B (zh) 用于将开关控制轴紧固到开关管轴上的装置
JP3653692B2 (ja) 補強部材
KR100655715B1 (ko) 차량용 잠금장치
JP2601988Y2 (ja) 錠の受け装置
JP4450343B2 (ja) 機器収納用ラックの側面パネル取り付け構造
KR200251204Y1 (ko) 디지털 도어록의 바형 핸들
JP3595168B2 (ja) シリンダ錠の自動車パネルへの固定構造
KR200262091Y1 (ko) 강화 유리도어 보조잠금장치
KR200245190Y1 (ko) 현관유리문용손잡이구조
KR200252525Y1 (ko) 가구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5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0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2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1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